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2월 29일 토요일

서울대 가도 집안망신 소리 듣는 집안, 다들 어떤 대학 가셨길래

어떤 환경에서 어떤 교육을 받고 자라느냐는 그 사람의 인성과 태도, 성공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속해있는 집단의 분위기에 따라 달라지기 쉬운 것이 인간이다 보니, 어릴 때부터 가장 밀착된 관계를 형성해온 가족의 영향력은 결코 무시할 수 없죠.
물론 악조건을 이겨내고 훌륭한 과업을 달성하는 사람도 있고, 부모가 잘난 사람이라고 해서 반드시 자식들까지 잘 크는 것은 아닙니다. "왜 나처럼 되지 못하느냐"고 윽박지르는 대신 자연스레 좋은 길로 인도하는 부모가 되기는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니까요. 오늘은 가족 구성원 모두의 학력과 명예가 눈부신 한 집안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하는데요. 이런 집안을 일궈낸 부모의 교육 방식에 대해서도 살펴볼까 합니다.

고광림, 전혜성 부부

오늘의 주인공은 고광림 박사와 전혜성 박사 부부입니다. 아내 전혜성 박사는 경기여고 졸업 후 이화여대 영문과 재학 중 전액 장학금을 받고 미 보스턴 대학으로 유학을 떠나 사회학 박사, 인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남편 고광림 박사는 서울대학교 전신인 경성제국대학의 법대를 수석 졸업하고 하버드에서 법학박사를, 럿거스대에서 정치학 박사를 받은 인재입니다.
물론 학위 취득 이후의 경력도 화려한데요. 전혜성 박사는 보스턴대, 예일대 로스쿨에서 강의하고 예일대 비교문화 연구소 연구부장으로 재직했죠. 또한 컴퓨터가 보편화되기도 전인 1960년대에 로마자가 아닌 비로마자를 모두 컴퓨터 코드화하는 비교문화 정보 체계를 만들었습니다. 이 시스템을 토대로 일본 국립 민족학 박물관과 국제 일본 문화연구센터에서 객원교수로 활동했죠.
52년에는 동서양의 문화 이해를 상호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남편 고광림 박사와 함께 '한국연구소'를 설립했고, 그를 계승한 동암문화연구소에서도 이사장직을 맡았죠. 저서로는 <엘리트보다는 사람이 되어라>, <섬기는 부모가 자녀를 큰 사람으로 키운다>, <여자 야망 사전>, <가치있게 나이 드는 법>, <생의 목적을 아는 이가 큰 사람으로 자란다> 등이 있습니다.
1989년 타계한 고광림 박사의 경우 1952년 제16차 UN 총회에 한국 대표로 참석했으며 1960년 서울대학교 교수,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를 거쳐 1961년에는 예일대학교 방문교수로, 호프스트라 대학교 부교수로 활약합니다. 5년 뒤인 1966년에는 코네티컷 주립대학교 정치학과 교수로 부임했죠. 저서로는 <미국 평론> 시리즈와 <영국정부론> 등이 있습니다.

모두 미 아이비리그 출신인 자녀들

전혜성, 고광림 박사의 사이에는 6남매가 있습니다. 자녀들 역시 들으면 눈이 휘둥그레질 만큼의 스펙을 자랑하죠. 먼저 장녀 고경신 씨는 하버드대학을 졸업하고 MIT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중앙대학교 화학과 교수, 자연 과학대 학장을 지낸 바 있습니다. 장남 고경주 씨는 예일대 의대를 졸업했으며, 종양학, 혈액학, 피부학, 내과의 전문의 자격증을 취득했죠. 예일대, 코넬대, 컬럼비아대, 프린스턴대, 하버드대, 보스턴대 의과대학교수를 거쳐 하버드대 공공보건 대학원 원장을 지냈으며, 미 민주당 보건행정특보 위원으로서도 활동했죠. 또한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보건부 차관보로 일했습니다.
차남 고동주 씨는 하버드와 MIT에서 의학박사,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매사추세츠 의대 교수이자 마취과 전문의로 일하고 있습니다. 차녀 고경은 씨는 하버드대 법학박사로 유색인종 여성 최초로 예일대 법대 석좌교수에 임명되었죠.
장남 고경주 박사와 삼남 고홍주 씨는 오바마 정권에서 각각 보건행정, 인권 담당 차관보를 지냈다
삼남 고홍주 씨는 영국 옥스퍼드에서 유학한 뒤 하버드 대학에서 법학박사를 받았으며, 98년부터 2001년까지 미 국무부 민주주의, 인권, 노동담당 차관보를 거쳤고 2001년 예일대 법대 교수가 되어 2004년부터 2009년까지는 법과 대학원 학장을 맡았죠. 국무부 법률 고문과 인권 담당 차관보를 지낸 뒤 2014년부터 현재까지 예일대 로스쿨 교수로 일하고 있습니다. 사남 고정주 씨 역시 하버드대 사회학과를 우등으로 졸업하고 보스턴 뮤지엄대 미술과에서 MFA 학위를 딴 뒤 화가로 활동하고 있죠.

부부의 교육관

가족 구성원 중 하버드나 예일 안 나온 사람을 찾기가 더 어려울 정도로 화려한 학력과 경력이다 보니, 사람들은 이 가족을 두고 "아버지 저 서울대 합격했어요"하고 자랑하면 "나가 이 불효 자식아"라는 말을 들을 것 같다는 우스갯소리를 하기도 했죠. 아무리 부모 자신이 똑똑하고 성공적인 삶을 살았다고 하더라도, 여섯 명이나 되는 자녀가 이렇게 한결같이 훌륭하게 자라기는 어려운 일일 텐데요.
가까이서 아이들 교육을 담당했던 전혜성 박사는 "공부하라"고 말하지 않고 "공부하자"고 말했으며, 집에 책상을 여럿 두고 남편과 자신이 먼저 공부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회고합니다. 꼭 공부가 아니더라도, 부모가 자신의 일을 성실히, 묵묵히 해내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들도 자연스레 따라온다는 것이 전 박사의 생각이죠.
또한 매주 금요일 저녁 가족회의를 매주 열어 집안의 대소사를 논의했는데, 정식으로 기록도 하고 공식적인 용어, 절차를 통해 합의에 이르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시간이 되도록 했죠. 토요일이면 아이들과 도서관을 찾았고, 그날의 목표량을 스스로 정해 그것부터 끝마치는 습관을 들여 주었습니다. 공부만 할 줄 알고 생활에서 무능력한 사람이 되지 않도록 어릴 때부터 집안일을 조금씩 분담했고 아이들이 조금 컸을 때는 간단한 요리를 할 수 있도록 가르쳤죠.
코네티컷 주 '2018 이민자 유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일가족 ㅣ 출처 Koreatimes
'자식 여섯을 어느 하나 빠지지 않게 남부럽지 않게 잘 키웠다'는 말을 자주 듣는 전혜성 박사는 자녀들이 미국에서 일류 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사회에서 인정받는 직업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말하는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는데요. "우리 아이들이 사람 구실을 하고 산다는 소리로 받아들이고 싶다"는 것이 전 박사의 마음이라네요.
ZUM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