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심각했나… 인구절벽의 현장
고교 신입생 매년 10% 이상 줄어
1980년 1440만명이던 학령인구, 올 846만명으로
거의 반토막
"대한민국의 성장을 이끌어왔던 인적자원이 고갈되고 있다"
"조회
시간에 '양팔 간격으로 벌려'를 못 했습니다. 그러면 운동장 맨 가 학생들이 교문 바깥으로 밀려나니까요. 운동회 때는 운동장이 장터보다 혼잡해
부모를 잃어버리기 일쑤였지요."
1967년 충북 보은군 삼산초등학교를 졸업한 김학부(63)씨는 "당시 삼산초는 한 반 70여 명씩 전교생이 2500명이 넘어 보은군에서 가장 컸다"고 회상했다.
1967년 충북 보은군 삼산초등학교를 졸업한 김학부(63)씨는 "당시 삼산초는 한 반 70여 명씩 전교생이 2500명이 넘어 보은군에서 가장 컸다"고 회상했다.
그러나
이 학교 풍경은 50년 만에 몰라볼 정도로 달라졌다. 지난달 18일 삼산초 운동장에서 체육 수업을 하던 1학년 2반 학생들은 전원이 14명에
불과했다. 대여섯명이 운동장 한쪽 골대에서만 공 차며 놀았고,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놀이는 담임교사까지 가세해서야 겨우 3명을 채웠다.
한때 3000명에 가깝던 전교생이 180여 명으로 쪼그라들었다.
대한민국의 '인구 동력(動力)'이 꺼져가고 있다. 1980년 1440만명이던 학령인구(6~21세)는 올해 846만명으로 거의 반토막이 났다. 2040년 640만명, 2060년엔 480만명으로 급락한다는 게 통계청 전망이다. 전체 인구 중 학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970년 39.1%에서 올해 16.4%로 감소했다. '미니 학교'도 속출하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 신입생이 '0명'인 초등학교는 113개교, 중학교 10개교, 고등학교는 7개교였다. 김재철 한국교총 대변인은 "인적 자원으로 성장해온 대한민국이 학생 감소로 '무(無)자원 국가'로 치닫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의 '인구 동력(動力)'이 꺼져가고 있다. 1980년 1440만명이던 학령인구(6~21세)는 올해 846만명으로 거의 반토막이 났다. 2040년 640만명, 2060년엔 480만명으로 급락한다는 게 통계청 전망이다. 전체 인구 중 학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970년 39.1%에서 올해 16.4%로 감소했다. '미니 학교'도 속출하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 신입생이 '0명'인 초등학교는 113개교, 중학교 10개교, 고등학교는 7개교였다. 김재철 한국교총 대변인은 "인적 자원으로 성장해온 대한민국이 학생 감소로 '무(無)자원 국가'로 치닫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삼산초 신입생은 30명이다. 그나마 이 학생들을 유치하느라 교장·교감이 읍내 유치원을 찾아다니며 입학 설명회까지 열었다. 동문회도 4000여 장
홍보 전단을 찍고 "108년 전통 삼산초는 선배들이 든든하게 받쳐줍니다"라며 거리에서 구호를 외쳤다. 이 학교 박인자 교장은 "어떻게든
12학급을 지키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상황이 막막하다"고 말했다.
학령인구 감소는 고교→중학교→초등학교로 갈수록 심각한 후유증을 낳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 전국 초·중·고 가운데 신입생 10명 이하인 '미니 학교'는 고교(전체 2360곳)는 24곳(1%), 중학교(3237곳) 376곳(11.6%), 초등학교(6177곳)는 1475곳(24%)이다. 신입생이 1명 이하인 곳은 고교 8곳(0.3%), 중학교 27곳(0.8%), 초등학교 225곳(3.6%)이다.
그나마 사정이 나은 중·고교도 2001년부터 시작된 초저출산 여파에 시달리고 있다. 전북 익산시 함열고 송갑석 교장은 지난 3월 신입생 입학식 때 운동장에 학년별로 선 학생들을 보고 깜짝 놀랐다. 3학년 91명, 2학년 96명인데 신입생은 31명에 불과했다. 송 교장은 "익산시내 26개 중학교 3학년생이 올해 500명이 줄었는데, 내년엔 올해보다 300명이나 또 준다니 내년이 더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현상은 2001년(올해 고1)부터 시작된 초저출산(합계출산율 1.3명 이하) 현상이 16년째 이어지면서 빚어졌다. 현재 고2인 2000년생(63만명)은 '밀레니엄 베이비'로 1999년생(61만명)보다 2만명 더 태어났지만, 2001년생이 55만명으로 떨어진 뒤 2002·2003년생 각각 49만명, 2004년생 47만명, 2005년생 43만명 등 신생아가 크게 줄었다. 현재 고2는 신생아 60만명 세대의 마지막, 고1과 중3은 각각 50만명 세대와 40만명 세대의 첫 주자가 된 것이다.
학령인구 감소는 고교→중학교→초등학교로 갈수록 심각한 후유증을 낳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 전국 초·중·고 가운데 신입생 10명 이하인 '미니 학교'는 고교(전체 2360곳)는 24곳(1%), 중학교(3237곳) 376곳(11.6%), 초등학교(6177곳)는 1475곳(24%)이다. 신입생이 1명 이하인 곳은 고교 8곳(0.3%), 중학교 27곳(0.8%), 초등학교 225곳(3.6%)이다.
그나마 사정이 나은 중·고교도 2001년부터 시작된 초저출산 여파에 시달리고 있다. 전북 익산시 함열고 송갑석 교장은 지난 3월 신입생 입학식 때 운동장에 학년별로 선 학생들을 보고 깜짝 놀랐다. 3학년 91명, 2학년 96명인데 신입생은 31명에 불과했다. 송 교장은 "익산시내 26개 중학교 3학년생이 올해 500명이 줄었는데, 내년엔 올해보다 300명이나 또 준다니 내년이 더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현상은 2001년(올해 고1)부터 시작된 초저출산(합계출산율 1.3명 이하) 현상이 16년째 이어지면서 빚어졌다. 현재 고2인 2000년생(63만명)은 '밀레니엄 베이비'로 1999년생(61만명)보다 2만명 더 태어났지만, 2001년생이 55만명으로 떨어진 뒤 2002·2003년생 각각 49만명, 2004년생 47만명, 2005년생 43만명 등 신생아가 크게 줄었다. 현재 고2는 신생아 60만명 세대의 마지막, 고1과 중3은 각각 50만명 세대와 40만명 세대의 첫 주자가 된 것이다.
본지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을 통해 올해 고교 신입생 입학 현황을 조사한 결과, 신입생이 2학년보다 5만7000명이나 줄어든 52만4500명이었다.
경기(1만4100명), 서울(1만1100명), 부산(3628명), 대구(3198명) 순으로 대도시 학교의 감소 폭이 컸다. 내년엔 예상 신입생이
올해보다 6만3000여 명이나 줄면서 상황 악화가 불가피하다. 서울과 경기는 모두 1만2000명씩 더 줄어들 상황이다. 일부 전문가는 "학급
수와 학급 인원을 대폭 줄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초저출산 세대들이 고교를 졸업하면 도미노가 무너지듯 대학과 군 입대에도 영향을 미친다. 현재 고1이 대학에 진학하는 2020년에는 졸업생 수(52만명)가 현재 대학 정원(51만명·전문대 포함)과 비슷해진다. 2024년에는 고교 졸업생 수가 42만명으로 뚝 떨어진다. 대학진학률(69.8%)을 따지면 실제 대학 진학자가 29만명 수준으로 4년제 대학 정원(32만명)을 모두 채우고도 남을 정도다. 또 군대에 갈 20세 남성(1997년생)은 현재 35만명인데 2002년생은 25만명으로 10만명이나 줄어든다. 조선일보
초저출산 세대들이 고교를 졸업하면 도미노가 무너지듯 대학과 군 입대에도 영향을 미친다. 현재 고1이 대학에 진학하는 2020년에는 졸업생 수(52만명)가 현재 대학 정원(51만명·전문대 포함)과 비슷해진다. 2024년에는 고교 졸업생 수가 42만명으로 뚝 떨어진다. 대학진학률(69.8%)을 따지면 실제 대학 진학자가 29만명 수준으로 4년제 대학 정원(32만명)을 모두 채우고도 남을 정도다. 또 군대에 갈 20세 남성(1997년생)은 현재 35만명인데 2002년생은 25만명으로 10만명이나 줄어든다. 조선일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