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6월 12일 목요일

'정시모집'으로 서울大 입학한 지방 소재 일반고 출신 3인

올해 서울대 정시모집의 핵심은 △비중 확대 △전형 간소화다. 의과대학·사범대학을 제외한 모든 모집단위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성적만으로 신입생을 선발한다. 정시모집 인원은 지난해보다 219명 늘었다. 서울대 합격에서 수능 성적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진 셈이다.

하지만 지방에 거주하는 일반고 학생이 정시 전형을 통해 서울대에 합격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원인 중 하나는 지역별 교육격차다.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평가이사는 “사교육 영향 탓에 강남·특목고 학생이 수능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기 쉽다”고 말했다. 맛있는공부는 지방 소재 일반고에서 정시 전형으로 서울대에 합격한 3인을 만나 약점을 극복해낸 경험을 들었다.

조선일보
최용석 (농경제사회학부 1년·경남 마산 창신고 졸)/장은주 객원기자·박기석 맛있는공부 기자
최용석씨 / 엄격한 학교 분위기… 규칙적인 습관 길러
최용석씨는 고교 입학 전까지 학습 계획을 꼼꼼하게 세우지 못했다. 반전의 계기는 마산 창신고에 진학 뒤 입소한 기숙사다. "한 학년에 40명이 함께 생활했는데 다들 학구열이 높았어요. 서로 공부법이나 정보를 나누며 선의의 경쟁을 했죠." 생활 습관을 엄격하게 지도하는 분위기도 최씨에게는 마침맞았다. "풀어지기 쉬운 방학 때 기숙사 생활 덕에 마음을 다잡았어요. 시간표가 잘 짜여져 있어 이를 따르기만 해도 될 정도였습니다."

혼자 공부하는 데 익숙해진 그는 심화 학습에 도전했다. 영어 과목 고난도 문제에 대비하려 교사에게 도움을 청했다. 어려운 문제에 익숙해지면 쉬운 문제를 푸는 시간도 단축될 거라 생각했기 때문. 영어 교사는 그에게 '텝스(TEPS) 공부'를 추천했다. "선생님은 두 가지 이유에서 텝스를 추천했어요. 첫째는 △듣기 △어휘 △문법 △독해 등 수능 영어에서 준비해야 할 모든 영역을 담고 있다는 점. 둘째는 토익(TOEIC)·토플(TOEFL)보다 수능 형식에 가깝다는 점입니다. 난도가 높은 텝스 준비를 계속하다 보니 수능 때 듣기 문제가 무척 쉬웠습니다."

조선일보
임지우 (인문계열 1년·충북 충주여고 졸)./장은주 객원기자·박기석 맛있는공부 기자
임지우씨 / 수능 지향적 학사 과정… 자연스레 정시 준비
임지우씨는 고 1 때부터 꾸준히 수능 준비를 했다. 정시를 겨냥한 학교의 전략은 임씨를 도왔다. 충주여고는 국어·영어·수학 전학년 내신 시험에서 최대한 수능과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냈다. 대부분의 학교는 EBS 교재를 수업 시간에 다루는 고 3이 돼서야 수능형 문제를 출제한다. 고교 방침 덕에 임씨는 특별한 사교육 없이도 수능 준비를 할 수 있었다.

입학하자마자 수능 준비를 했던 임씨는 스킬 위주의 공부법을 연습한 적이 없다. 대신에 지문을 꼼꼼히 읽고 문제 푸는 습관을 들였다. "국어 비문학이나 영어 문제를 풀 때 항상 지문 전체를 읽었습니다.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으면 되풀이했죠. '정공법'을 반복하자 독해력이 상승하는 게 느껴졌습니다. 고 1 때부터 이렇게 공부하면 고 3 때에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없어질 거에요."

조선일보
정수환 (의예과 1년·강원 원주고 졸)./장은주 객원기자·박기석 맛있는공부 기자
정수환씨 / 수업 소홀하지 않고 잘 따르니 성적 상승
정수환씨는 고교 수업의 장점으로 '쉽고 자세히 설명하는 점'을 들었다. 정씨는 특히 국어 과목에서 덕을 봤다. "관동별곡 등 교과서에 나오는 작품 중 수능에 출제될 만한 대표작을 배웠습니다. 수업은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기에 수준이 특별히 높지도, 낮지도 않았죠. 이는 지문을 완벽히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 그는 1학년 국어 내신에서 3등급이 2번이나 나올 정도로 실력이 불안정했다. 수업에 소홀하지 않고 가르치는 내용을 잘 따르자 성적은 상승 곡선을 그렸다. 고 3 때에는 실력이 궤도에 올랐고 수능 때에는 단 한 문제만 틀렸다.

"자습이 성적 향상에 가장 효과적"이라는 정씨도 과학탐구 과목에서는 교사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그는 "책만 '읽다' 보면 이해를 못 한 부분도 그냥 넘어가는 일이 있다"며 "학교 수업에서는 귀로 '듣기' 때문인지 내가 부족한 부분을 바로 알아차린다"고 말했다.

그는 수능 과학탐구 과목으로 생물Ⅰ과 화학Ⅱ를 선택했다. 생물Ⅰ은 범위가 굉장히 넓다. 혼자 힘으로 전 범위를 이해하기는 어렵다. 그는 끊임없이 질문해 이를 보완했다. "생물과 화학 과목 모두 질문을 많이 했어요. 대부분 선생님은 질문을 잘 받아주십니다. 제가 몇 번씩 찾아가자 생물 선생님은 사설모의고사를 따로 준비해 주기도 했어요."

학교서 채우지 못한 점, 이렇게 보완

▷최용석_
“사회탐구 과목 중 경제는 개념 이해가 가장 중요하다. 수시 준비를 할 때 읽었던 ‘경제원론’이 도움이 많이 됐다. 교과 과정 외의 것이라도 필요하다면 찾아서 공부하라.”

▷임지우_ “수학이나 탐구 과목은 인터넷 강의의 효과를 톡톡히 봤다. 강사를 선택할 땐 꼭 맛보기 강의를 들어 보자. 아무리 명강사라도 나에게 안 맞으면 소용없다.”

▷정수환_ “자습할 때 목표량을 정해 두는 식으로 계획을 세워 보라. 수학 문제를 풀 때 집중이 안 되면 한 시간에 한두 문제만 푸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땐 학습 효과가 거의 없다.”

조선일보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