2014년 7월 10일 목요일

주산 곱셈

두승법과 미승법


                              


단위가 높은수(큰수)를 머리라 하고 일자리를 꼬리라 한다.

1.두승법(頭乘法):아래 그림처럼 머리와 머리를 먼저 곱해 주는 것을 말한다.
          <주판으로 할 때는 두승법으로 하는 것이 훨씬 빠르면 암산을 하는데도 유리하다>

<계산방법>
①  자리를 잡는다 (실수자릿수 + 법수자릿수)     

         (실수)                      (법수)
  2 4 5    ×    6 3
      3 자리        +        2 자리    =    5 자리

② 잡은자리(5자리)에 다음과 같은 순서로 계산한다.

     

① 6 × 2 =
1
2



② 6 × 4 =

2
4


③ 6 × 5 =


3
0

④ 3 × 2 =

0
6


⑤ 3 × 4 =


1
2

⑥ 3 × 5 =



1
5
계    산    결    과

1
5
4
3
5





2.미승법(尾乘法):아래 그림처럼 꼬리와 꼬리를 먼저 곱해 주는 것을 말한다.
                             <초등학교 과정의 필산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① 6 × 9 =



5
4
② 6 × 7 =


4
2

③ 6 × 4 =

2
4


④ 3 × 9 =


2
7

⑤ 3 × 7 =

2
1


⑥ 3 × 4 =
1
2



계    산    결    과

2
7
2
4
4

     4 7 9 × 3 6 = 의 경우
   9를 곱 할 때는 일의자리
   7을 곱 할 때는 십의 자리
   4를 곱 할 때는 백의자리에 1자리가 오게 놓는다.

☞ 계산한 수를 놓을 때는
*  10 이 넘지 않았을 때는 제자리(1자리)에
*  10 이 넘었을 때는 앞자리에 놓는다.
* 그리고 계산한 수를 놓고 다음 수를 계산하기 전에 손가락은 바로 앞자리로 옮겨 짚는다.


<정리>
  미승법은 초등 수학 교과식(필산식)과 계산하는 방법이 같다.
그런데 주판으로 할 때, 다음수를 놓기 위해서는 항상 미리 놓을 자리를 손가락으로 짚어 두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두승법에 비해 손가락이 앞뒤로 왔다 갔다를 2~3배 이상 반복하면서 놓아야 하므로 동선(손가락이 움직인 거리)이 길어 오답이 나올 확률이 높다.
따라서 암산이 잘 안된다거나 되더라도 매우 느린 단점이 있다. 암산이 되지 않는 주산교육은 그 교육적인 가치가 반감되므로 주산을 할 때에는 두승법으로 지도를 해야 할 것이다. 

찬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