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29일 일요일

Why Throwing Yourself Into the Unknown Can Be the Best Thing You Can Do to Yourself

Most of us are scared of diving into the unknown, of uncertainty, of unfamiliarity, of not knowing what’s going to happen. We are scared that things could go wrong, that things will be uncomfortable, and that things might not go as expected.
But throwing yourself into the unknown can be very rewarding. It means that you fully surrender to all expectations that you and others have ever had of yourself. It means that you allow yourself to start anew and feel completely free. You might realize down the track that you are who you are and that you have to go back to the root of your soul, to your innate talents and passion without being held back by dogma, societal norms, your own fears, and external opinions.
Here are the reasons why throwing yourself into the unknown can be the best thing you can do to yourself.

1. You will discover who you truly are

I first went overseas on my own when I was 13. Even though it was on a school trip and even though I was not exactly traveling solo, in my mind, I felt like I was. I remember so vividly how I felt at the time. I really wished I could move there (Sydney) but because I was still underage, that was impossible. I felt so liberated and free to be away from home — to have the complete freedom over my own actions, thoughts, and feelings. I realized that for a young person to complete grow into an adult who feels “whole” from within, one must have the freedom to experience, to explore, to grow, to dream, to try, and to be completely one’s self.
You see? Discovering one’s self is not such an easy thing to do especially if you’re always surrounded by second and third opinions, shaped by your past, inflicted by your fears, and let the feelings of those you love overtake those of your own.
To completely discover who you are, you have to throw yourself into the unknown and get away from the same old environment that might be holding you back. Most of us fall short in this. We grow up doing things we believe are good or people around us think are good. When in fact, what we believe in is just someone’s opinion, it’s not ours.
This is why the Buddha had to escape from his royal family in order to find path to enlightenment. He did not know what’s going to happen. All he knew was that there was a higher calling and it required him to get out of his comfort zone and explored.
But why does this matter to us normal beings? Why is it important for us to discover who we truly are and be our true selves? This comes down to the second point.

2. You will learn to make yourself feel “whole.”

I believe that in order for one to truly feel happy and satisfied with him/herself from within, one must understand one’s self. Understanding one’s self is not just about knowing what you do or do not like on the surface level — it’s not just about what you like to eat, what you like to do, what you listen to, or what you like to watch. It’s about who you truly are as a person at the core of your soul.
This is the highest form of human’s need. To self-actualize is to become whole. To feel content is to feel happy from within. However, a lot of people never really take time to discover who they truly are. They go on the pre-conceived pattern of what everyone else in the society is doing. They jump from one phase of life to another without taking some time off to reflect. They never leave their comfort zone to discover their true self with complete freedom at hands.
Sometimes who you truly are evolves as you grow. You become more patient and calmer as you get older. You become wiser and deeper. You become more intuitive and in touch with yourself. But only when you know who you truly are and act accordingly, you will never experience a deeper joy. You will never feel “whole” and satisfied with yourself.
This is why a lot of people seek happiness from external sources — outside validation, praises, and materials. They keep seeking and attaining fleeting happiness — the kind of happiness that does not last.
It’s never too late to discover who you truly are. Throw yourself into the unknown and you will be surprised what you discover about yourself.

3. You will always feel excited and anew.

As far as I can remember, I have been throwing myself into the unknown. It was quite scary at first but somehow it got easier and easier as I kept doing it. Every time I feel bored, stuck, or unmoving, I just throw myself into the unknown. When you learn to get used to being excited about not knowing what’s going to happen, life seems exciting.
If you’re still too scared to jump into the unknown, think about the last time you did something unexpectedly. What was the turnout? How did it make you feel? You felt scared in the beginning but were very glad that you had done it, weren’t you? If you can’t think of the last time you did something unexpectedly, then maybe you need to go on a random adventure. Go somewhere new. Try something different. Talk to new people. It can give you a total breath of fresh air!

4. You will have no fear.

Throwing yourself into the unknown is scary. You don’t know what’s going to happen. You have to put yourself out there into the world full of uncertainty. You have to get out of your comfort zone in order to break away from your fear. Over and over you will develop this mental strength where fear doesn’t exist anymore because you have gotten used to fighting against your fear.
When I first moved to Australia eight years ago, I decided to become a club promoter so that I could meet new people because I didn’t know anyone — what a silly idea that was! It turned out that it was one of the best decisions I’ve ever made in my life. It took me out of my comfort zone. I had to contact different clubs, approached them, and proved to them why they should get this newcomer on board. I then found a way to market myself and the events that I became well-known in a matter of months. That proved to me that I could establish a new identity in a new city. It proved to me that I could achieve anything I set my mind too. All I need to do is to set a goal, think about how I can strategically achieve that goal, and just make it happen.
A few years after that I also decided to participate in L’Oreal Brandstorm, an international marketing competitions open to all business students. If you think about it, I’m not Australian, however, I wanted to compete against all the marketing students in Australia and wanted to win the national award. To be honest, I wasn’t sure what’s going to come out of it. I told myself I’d win but at the same time I also prepared myself for disappointment at the back of my mind. With such strong teammates, determination, and heart work, we won the national final and I was flown to Paris as an Australian representative!
Don’t fear! Believe in yourself and you can achieve anything. Start from small achievements and then slowly move to something bigger and bigger.

5. You will be more intuitive.

Learning to throw yourself into the unknown is all about the intuition. You make decisions based on your feelings and you let your heart lead your life. In the beginning, if you grew up letting your brain lead your life, you might not feel comfortable at first. It may feel foreign to you to use your intuition rather than your brain. But after going through a few disappointments in life, you will find that using your intuition to guide you is the best way to be. You will feel liberated and happier from the inside. Because no matter what decision you end up making, the ones your heart wanted that you didn’t end up following are the ones that you will regret the most in life.

6. You will feel a complete sense of freedom.

One thing that comes with following your intuition is feeling free. We are all caged in the set of beliefs we set for ourselves, in our own attitudes, and in our perspective of the world. When we learn to let go of how things should be, when we stop trying to be politically correct, when we stop trying to be right, when we just let things be, we will experience a complete sense of freedom and joy. It’s actually very liberating!


You are a victim of the rules you live by.

It takes a lot of work in terms of personal development until you can be at a point where you can experience a peace of mind because your mind is not confined by things that make you think and worry too much. When you learn to understand and accept things as they are, instead of trying to make things “right” because “right” is very subjective, you will feel free because nothing is holding you back mentally and emotionally.


Acceptance is the key to be. To be truly free.


7. You will achieve great things.

Most of us think of failing when we think of throwing ourselves into the unknown — quitting our job, moving somewhere new, and starting anew. However, life has a way of leading you to where you’re supposed to go when you listen to it. One event always leads to another. Although some may seem like a disappointment and sadness at the time, time will prove to you that whatever happened was meant to happen. Time will give you the reason as to why things changed. In order to be able to achieve the most out of life, you need to get into the flow of life. And you can only achieve that when you throw yourself into the unknown and surrender your life’s rules to your heart and soul.
If you look at the world’s greatest leaders, they have always followed their passion and use their innate talents to become successful. Listen to your heart and follow that. It may take a few years to figure it out. It may take a decade to get to where you want to go as the straight way through might be too risky. However, you just have to start now. Don’t feel scared or feel that you’re inadequate. You can achieve what you believe you can. Most important of all, you need to have faith in yourself.
2015-11-11-1447278415-5000335-ScreenShot20151111at1.48.29pm.png
Mo is the founder of The Happiness Planner, a planner designed to help you welcome more happiness, positivity, and joy into your life by applying the practices of positive thinking, mindfulness, gratitude, and self-development.

With The Happiness Planner as your sidekick, you can use it as a daily reminder to always put yourself into a positive frame of mind, to be mindful, and to always set exciting goals for the better you.
TheHuffingtonPost

인생은 새로운 경험에 도전하는 거예요(Life is going into the unknown)

피타고라스가 말했습니다. "떠벌리는데도 내용은 적은 말을 하지 마십시오. 아껴 말하는데도 내용이 많은 말을 하십시오(Do not say a little in many words but a great deal in a few)."

우리가 위인들의 촌철살인 명문장을 즐겨 음미하는 것도 피타고라스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하나의 첩경이지 않을까요. 앞 사례처럼 짤막한 명문장의 깊고 넓은 함의를 우리가 더 쉽게 잘 이해하기 위해선 평소 언어 실력을 키우기 위한 인문학 공부와 인문학적 사유 및 상상을 더 많이 즐겨야 하겠지요.

아인슈타인이 말했습니다. 'Creativity is intelligence having fun.' 무슨 의미일까요? 'having fun'이라는 조건이 안 따라붙으면 성립 안 되는 문장이지요. 지력이나 지능은 그 자체로는 창의성이나 창의력의 필요충분조건이 아니니까요. 주목할 단어는 'fun'입니다. 창의력의 핵은 '재미'니까요. 이 보배로운 명문장은 '공부든, 노동이든, 사업이든, 여행이든 그걸 어떻게 해야 더 큰 성과가 나게 할 수 있을지를 연구하며 재미있게 굴리는 머리가 창의성이고 창의력'이라는 뜻입니다.

영화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The Secret Life of Walter Mitty·사진)'도 아인슈타인의 명구를 일깨웁니다. 월터는 폐간 위기에 놓인 라이프(Life) 지(誌)의 사진 편집자입니다. 특별히 재미있어 해본 적도, 특별히 도전해본 적도 없는 그에게 일생일대의 막중한 미션이 주어집니다. 마지막 호 표지에 실릴 세계적 사진작가의 필름이 배달 사고로 증발하는데요, 그걸 찾아오는 게 미션입니다.하는 거예요(Life is going into the unknown).' 미션 수행을 위해 그가 머리를 얼마나 창의적으로 재미있게 굴리는지는 스포일러여서 가려둡니다.
문제는 연락이 끊겨 어디 있는지도 모르는 사진작가를 그가 찾아내야 한다는 것. 이 난감한 도전 앞에서 포기하려는 '소심남' 월터를 향해 그가 짝사랑하는 동료가 이렇게 응원하는군요. '인생은 새로운 경험에 도전하는 거예요(Life is going into the unknown).'


 조선닷컴

2016년 5월 27일 금요일

특목고, 수능상위 30곳중 23곳 싹쓸이

2016학년도 수능 성적 분석

전국 2439개 고교의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을 분석한 결과 과학고 등 특수목적고의 강세가 두드러진 반면 일반고는 올해도 고전을 면치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고교의 65%를 차지하는 일반고의 학력 저하를 막을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동아일보는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2016학년도 수능 고교별 성적’ 원자료를 입수해 분석했다. 교육부는 매년 수능 성적의 전반적인 흐름을 발표하지만 작년과 달리 올해는 고교별 성적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에 본보는 원자료에서 각 고교의 과목별 응시 인원과 등급 분포를 토대로 해당 고교를 추정해 성적을 분석했다.
국어A·B, 수학A·B, 영어에서 1, 2등급을 받은 학생의 평균 비율을 산출한 결과 한국외국어대부설고가 전국에서 1, 2등급 학생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민족사관고, 상산고, 한일고, 인천국제고 순이었다. 1∼3위 학교는 모두 전국 단위로 선발하는 자율형 사립고이다.
수능 상위권 고교의 유형을 보면 과학고와 외국어고, 국제고 등 특목고 강세 현상이 확실히 드러났다. 2015학년도 수능에서는 성적 상위 30개 고교 중 19곳(63%)이 특목고였으나 2016학년도 수능에서는 23곳(76%)으로 늘었다. 외국어고는 12곳에서 13곳으로, 과학고는 3곳에서 5곳으로, 국제고는 4곳에서 5곳으로 일제히 늘었다.
반면 ‘일반고 황폐화’ 현상을 반영하듯 일반고는 부진했다. 2015학년도만 해도 상위 30곳 중 5곳이 일반고였으나 이번 수능에서는 2곳(한일고, 공주사대부고)으로 줄었다. 이마저 전국 단위로 학생을 선발하는 ‘자율학교’로, 평준화 지역의 보통 일반고와는 거리가 멀다. 지난해 강세를 보인 자율형 사립고는 6곳에서 5곳으로 줄며 주춤했다.
입시 전문가들은 대학 입시 및 과학고 체제 변화가 특목고 강세를 부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이사는 “과학고 학생들이 예전에는 올림피아드나 경시대회에서 입상만 하면 대학에 갈 수 있는 길이 많았지만 최근 특기자 전형이 줄어들면서 수능이 중요해진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영덕 대성학력개발연구소장은 “과학고 학생들은 2015학년도 입시까지는 고2 때 대부분 수시로 대학에 갔지만 조기졸업제가 폐지된 2016학년도부터는 무조건 고3을 마쳐야 대학에 갈 수 있게 됐다”며 “자연히 수능까지 신경을 쓰게 되고 공부 기간도 1년 늘어나 수능 성적이 더 좋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반고가 수능에서 부진한 것 역시 대입제도의 영향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교육평가연구소장은 “대입에서 수능 비중이 줄고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이 확대되면서 일반고 학생들은 수시로 쏠리고 있다”며 “일반고의 중위권 이하에서는 어차피 특목고 학생들과 경쟁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능을 포기하는 분위기”라고 지적했다.
 동아일보

상위 1%의 공부비결

"수업 당일 복습 시작.. 교과서·필기, 4번 이상 소리 내 읽어"

 홍수진(대원외고 1학년)양
"교과서를 네댓 번씩 반복해 읽는 일이 비효율적으로 보일 수 있어요. 하지만 노트 정리를 하면서 요약할 땐 놓치는 부분이 있는 걸요. 그래서 전 항상 교과서로 공부해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4~5번씩 읽는 거죠."
대원외고 1학년 홍수진<;사진>;양은 교과서 반복 학습법으로 1학기 중간고사에서 1등을 차지했다. 단순히 교과서를 눈으로 여러 번 보는 게 아니다. 소리 내어 말하고, 복습하면서 생긴 궁금증을 적어 나중에 선생님께 질문한다. 이 과정을 네 번씩 반복하니 놓치는 부분이 거의 없다.


◇교과서 네 번 이상 설명하듯 읽으며 복습
교과서만으로 공부하기 위해 홍양은 수업에 최대한 집중한다. 내신 시험이 수업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수업 시간에 교사가 하는 말을 농담까지 모두 연필로 받아 적을 정도다. 그는 "복습할 때 받아 적은 내용을 읽다 보면 수업 내용을 더 잘 기억할 수 있다"며 "선생님께서 농담하거나 예시를 들어주는 이유는 핵심 개념의 이해를 돕거나 보충설명하기 위해서"라고 했다.
홍양은 가능하면 수업 당일에 처음 복습을 시작한다. 수업 분량이 많지 않으면 해당 주말에 공부하기도 한다. 복습할 땐 항상 질문거리를 포스트잇에 적어 관련 내용 근처에 붙여둔다. 학습 내용에 대한 자기만의 생각, 수업에서 언급하지 않았던 해석, 수업시간에 교사가 했던 말에 대한 의문 등이 질문 내용이다. 포스트잇은 매번 복습할 때마다 늘어간다. 궁금증을 해소할수록 이해가 넓어지고 점점 심화 질문이 생기기 때문이다.
모든 시험범위까지 진도를 마치고 나면 본격적으로 시험공부에 들어간다. 시험을 최소 3주 앞두고 교과서 모든 내용과 필기, 포스트잇을 남에게 설명하듯 소리 내어 읽는다. 이 때문에 자습은 주로 교실 밖 복도에서 하거나, 집에서 하는 일이 많다. 그는 "수업 내용을 하나의 대본처럼 숙지한다는 느낌으로 공부했다"며 "교과서 전체 흐름이 머릿속에 남는 효과가 있었다"고 했다.
"직접 말하는 내용을 귀로 들으니 오감을 자극하면서 학습효과가 높았어요. 속으로 말하면 눈으로 글자만 따라가게 돼 집중이 잘 안 되는 느낌이었거든요. 이런 식으로 4번 이상 반복하면 거의 완벽할 정도로 암기할 수 있어요. 한 번 복습할 때와 두 번 복습할 땐 정말 차이가 커요. 네 번 이상일 경우에는 큰 차이는 없는 것 같지만요. 시험 전날에는 시간이 없다고 요약 정리한 노트만 공부하는 친구들이 많은데 저는 무조건 모든 범위를 아우르는 교과서를 읽어요. 이렇게 네 번 이상 소리 내어 복습하는 일을 반복하니 지난 중간고사 땐 감기와 겹쳐 성대결절이 생기기도 했어요.(웃음)"
◇집중력은 마음가짐에 달려있어
홍양이 집중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비결은 마음가짐이다. 홍양은 국어, 영어, 수학 등 주요과목뿐만 아니라 예체능 모든 과목을 공부할 때 최선을 다한다. 과목의 경중을 따지다 보면 쉽게 나태해지고 열심히 공부하지 않을 때 자기합리화를 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마음가짐은 행동으로 이어진다. 홍양은 "단 한 번도 수업시간에 졸았던 적이 없다"고 자부할 정도로 수업에 집중한다. 그는 "수업 시간에 잠을 잔다는 건 무의식에서 그 과목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라며 "긴장을 풀면 나중에 그 과목을 공부할 때도 최선을 다하지 못한다"고 했다.
"제가 밀도 높은 공부를 할 수 있는 건 굳게 먹은 마음가짐 때문이에요. 저는 중학생 때부터 다른 친구들이 80점만 넘겨도 된다며 경시하던 예체능 과목도 최선을 다해 100점을 받으려 노력했어요. 이렇게 노력한 결과 집중력 있게 공부하는 습관을 들일 수 있었습니다. 부족한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다 보니 집중력도 높아졌죠. 중요하지 않은 과목이라고 수업 시간에 다른 공부를 하거나 잠을 자면 결국 집중력을 높일 수 없습니다."
홍양은 시험 기간에도 일부러 수면 시간을 6시간씩 확보한다. 체력뿐만 아니라 높은 집중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다. 홍양은 수면 시간이 부족할 때 공부하면 집중도 되지 않고 기분도 좋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공부를 하다가도 너무 피곤하면 과감하게 30분씩 낮잠을 잤다. 그는 "잠을 잘 자야 하루 종일 기분이 좋고 공부할 때도 높은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다"며 "자신 있는 과목을 공부할 때 기분 좋게 집중하는 것처럼 기분과 집중력은 큰 관련이 있다"고 했다.

 조선일보

작년 수능도 자사고 강세.. 1~3위 휩쓸었다


최상위권 학생들 이과 선호해 외고·국제고보다 자사고에 몰려 한일고, 일반고 1위 차지.. 대원외고는 3위서 6위로 하락

전년도보다 어렵게 치러진 2016학년도 수능에서 강세를 보인 학교는 자율형사립고(자사고)와 영재학교로 드러났다.
본지가 25일 수능을 출제·관리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2016학년도 고교별 수능 성적 자료'를 입수해 국어·수학·영어 세 영역에서 평균 1·2등급을 받은 수험생 성적을 분석한 결과다. 수능은 전체 응시생들 성적을 1~9등급으로 나누며, 1·2등급은 상위 11% 이내에 든다. 학교별 수능 1·2등급 비율은 해당 고교에 상위권 학생이 얼마나 많이 분포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그 결과, 2016학년도 수능에서 국·영·수 상위권 학생이 많이 분포한 고교는 여전히 자사고, 외국어고·국제고, 영재학교 등이었다. 이 가운데서 자사고가 지난해보다 좋은 성적을 거뒀다. 2016학년도 수능에서 상위권 학생 비율이 가장 높았던 학교 1위부터 3위까지는 모두 자사고였다. 전년도(2015학년도 수능)에는 1·2위가 자사고, 3위가 외고였다. 2016학년도 수능에서 상위권 성적 분포 1위를 차지한 학교는 용인한국외대부고로 이 학교 수능 응시생 중 78.5%가 국·영·수 세 영역에서 2등급 이내를 받았다. '물수능(매우 쉬운 수능)'이었던 2015학년도 수능(2등급 이내 76.1%)보다 더 좋은 성적을 거둔 것이다. 이어 민족사관고(77.1%), 전주 상산고(72.6%), 공주 한일고(72%) 순이었다.
2015학년도 수능 상위권 학생 비율에서 3위를 차지했던 대원외고는 2016학년도에는 6위로 떨어졌다. 대원외고 평균 2등급 이내 수험생 비율은 2015학년도 75.1%에서 2016학년도에는 71.4%로 3.7%포인트 줄었다.
수능 상위 1~10위 중 네 곳이 자사고였으며, 외국어고 2개교, 일반고 2개교, 국제고 1개교, 영재학교 1개교였다. 작년에는 상위 10곳 중 자사고 4곳, 국제고 3곳, 외고 2곳, 일반고 1곳이었다. 국제고가 줄어든 자리에 일반고와 영재학교가 각각 1곳 추가된 것이다. 상위 10위 안에 포함된 일반고 2개교(한일고, 공주대부고)는 모두 비평준화 학교다. 수능 상위 20위까지 분석한 결과 영재학교의 부상이 두드러졌다. 전년도 수능에서 1곳에 불과했던 영재학교가 이번 수능에서는 4개교로 크게 늘었다. 서울과학고(69.3%)가 영재학교 가운데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고, 한국과학영재학교(66.7%), 경기과학고(63.5%), 대구과학고(59.6%) 순이었다. 반면 전년도 수능에서 12개교였던 외고와 국제고는 이번 수능에서 9개교로 25% 줄었다.
일반고 중에는 경북 풍산고, 경기 세마고·수지고, 경남 거창고, 충북 청원고 등이 우수한 성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학교들은 대부분 전국 단위 선발을 하거나, 지역 내 비평준화 학교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외고와 국제고가 영어 내신 성적만으로 학생을 뽑으면서 최상위권 학생들의 외고·국제고 집중 현상이 덜해졌다"면서 "특히 상위권 학생들의 이과 선호 현상으로 최상위권 학생들이 자사고를 선택하면서 자사고 학력이 크게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속 빈 강정 교내대회 양산되고,학생부전형 스펙탐구 교내 수상실적, 독서기록


독서기록은 예스24 베끼고..



최근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반대론자들은 이 전형이 '금수저 전형'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비교과 활동을 쌓는 게 결국 부모의 재력이나 관심과 큰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반면 찬성론자들은 학종이 '공교육 정상화'에 큰 도움이 된다며 맞선다. 이에 소논문, 독서활동, 동아리활동 등 대표적 비교과 활동의 실태를 점검한다. 
[[학생부전형 스펙탐구]③교내 수상실적, 독서기록<끝>]
#. 서울 대치동에서 활동 중인 컨설턴트 A씨는 최근 경기도 일반고 학생의 학교생활기록부를 보고 눈에 띄는 교내 수상 실적을 발견했다. '다윈역량대회'라는 이름의 교내 대회는, 알고보니 생물 문제를 풀어서 고득점 순으로 상을 주는 경시대회였다. A 컨설턴트는 "학교들이 억지로 대회를 만들다보니 과정평가가 아닌 결과평가 위주의 '엉터리 대회'가 양산되는 경향이 있다"며 "이름만 거창한 이런 대회는 학생부전형의 본 취지에도 맞지 않으며 자기소개서에 서술하기에도 부족한 스펙"이라고 설명했다.
학생부종합전형 정원이 대폭 늘어나고 있지만 정작 학교현장에서는 이에 맞는 학생을 키우는 역량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부 학교는 준비되지 않은 교내대회를 남발하고 있으며, 경쟁이 치열한 교내대회의 경우 되레 사교육을 양산하는 부작용이 일어나고 있다. 반대로 결과물이 없는 독서 등의 요소에 대해서는 '셀프(self) 학생부' 관행이 남발될 정도로 관리가 허술하다는 의견도 있다.
26일 공·사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당국이 학생부에 외부스펙 기재 금지 지침을 내린 이후 교내대회 수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다. 서울 한 고교의 B교사는 "지난해 30여건이었던 교내대회를 갑자기 2배 이상으로 확 늘렸다"고 말했다. 서울 자사고의 C교사도 "우리학교는 이미 몇년 전부터 교내대회가 70~80건으로 정착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교내대회가 내용상으로 충실하게 이뤄지기는 다소 힘든 상황이다. 특히 과학 등 이과 관련 대회를 한번 열려면 실험 장비 등이 갖춰져있어야 하는데 이 때문에 학생부전형으로 학생을 보낼 의지가 부족한 학교에서는 체험이나 과정 중심의 평가 대신 단순 지필고사나 과제물 제출로 대체하게 된다.
B교사는 "단순히 과제물만 내면 교과성적에 포함되던 것을 대회로 전환시켜 상을 주거나 2명 줄 교내상을 20명에게 주는 식으로 대회와 수상자 수를 모두 확대했다"며 "교내 대회가 별로 없으면 자연스럽게 상위권 학생만 수상을 독식하게 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교육청 등이 주관해 학생부에도 기재할 수 있는 큰 대회의 경우는 경쟁이 치열해 사교육이 유발되는 부작용도 있다. 예를 들어 학교별로 3~5월에 치러지는 전국 청소년과학탐구대회의 경우 연세대, 고려대 특기자전형 입시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강남, 노원 등 사교육 중심지에서는 이 대회의 학교별 예선전 대비반까지 마련돼있다.
반면 결과물이 뚜렷한 교내 수상에 비해 독서활동 등 성과가 모호한 학생부 항목은 학교에서 소외되는 추세다. 대부분 교사들은 학생의 독서이력을 관리하기보다는 학생들이 직접 적어낸 독서기록을 학생부에 반영하는 '셀프(self) 학생부' 관행을 따르고 있다.
A 컨설턴트는 "대부분 학생들이 예스24 등에 나오는 줄거리 요약본을 그대로 교사에게 제출하더라"며 "학생들이 책을 읽었단 사실을 검증할 방법이 딱히 없기 때문에 대학 입학사정관들도 독서활동기록을 크게 신뢰하지 않고 결국 줄세우기 식의 내신이나 수상기록 비중만 커지게 된다"고 말했다.
학교에서 책읽기 관련 조언을 얻지못한 상위권 학생들은 컨설팅에 의존하기도 한다. 서울 강남에서 활동하는 또 다른 컨설턴트 D씨는 "학생들에게 한달에 50만원 가량을 받고 학생부 컨설팅을 해주는데 이 중에 독서컨설팅도 포함돼있다"며 "서울대같은 상위권 대학은 지원자의 전공적합성을 보기 위해 독서 목록을 보기 때문에 책 선정부터 학생부에 기입할 내용까지 코칭이 들어간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수능 절벽' 일반고, 수시-학종서 길 찾아야

성적 양극화 심화 속 생존전략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분석 결과 과학고, 외국어고의 강세와 일반고의 부진이라는 ‘양극화’ 현상이 더 심화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깊어지고 있다. 대입 시스템이 수능에서 학생부종합전형 등 수시 중심으로 바뀌고, 경쟁력이 약해진 일반고가 특목고, 자율형 사립고와의 경쟁을 피하면서 이런 현상이 빚어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선 일반고 학생들이 계속 수능 성적에서 뒤처지는 문제에 대해 교육 당국과 학교가 적극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 수능 포기, 수시 전념 일반고
입시 전문가들은 일반고 수능 성적 하락의 첫 번째 원인으로 ‘수시모집 확대’를 꼽았다.
2002학년도만 해도 전체 대입 정원의 약 28%에 불과했던 수시는 2017학년도에 69.9%까지 늘었다. 대학 신입생 10명 중 7명은 수시로 들어온 셈. 또 상당수 대학은 최근 수시에서 수능 최저학력 기준까지 없애는 추세다. 최저학력 기준이란, 학교생활기록부나 고교 성적으로 수시에 일단 합격해도, 수능에서 대학이 요구하는 일정 등급을 얻지 못하면 합격이 취소되는 것을 말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일반고 학생들은 자연히 수능 중심의 정시보다는 수시에 희망을 걸고 몰릴 수밖에 없다. 같은 수능 문제를 풀어서 일반고 학생이 특목고, 자사고 학생보다 좋은 성적을 받기란 어렵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부는 ‘수능을 쉽게 내겠다’는 기조를 유지하며 2018학년도부터 수능 절대평가를 도입하는 등 꾸준히 수능 비중을 약화시키는 정책을 이어오고 있다. 교육 당국마저 수능 비중을 줄이는 판국에 일반고 학생들이 굳이 수능 공부에 매달리며 특목고 학생들과 경쟁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입시제도가 이렇게 변하다 보니 학생들의 대입을 지도하는 일반고 교사들도 수능과 정시를 피하고 수시에 ‘올인’하는 식으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경기 지역의 한 일반고 교사는 “학교에서 상위 5% 안에 드는 학생들도 수능으로는 특목고, 자사고와 경쟁이 어렵다”며 “차라리 그 학생들에게 교내 상이나 스펙, 추천서를 몰아주고 서울 최상위권 대학에 진학시키는 식으로 대입 전략을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 “일반고 교사, 자사고 체제 배워야”
일반고 학생의 학력이 하락하고 수능 성적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에는 전문가들의 견해가 일치하지만 전망과 해법은 다소 엇갈렸다.
우선 수능만 놓고 보면 일반고가 위기지만 전체 입시판에서는 크게 불리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앞으로도 정부는 계속 수능 비중을 줄이고 수시 비중을 늘려갈 것”이라며 “어차피 수능의 중요성과 정시 모집인원이 줄기 때문에 일반고 학생들이 수능에서 밀려도 수시와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대입의 길을 찾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알반고도 학생들의 교내외 활동을 관리하고 내신에 신경 쓴다면 대입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의견이다.
반면 현 상황을 그대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비판적인 의견도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이사는 “현재 일반고에서 최상위권을 제외한 나머지 학생들은 수능으로는 대학 가기 어렵다는 분위기가 만연해 있다”며 “자사고는 대부분 고3 1학기 전에 수능 범위를 다 마치고 이후에는 모의고사를 푸는 등 반복학습을 시키는데, 일반고는 수능 직전까지 진도를 끌고 간다”고 지적했다. 임 대표는 “일반고 졸업생들도 재수를 하면 수능에서 고득점을 올리는 경우가 많은 등 학습잠재력은 충분하다”며 “학교와 교사가 특목고나 자사고의 교육 시스템을 배우고, 이를 일반고에 적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동아일보

SKY 로스쿨, 자교 출신 독식..10명중 8명 SKY 학부 졸업

비로스쿨 대학출신, 서울 소재 로스쿨 진학률은 사시 합격비율의 3분의 1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입학생 10명중 8명은 이들 3개 대학 학부 졸업생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 로스쿨이 설립되지 않은 대학 출신이 서울 소재 로스쿨에 입학하는 비율은 사법시험 합격비율의 3분의 1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로스쿨계가 줄곧 주장해온 다양한 학생선발 기조와는 달리 현 로스쿨체제가 학벌 편중을 해결하지 못하고 서열화를 더욱 고착화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26일 서울지방변호사회가 발간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2015년 이른바 스카이 로스쿨에 합격한 이들의 80% 이상이 이들 3개 대학 학부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SKY 로스쿨 입학생 중 SKY 학부 출신 점유율 비교(서울지방변호사회 제공)© News1
SKY 로스쿨 입학생 중 SKY 학부 출신 점유율 비교(서울지방변호사회 제공)© News1
서울대 로스쿨의 스카이학부 출신 비율은 87.7%였고 고려대 로스쿨은 87.6%였다. 연세대 로스쿨도 84.3%로 세 학교 로스쿨 모두 스카이 학생비율이 80%를 상회했다. 반면 같은 기간 사법시험 합격자 중 스카이 비율은 54.13%로 30%이상 낮게 나타나 사법시험에 비해 로스쿨에 학벌편중 현상이 심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들 3개 대학 로스쿨 입학생 중 서울대 출신은 43.27%를 차지했다. 이는 같은 기간 서울대 출신 사법시험 합격자 비율 26.04%보다 약 1.7배 높아진 수치다.
사법시험과 SKY 로스쿨에서의 서울대 편중도 비교도(서울지방변호사회 제공)© News1
사법시험과 SKY 로스쿨에서의 서울대 편중도 비교도(서울지방변호사회 제공)© News1
보고서 연구 담당자인 이호선 국민대 법대 교수는 "주요 세 개 대학 로스쿨이 여타 대학들에 진입장벽을 둘러치면서 보다 심각한 독과점체제로 운영되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또한 로스쿨을 운영하지 않는 대학(비로스쿨 대학) 출신이 스카이 로스쿨에 진학한 비율은 1.38%에 불과했다. 서울 소재 12개 로스쿨로 범위를 넓혀도 2%에 그쳤다. 이는 같은 기간 비로스쿨 대학 출신의 사법시험 합격비율(6.73%)의 3분의 1 수준으로 법조계 진출의 주요 통로인 로스쿨이 사법시험에 비해 진입장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또 이재협 서울대 교수의 연구결과도 반박했다. 이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로스쿨 1~3기 308명, 사법연수원 40~43기 300명, 39기 이전 사법연수원 수료 법조인 412명 등의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은 "로스쿨의 스카이 출신 비중(55.5%)이 사법연수원(61.6%)보다 6%포인트 낮고, 지방대 졸업생의 비중은 로스쿨(17.4%)이 사법연수원(10.5%)에 비해 높다"고 분석한 바 있다.
그러나 보고서는 "이 교수 연구팀의 연구 중 적어도 사법연수원 40~43기까지를 상대로한 조사 결과는 모집단 선정과 표본 추출, 방법론 등에서 적지 않은 문제를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법무부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통계를 통해 사법시험 합격생 중 스카이 비율은 55.46%이라고 제시했다. 아울러 사법고시 합격생 중 지방대 졸업생의 비율은 13.3%로 제시해 이 교수의 연구 결과(10.5%)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뉴스1코리아

‘배우고 때로 익히면 기쁘지 아니한가(學而時習之, 不亦說乎).’


효율적 독서법..요약하고 키워드를 찾아라
‘배우고 때로 익히면 기쁘지 아니한가(學而時習之, 不亦說乎).’
논어 첫 장 첫 구절에 나오는 이 문구는 배움의 즐거움을 일깨운다. 공자는 “아는 사람은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그것을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고도 했다. 독서 역시 즐거워야 한다. 그래야 책과 오래 벗이 된다. 시간에 쫓기는 학생들에겐 효율적 독서법도 중요하다. 같은 도구라도 사용 방법에 따라 쓰임새는 크게 달라진다.
주체적으로 읽어라


누군가에게 장대는 그저 감 따는 막대기일 뿐이다. 한데 그 장대가 다른 누군가에겐 몸을 의지하는 지팡이가 되고, 또 다른 누군가에겐 거대한 바위를 움직이는 지렛대가 된다. 도구는 같아도 쓰임새가 다른 까닭이다. 책으로 지식을 넓히고 논리력을 키우려면 ‘주체적 독서’가 필요하다. 주체적 독서는 책에만 얼굴을 파묻고 피동적으로 저자의 생각만 따르는 게 아니라 행간에 자신의 생각을 끼워넣는 독서법이다. 최진석 서강대 철학과 교수는 “책에는 저자의 길이 있을 뿐”이라고 했다. 물론 저자의 길이 독자의 길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중간에 자신의 생각을 저자의 생각에 끼워넣으면 책에서 얻는 지식이 더 풍부해지고 논리력도 훨씬 커진다. 철학자 데카르트는 “독서는 과거 가장 위대한 사람과의 대화”라고 했다. 대화하듯 말을 걸고, 생각을 나누며 읽어라.
책과 데이트를 해라
책은 유익하고도 재미있는 벗이다. 데이트는 만남에서 시작된다. 먼저 책을 만나봐라. 접하기 쉽고, 관심이 있는 책부터 읽어라. 그럼 공자의 말처럼 독서의 맛을 알게 되고, 좋아하게 되고, 즐기게 된다. 가치 있는 모든 일은 시간이 걸린다. 책 한 권 읽었다고 바로 독서가 취미가 되지는 않는다. 독서도 나름 인내가 필요하다. 조금 지루하다고, 조금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책을 덮으면 점점 책에서 멀어진다. 책장에 꽂혀만 있는 책은 장식품에 불과하다. 책장에서 여러분을 기다리는 책 중 한두 권을 골라라. 그리고 읽어라. 독서는 생각이 아니라 실천이다. 중간·기말고사가 끝나면 대형 오픈라인 서점에 들러 책의 세상을 거닐어봐라. 시각은 늘 동기를 자극한다. 스마트폰과의 시간을 줄이고 책과의 시간을 늘려라.
감상문을 써라
느낌은 시간이 지나면 희미해진다. 기억·지식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독서의 효율성을 높이려면 감상문을 써보는 게 중요하다. 감상문을 쓰면 책의 내용이 분명하게 정리될뿐더러 필력도 늘어난다. 논리·창의력도 함께 커진다. 요즘 고등학교에서 중요성이 커져가는 소논문 작성에도 감상문은 크게 도움을 준다. 감상문을 쓰면서 좋은 문구나 확장성이 큰 구절 등은 필사(筆寫)하는 것도 요령이다. 필사는 사람을 정확하게 만들고, 필력을 늘리는 데도 최고의 방법이다. 감상문을 쓸 때는 책 내용 요약을 넘어 자신의 생각을 함께 써야 한다. 감상문은 단순히 긴 글의 축약이 아니다.
키워드를 정리하라
키워드는 핵심어다. 단어, 문장, 격언, 속담 등은 모두 키워드가 될 수 있다. 키워드는 지식이나 창의, 사유의 씨앗들이다. 책을 읽으면서 키워드가 될 만한 것들을 잘 정리해두면 나중에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글을 쓸 때도 키워드를 쥐고 있으면 글의 일관성이 흔들리지 않는다. 또 주제도 명확해진다. 대입 면접에서도 키워드는 유용하게 활용된다. 키워드가 있으면 예상치 못한 질문을 받아도 당황하지 않고 논리적으로 답변할 수 있다. 키워드는 일종의 글의 편집이다.
메모하라
‘메모 10년이면 운명도 바뀐다’는 말이 있다. 다산 정약용은 18년의 유배 기간에 무려 500권의 책을 썼다. 그는 ‘메모광’이었다. 김영세 이노디자인 대표도 ‘메모의 달인’이다. 그는 ‘냅킨 메모’로도 유명하다. 음식을 먹다가도 생각이 스치면 식탁 냅킨에도 메모를 한다. 세계적 베스트셀러 《어린왕자》도 생텍쥐페리가 음식점에서 우연히 그린 ‘어린 꼬마’에서 탄생했다. 스케치하는 모습을 본 출판사 대표가 “그 어린 꼬마로 얘기를 써보는 게 어떻겠느냐”고 제의했고, 생텍쥐페리는 그 어린 꼬마를 주제로 《어린왕자》를 썼다. 책을 읽으면서도 메모는 필수다. 정형화된 형식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 책을 읽다 메모를 해두면 나중에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마음에 끌리는 구절에 형광펜 등으로 밑줄을 긋는 것도 일종의 메모다.
사유하고 토론하라
책 내용을 머리에 오래 담아두려면 읽은 후 책의 큰 줄기를 되돌아 짚어보는 게 좋다. 사유는 생각을 풍부하게 한다. 사유 과정이 없으면 책 내용은 금세 흐릿해진다. 독서란 사유의 공간을 넓히려는 지적 훈련이다. 토론의 과정을 거치면 책은 내용은 더 ‘내 것’이 된다. 독서토론회 등의 동아리를 조직해 정기적으로 토론하라. 책을 읽는 재미가 더 쏠쏠해진다.
◆책 안읽는 한국인…스마트폰 직격탄?
지하철 내 풍경이 달라진 지는 오래다. 풍경을 바꾼 건 스마트폰이다. 요즘 지하철 안은 ‘고개숙인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책을 읽거나, 신문을 보는 사람은 거의 없다. 대신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하거나, 인터넷 뉴스를 검색한다. 가구당 책을 사는 데 쓰는 돈은 5년 연속 줄었다. 이달 초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4분기 및 연간 가계 동향’에 따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가 책을 사는 데 쓴 돈은 월평균 1만6623원이었다. 이는 전년(1만8154원)보다 8.4% 줄어든 금액으로, 책 한권 값에도 못 미치는 액수다.
문화체육관광부 자료에 의하면 2014년 11월21일부터 지난해 10월31일까지 신간 단행본의 평균 정가는 1만7916원이었다. 책을 사는 데 쓰는 월평균 지출액은 2010년 2만1902원을 기록한 이후 줄곧 줄어들고 있다.
전문가들은 스마트폰이 종이책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지하철이나 버스 안, 집에서도 스마트폰이 뉴스검색은 물론 게임기 역할까지 겸하면서 그만큼 종이책에서 멀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으로 읽는 글은 책으로 읽는 글과는 차이가 크다. 같은 내용이라도 책의 글이 기억에 더 오래 남고, 논리력 향상에도 더 도움이 된다. 집중력에서도 차이가 난다.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하는 흥미 위주의 글보다는 스스로가 직접 책을 고르고 읽을 때 참된 지식, 참된 사고가 생긴다.
 한국경제

귀류법에 의한 증명


한국경제 

'수능 절벽' 일반고, 수시-학종서 길 찾아야


성적 양극화 심화 속 생존전략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분석 결과 과학고, 외국어고의 강세와 일반고의 부진이라는 ‘양극화’ 현상이 더 심화된 것으로 드러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깊어지고 있다. 대입 시스템이 수능에서 학생부종합전형 등 수시 중심으로 바뀌고, 경쟁력이 약해진 일반고가 특목고, 자율형 사립고와의 경쟁을 피하면서 이런 현상이 빚어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선 일반고 학생들이 계속 수능 성적에서 뒤처지는 문제에 대해 교육 당국과 학교가 적극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 수능 포기, 수시 전념 일반고
입시 전문가들은 일반고 수능 성적 하락의 첫 번째 원인으로 ‘수시모집 확대’를 꼽았다.
2002학년도만 해도 전체 대입 정원의 약 28%에 불과했던 수시는 2017학년도에 69.9%까지 늘었다. 대학 신입생 10명 중 7명은 수시로 들어온 셈. 또 상당수 대학은 최근 수시에서 수능 최저학력 기준까지 없애는 추세다. 최저학력 기준이란, 학교생활기록부나 고교 성적으로 수시에 일단 합격해도, 수능에서 대학이 요구하는 일정 등급을 얻지 못하면 합격이 취소되는 것을 말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일반고 학생들은 자연히 수능 중심의 정시보다는 수시에 희망을 걸고 몰릴 수밖에 없다. 같은 수능 문제를 풀어서 일반고 학생이 특목고, 자사고 학생보다 좋은 성적을 받기란 어렵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부는 ‘수능을 쉽게 내겠다’는 기조를 유지하며 2018학년도부터 수능 절대평가를 도입하는 등 꾸준히 수능 비중을 약화시키는 정책을 이어오고 있다. 교육 당국마저 수능 비중을 줄이는 판국에 일반고 학생들이 굳이 수능 공부에 매달리며 특목고 학생들과 경쟁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입시제도가 이렇게 변하다 보니 학생들의 대입을 지도하는 일반고 교사들도 수능과 정시를 피하고 수시에 ‘올인’하는 식으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경기 지역의 한 일반고 교사는 “학교에서 상위 5% 안에 드는 학생들도 수능으로는 특목고, 자사고와 경쟁이 어렵다”며 “차라리 그 학생들에게 교내 상이나 스펙, 추천서를 몰아주고 서울 최상위권 대학에 진학시키는 식으로 대입 전략을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 “일반고 교사, 자사고 체제 배워야”
일반고 학생의 학력이 하락하고 수능 성적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에는 전문가들의 견해가 일치하지만 전망과 해법은 다소 엇갈렸다.
우선 수능만 놓고 보면 일반고가 위기지만 전체 입시판에서는 크게 불리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앞으로도 정부는 계속 수능 비중을 줄이고 수시 비중을 늘려갈 것”이라며 “어차피 수능의 중요성과 정시 모집인원이 줄기 때문에 일반고 학생들이 수능에서 밀려도 수시와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대입의 길을 찾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알반고도 학생들의 교내외 활동을 관리하고 내신에 신경 쓴다면 대입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의견이다.
반면 현 상황을 그대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비판적인 의견도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이사는 “현재 일반고에서 최상위권을 제외한 나머지 학생들은 수능으로는 대학 가기 어렵다는 분위기가 만연해 있다”며 “자사고는 대부분 고3 1학기 전에 수능 범위를 다 마치고 이후에는 모의고사를 푸는 등 반복학습을 시키는데, 일반고는 수능 직전까지 진도를 끌고 간다”고 지적했다. 임 대표는 “일반고 졸업생들도 재수를 하면 수능에서 고득점을 올리는 경우가 많은 등 학습잠재력은 충분하다”며 “학교와 교사가 특목고나 자사고의 교육 시스템을 배우고, 이를 일반고에 적용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동아일보

용인외고, 국·영·수 성적 1위


2016 수능 2등급 이상 78% 상위 10개교에 자사고 4곳

지난해 치러진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국어·영어·수학 3개 영역에서 1·2등급을 받은 학생 비율이 가장 높은 학교는 용인한국외국어대부설고(경기)로 나타났다. 민족사관고(강원), 상산고(전북) 등 자율형사립고들도 최상위권을 차지했다.
교육부가 25일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실에 제출한 ‘2016학년도 수능 고교별 성적자료’에 따르면 용인외대부고는 국어·영어·수학 3개 영역에서 2등급 이상을 받은 학생 비율이 78.5%에 달했다. 1~3위를 포함해 상위 10개교에 자사고가 네 곳이 포함됐다. 외고는 15곳에서 13곳으로 줄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외고와 국제고는 중학교 영어내신 위주로 학생을 뽑다 보니 국어·영어·수학·탐구 등으로 구성된 수능 준비에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일반고 중에는 충남 공주의 한일고가 4위, 공주사대부설고가 9위에 올랐다.

한국경제

작년 수능도 자사고 강세.. 1~3위 휩쓸었다

국영수 1·2등급 비율 분석해보니] 최상위권 학생들 이과 선호해 외고·국제고보다 자사고에 몰려 한일고, 일반고 1위 차지.. 대원외고는 3위서 6위로 하락



전년도보다 어렵게 치러진 2016학년도 수능에서 강세를 보인 학교는 자율형사립고(자사고)와 영재학교로 드러났다.

본지가 25일 수능을 출제·관리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2016학년도 고교별 수능 성적 자료'를 입수해 국어·수학·영어 세 영역에서 평균 1·2등급을 받은 수험생 성적을 분석한 결과다. 수능은 전체 응시생들 성적을 1~9등급으로 나누며, 1·2등급은 상위 11% 이내에 든다. 학교별 수능 1·2등급 비율은 해당 고교에 상위권 학생이 얼마나 많이 분포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그 결과, 2016학년도 수능에서 국·영·수 상위권 학생이 많이 분포한 고교는 여전히 자사고, 외국어고·국제고, 영재학교 등이었다. 이 가운데서 자사고가 지난해보다 좋은 성적을 거뒀다. 2016학년도 수능에서 상위권 학생 비율이 가장 높았던 학교 1위부터 3위까지는 모두 자사고였다. 전년도(2015학년도 수능)에는 1·2위가 자사고, 3위가 외고였다. 2016학년도 수능에서 상위권 성적 분포 1위를 차지한 학교는 용인한국외대부고로 이 학교 수능 응시생 중 78.5%가 국·영·수 세 영역에서 2등급 이내를 받았다. '물수능(매우 쉬운 수능)'이었던 2015학년도 수능(2등급 이내 76.1%)보다 더 좋은 성적을 거둔 것이다. 이어 민족사관고(77.1%), 전주 상산고(72.6%), 공주 한일고(72%) 순이었다.

2015학년도 수능 상위권 학생 비율에서 3위를 차지했던 대원외고는 2016학년도에는 6위로 떨어졌다. 대원외고 평균 2등급 이내 수험생 비율은 2015학년도 75.1%에서 2016학년도에는 71.4%로 3.7%포인트 줄었다.

수능 상위 1~10위 중 네 곳이 자사고였으며, 외국어고 2개교, 일반고 2개교, 국제고 1개교, 영재학교 1개교였다. 작년에는 상위 10곳 중 자사고 4곳, 국제고 3곳, 외고 2곳, 일반고 1곳이었다. 국제고가 줄어든 자리에 일반고와 영재학교가 각각 1곳 추가된 것이다. 상위 10위 안에 포함된 일반고 2개교(한일고, 공주대부고)는 모두 비평준화 학교다. 수능 상위 20위까지 분석한 결과 영재학교의 부상이 두드러졌다. 전년도 수능에서 1곳에 불과했던 영재학교가 이번 수능에서는 4개교로 크게 늘었다. 서울과학고(69.3%)가 영재학교 가운데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고, 한국과학영재학교(66.7%), 경기과학고(63.5%), 대구과학고(59.6%) 순이었다. 반면 전년도 수능에서 12개교였던 외고와 국제고는 이번 수능에서 9개교로 25% 줄었다.

일반고 중에는 경북 풍산고, 경기 세마고·수지고, 경남 거창고, 충북 청원고 등이 우수한 성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학교들은 대부분 전국 단위 선발을 하거나, 지역 내 비평준화 학교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외고와 국제고가 영어 내신 성적만으로 학생을 뽑으면서 최상위권 학생들의 외고·국제고 집중 현상이 덜해졌다"면서 "특히 상위권 학생들의 이과 선호 현상으로 최상위권 학생들이 자사고를 선택하면서 자사고 학력이 크게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달라지는 2017 수능 과목별 공부법

국어: 과학·기술 지문 속 개념 파악..한국사: 사건별 분석 연습을


2017학년도 수능의 새로운 출제경향과 유형, 난이도를 예측하게 도와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 6월 대수능 모의평가가 1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올해부터는 문이과 학생 모두 통합형 국어 시험을 치른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돼 수학 시험범위가 소폭 달라졌으며 한국사가 필수 응시 영역으로 지정된다. 이 같은 변화에 맞춘 과목별 공부법을 현직 교사 및 입시 전문가들에게 들어봤다.
◇인문계열, 기술 지문에 빨리 적응해야
인문계열 출신 재수생은 기술지문을 미리 대비할 필요가 있다. 기술 지문은 이공계열 학생이 치르는 국어 A형 45문항 중 보통 3~5개 문항이 출제됐다. 이근갑 스카이에듀 국어강사는 "2013학년 수능 이전에 출제된 통합형 수능의 기출문제를 푸는 연습을 하면 좋다"고 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과학·기술 지문의 난이도에 따라 문이과의 유불리가 달려 있다. 자연계열 학생들은 과학·기술 지문에 나오는 핵심 개념을 이미 알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종로학원하늘교육에 따르면 통합형으로 진행된 2013학년도 수능에서 국어 1등급을 받은 수험생은 자연계열(52.7%)이 인문계열(47.3%)보다 많았다. 올해도 최상위권 자연계열 수험생이 다소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EBS에서 강의를 하고 있는 장재혁 단대부고 국어교사는 "과학기술 지문은 공통적으로 생소한 핵심어나 현상을 설명하는 글인 경우가 많다"며 "실험을 설명하는 글이라면 실험 과정을, 기술을 소개하는 글이라면 기술의 구현 원리를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중세국어가 어떤 방식으로 출제되는지도 6월 모의평가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핵심은 고어 표기다. 그간 고전시가 작품은 국어 A형에서 현대어로 표기된 반면, 국어 B형에서는 옛날 언어 그대로 표기됐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수험생 부담을 줄이기 위해 최대한 현대어에 맞게 표기될 것으로 보인다. 장재혁 교사는 "중세국어가 음운, 표기, 문법요소, 어휘 등 네 가지 측면에서 어떤 특징이 있고 시간이 흘러 어떻게 변화했는지 초점을 맞춰 공부하라"고 했다. 이근갑 강사는 "새로운 통합형 시험이라는 점에서 고전시가와 수필을 연계하는 등 파격적인 복합 제재가 등장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달라진 시험범위 맞게 기출문제 풀이
수학은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지난해보다 출제범위가 크게 달라졌다. 인문계열 수험생이 응시하는 수학 나형에서 집합과 명제, 함수가 추가됐고 행렬, 지수로그함수가 빠졌다. 자연계 수험생이 응시하는 수학 가형에서는 행렬, 일차변환 등이 빠졌다. 재수생은 추가적인 학습 영역이 생겼지만 재학생은 영향이 없다. 김희동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수학은 지난해와 달리 출제범위에 변화가 있기 때문에 올해 수능 범위에 맞는 기출문제를 푸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예컨대 올해는 미적분Ⅰ에 해당하는 '다항함수의 미분법과 적분법'이 수학 가형에 출제되지 않는다. 기출문제 중에서 이에 해당하는 문제는 현 시점에 풀어볼 필요가 없다. 신승범 이투스 수학강사는 "고 2때는 미적분Ⅰ을 공부하기 위해 해당 기출문제를 풀어볼 수 있겠지만 수능을 대비하는 자연계열 고 3이 해당 문제를 푸는 것은 잘못된 방법"이라고 했다.
인문계열 학생은 확률과 통계를 주목해야 한다. 과거 수능에서 정답률이 매우 낮았던 유형이기 때문이다. 이 단원은 교과서에 나오는 공식과 이론만 공부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상황에 대한 분석부터 상황을 함축해 표현하고 문제 해결하는 과정을 연습해야 한다. 신승범 강사는 "합리적으로 빠르게 풀 수 있는 방법을 배우고 상황을 함축하는 훈련을 지속적으로 하라"며 "매일 문제를 풀면서 해설을 보지 않고 스스로 생각한다면 체계적인 문제해결방법을 체화할 수 있다"고 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올해는 자연계열 학생이 수학 가형을 준비하다 마지막에 나형으로 바꾸는 일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예전에는 인문계열 학생이 치르는 A형을 선택해 높은 표준점수를 얻기 위한 자연계열 학생들이 종종 있었다. 자연계열 학생이 치렀던 수학 B형의 출제범위가 수학 A형을 포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는 가형과 나형의 공통 시험범위는 확률과 통계뿐이다. 자연계열 학생이 나형을 응시하더라도 새로운 시험 범위를 공부해야 한다는 뜻이다.
◇한국사 응시 안 하면 전체 성적 무효
모든 수험생은 올해부터 수능에서 한국사를 필수로 응시해야 한다. 수시 합격생도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수시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통과하더라도 한국사 영역에 응시하지 않았다면 수능 성적을 인정받지 못해 불합격된다.
한국사 공부의 첫걸음은 개념 이해다. 단순히 역사적 사건을 암기하는 게 아니라 사건이 일어난 배경과 과정, 사건의 영향 등 인과관계를 모두 살펴봐야 한다. 예컨대 동학농민운동에 관한 문제라면 ▲왜 일어났는지 ▲어떻게 전개됐는지 ▲청일전쟁, 갑오개혁과의 연관성은 무엇인지 ▲사회에 끼친 영향 등을 복합적으로 공부하는 식이다. 역사적 사건을 공부하고 나서 이와 관련한 보충 자료를 읽고 분석하는 연습이 효과적이다. 강민성 스카이에듀 한국사 강사는 "문제풀이는 반드시 개념 공부를 한 뒤 하라"며 EBS 수능 연계 교재인 '수능 특강'을 토대로 공부하기를 권했다.
강민성 강사는 "한국사는 생각보다 기억해야 할 지식이 많은 편"이라며 "한꺼번에 몰아서 공부하면 쉽게 잊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국영수 과목을 공부하는 틈틈이 옛이야기를 본다는 느낌으로 한국사 교재를 재확인하면 좋다"고 덧붙였다.

 조선일보 

과제로 내주는 수행평가 줄어든다

사교육 부담 덜기 위한 방안… 수업때 하는 평가는 늘리기로

학부모 부담을 늘리고 사교육을 유발한다는 지적을 받은 초·중·고교의 '과제형 수행평가'가 앞으로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교육부는 최근 각 시·도 교육청에 배포한 '2016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요령' 지침에서 "가급적 수행평가는 과제로 내지 말고 학교 안에서 이뤄지게 하라"는 내용을 추가했다고 17일 밝혔다.

교사가 학생들에게 과제를 내주고 그 결과를 제출하도록 하는 '과제형 수행평가'는 학부모들 사이에서 "사실상 엄마 숙제"로 불릴 만큼 학부모 부담이 컸다. 과제형 평가에는 '모종 심어 관찰하기' 과학 실험이나 '미술 작품 만들어 오기' 같은 예체능 과제, 독후감, 전시회 감상문, 연구보고서 등이 해당된다. 결과물뿐 아니라 기획·실행 등의 과정 전반이 모두 평가 대상이다. 이 평가는 참여형 수업을 늘리고,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한다는 이유로 이번 학기부터 본격 도입됐다.

그러나 과제들이 대부분 학생 혼자서 하기에 난도가 높고 준비 과정도 버거워 학부모에게 적잖은 부담을 줬다. 일부 고소득층 학부모는 아예 과외교사에게 과제를 맡겨버리는 일도 있었다. '과제형 평가'가 고소득층 학생에게 유리하며 사교육 시장만 배를 불린다는 비판이 제기되자, 교육부는 수행평가 확대 취지가 왜곡되지 않도록 "과제형 평가를 지양하라"고 일선 학교에 지침을 내린 것이다.
 조선닷컴

2017학년도 재외국민 특별전형서울대와 주요 사립대 6월부터 모집..

특례입학, 서류 자신없으면 필답 고사 준비해야

 거주지-교육과정 등 지원자격 달라스펙 우수하면 수시 병행 지원 고려
전국 주요 대학이 2017학년도 재외국민 및 외국인 특별전형 모집을 시작한다. 서울대는 내달 7일부터, 그 외 서울 주요 사립대는 7월 초부터 원서를 받을 예정이다. 고려대, 연세대 등 전국 대학 136곳은 ‘3년 특례’에 해당하는 재외국민이나, 교포 자녀, 해외 근무자, 국적 취득 외국인 등 4598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3년 특례란 고등학교 1년을 포함해 중고교 과정 중 3년 이상 과정을 외국에서 이수한 경우를 말한다.
서울대 등 185개 대학은 ‘12년 특례’에 해당하는 신입생들을 특별전형으로 모집 인원 제한 없이 선발한다. 12년 특례는 초중고교 전 교육 과정을 해외에서 이수한 재외국민, 외국인 등을 말한다.
외국에서 초중고교를 다닌 한국인과 한국의 대학에 지원하고자 하는 외국인 학생들은 각 대학의 주요 모집요강과 요구 조건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대체로 재외국민 특별전형은 △부모 모두 지원자와 함께 해외에서 거주할 것 △고교 과정 중 1년 이상을 포함해 통상 3년 이상 중고교 과정을 해외에서 마쳤을 것 등의 조건이 요구된다. 단, 세부적인 지원 자격은 대학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대학별 모집 요강을 살펴야 한다.
재외국민 특별전형도 일반 수시모집처럼 ‘지원 횟수 최대 6회’ 제한이 적용된다. 기본적으로 고등학교 졸업(예정)증명서, 중고교 성적증명서, 보호자 재직증명서, 출입국사실증명서 등이 필요하고 대학에 따라 자기소개서, 추천서 등을 요구하기도 한다.
재외국민 특별전형은 모집 인원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기 때문에 서류 실적이나 스펙이 우수한 학생들은 그 외 고려대 연세대 등의 수시 특기자 전형을 병행해 지원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서류상으로 딱히 내세울 장점이 없다면 필답고사를 준비해야 한다”며 “인문계열은 국어와 영어, 자연계열은 수학과 영어를 중심으로 대비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필답고사 과목별 시험 범위는 대체로 대학수학능력시험 범위를 바탕으로 고 1, 2학년 과정이다. 수학은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미적분Ⅰ 등이 해당된다. 대학별로 홈페이지에 기출문제를 공개해 놨으니 참고하면 된다.

 동아일보

이공계 선호 현상에도.. 영재학교 지원자 줄었다

'대입 전초전' 고교입시 판도 분석내년 고교 입학생 7만 명 감소, 영재학교 입학 경쟁률에도 영향의대 진학에 불리한 점도 작용.. 영어 변별력 떨어져 외고 관심 줄 듯

서울과학고 한국과학영재학교 등 8개 영재학교가 전국 모든 고교 중 가장 먼저 2017학년도 입학 전형 절차에 돌입한 가운데 영재학교의 경쟁률이 전년도에 비해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입 전초전’인 고입에서도 이공계 선호 현상이 반영되면서 영재학교·과학고에 비해 외국어고·국제고의 경쟁률은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영재학교도 피하지 못한 학령 인구 급감
25일 입시전문업체 진학사에 따르면 전국 8개 영재학교가 원서 접수를 마감한 결과 789명(정원 내)을 모집하는데 1만1882명이 지원해 경쟁률은 15.1 대 1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경쟁률 18.3 대 1에서 큰 폭으로 하락한 것.
2017학년도 영재학교 입학 경쟁률이 전년도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공계 선호 등으로 영재학교의 인기는 줄지 않았지만 학령 인구감소, 시험 일자 통일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3월 서울 성균관대에서 열린 대구과학고의 입학설명회 모습. 동아일보DB
8개 영재학교 중 대구과학고만 전년도 21.7 대 1에서 2017학년도 22.6 대 1로 소폭 상승했을 뿐 나머지 학교들은 모두 경쟁률이 떨어졌다. 특히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의 경쟁률은 25.6 대 1에서 14.2 대 1로 큰 폭으로 떨어졌다.
학령 인구 감소와 영재학교의 시험 일정 통일 등이 경쟁률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 수는 59만5089명이지만 내년에 고교에 입학하는 현재 중3 학생은 52만5975명이다. 즉, 내년 고교 입학생 수는 1년 만에 무려 6만9114명(11.6%)이 감소한다. 영재학교에 대한 선호도가 낮아진 것은 아니지만 수험생 수가 줄어든 만큼 지원자 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 올해부터는 8개 영재학교가 3단계 전형 중 2단계인 영재성 검사(수학, 과학 지필 시험)를 모두 같은 날 실시하는 것으로 통일하면서 복수 지원자가 상당히 줄어든 것으로 전문가들은 판단하고 있다.
여기에 영재학교 학생들은 성적으로는 의대에 지원이 가능한 자연계 최상위권 학생들인 것을 감안하면 영재학교에서 의대 진학 희망자의 입학을 만류하고 있는 것도 일정 부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영재학교는 이공계 우수 인재를 양성하자는 취지로 설립됐다. 국민 세금으로 입학금과 수업료를 면제받는 영재학교 학생들이 교육 목표와 관련 없는 의대에 진학하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영재학교 학생들의 의대 진학을 줄이기 위해 한국과학영재학교는 입학 상담 때부터 의대 진학 희망자는 입학을 포기할 것을 권고하고 있고, 서울과학고는 올해 입학설명회에서 ‘의대 진학 시 추천서 불가’ 방침을 명확히 밝히기도 했다.
올해 고교 입시를 치르는 중3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2019학년도에는 의대 입학 정원이 307명 늘어나기 때문에 의대에 관심을 갖는 학생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영재학교의 교육과정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대비하기에는 오히려 불리해 의대 진학에 적합하지 않다는 점도 중학교 때부터 의대 진학을 염두에 둔 학생들이 영재학교 입학을 꺼리는 이유 중 하나다. 임규형 서울과학고 교장은 “영재학교에서는 수준 높은 영재 교육을 하는 것이 목표여서 수능을 대비한 입시 교육은 별도로 하지 않는다”며 “의대에 진학하기에 영재학교는 불리한 조건”이라고 말했다.
전국 21개 대학에서 진행 중인 산업 연계 교육 활성화 선도대학사업(프라임 사업)과 이공계 졸업자의 높은 취업률 등으로 이공계 고교로의 진학에 대한 선호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분석된다. 이 때문에 영재고와 비슷한 과학고에 대한 관심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허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연구원은 “과학고 지원자들은 충분한 정보를 갖고 관심 분야의 연구, 학업 비중, 학교 시설 등을 고려해 소신 지원하는 경향이 있다”며 “수험생 감소의 영향은 받겠지만 과학고의 지원율 하락 폭은 다른 고교 유형에 비해 작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 외고·국제고 지원 하락할 듯
반면 외국어고와 국제고는 지원율이 상당 수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고려대가 2018학년도부터 논술을 폐지하고 특기자 모집도 줄이겠다고 발표하는 등의 여파로 외고 및 국제고의 경쟁률이 2.34 대 1(2015학년도)에서 1.97 대 1로 낮아졌다. 올해도 2018학년도 수능 영어 반영 방식이 절대평가로 결정되면서 상위권 대학에서 영어 과목의 변별력이 과거보다 낮아지는 것이 외고·국제고의 지원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2018학년도 대입에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뽑은 인원이 전체 입학 정원의 23.6%에 달하는 등 학생부종합전형의 비중이 커지면서 고입에서 자율형사립고에 대한 선호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학생부종합전형은 고교 안에서 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한데, 자사고는 교과 편성의 자율성이 크고, 심화교과 개설도 상대적으로 잘 이뤄지는 편이다. 또 자사고 지원자들은 미리 학교의 특화된 프로그램, 동아리 등을 알아본 뒤 지원하는 경우가 많아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활동하기 때문에 동아리 활동 등이 상대적으로 잘 이뤄지는 것도 학생부종합전형에서 강점으로 작용한다.
다만 수험생 감소로 전국 단위로 선발하는 자사고에 비해 광역 단위 자사고의 경쟁률 감소 폭은 커질 가능성이 있다.
동아일보

제13회 MUNOS 참가자 모집


해외 명문 중·고교생과 함께 국제 이슈를 토론하며 글로벌 리더십을 키울 수 있는 국내 최고·최대의 청소년 모의 유엔 회의(MUNOS)가 열린다.

조선에듀케이션이 주최하는 서울모의유엔회의(MUNOS)는 올해 13회째로, 그간 다수의 미 명문대 및 국내 상위권 대학 국제학부 합격생을 배출하는 청소년 정치·외교 컨퍼런스로 자리매김해왔다. MUNOS는 오는 8월 5일(금)부터 사흘간 서울 리버사이드호텔과 코엑스에서 열린다. 매년 800명가량의 국내외 학생들이 각국 유엔 대사 역할을 맡아 세계적 이슈에 대한 해결책을 영어로 논의한다.

참가자는 국제 NGO인 굿네이버스와 함께 개발도상국 아동의 교육을 위한 캠페인을 진행하고 봉사활동 인증을 받을 수 있다. MIT·조지타운대 등 미 국 명문대 외국인 재학생과 함께하는 모의 유엔 교육 세미나도 열린다.

영어 토론을 좋아하고 국제 사회 이슈에 관심이 많은 청소년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기간: 8월 5(금)~7일(일)

●대상: ▲주니어부(초 6~중 2)

▲시니어부(중 3~고 3)

●접수 마감: 7월 22일(일반 참가자) ※선착순 마감

●접수·문의: (02)724-7848

www.munos.co.kr

서울 15개 大, 모집 인원의 절반 수능 성적 안 보고 뽑는다


윤곽 드러난 2017 大入… 수시 어떻게 대비할까
수능 최저학력기준 미반영 대학
경쟁률·합격선 대체로 높아 유의
내신 낮다면 논술·적성전형 고려

지난달부터 각 대학이 2017학년도 입시안을 확정해 속속 발표하고 있다. 올해 4년제 대학은 전체 모집인원의 69.9%(24만8669명)를 수시모집으로 선발한다. 모의고사나 내신성적이 나쁜 학생 중에는 수시를 포기하는 경우도 적지 않지만, 전형을 살펴보면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거나 내신 반영비중이 낮은 전형도 있다. 입시 전문가들은 "10명 중 7명을 수시모집으로 선발하는 상황에 수시 지원 기회를 버리는 것은 어리석다"며 "고 3 학생들은 대학별 전형을 꼼꼼히 보고 자기에게 맞는 전형을 찾아라"고 조언했다.
조선일보 DB
◇한양대·건국대, 全 수시전형 수능 안 봐
모의고사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들은 수능 성적 없이도 지원 가능한 전형을 살펴봐야 한다. 서울권 주요 15개 대학〈표 참조〉의 2017학년도 수시전형을 보면 수능 성적을 반영하지 않고 선발하는 인원이 1만7152명으로, 전체 모집인원 3만1173명의 절반(55%) 이상을 차지한다. ▲학생부종합 1만1363명(36.5%) ▲실기위주 3361명(10.8%) ▲논술전형 1264명(4%) ▲학생부교과 1164명(3.7%) 등이다. 특히 한양대와 건국대는 모든 수시모집 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반영하지 않는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모의고사 성적이 약한 학생은 정시에서도 목표대학에 합격하기 어려우므로 수능성적을 반영하지 않는 수시전형을 노리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희동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없다고 해서 수능에 응시하지 않아도 되는 건 아니다"라며 "지원 자격에 '수능에 반드시 응시해야 한다'는 등 조건이 있지 않은지, 모집요강을 잘 살피라"고 강조했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없는 전형은 대개 학생부종합·실기 전형이지만, 학생부교과전형에서 반영하지 않는 대학도 있다. ▲이화여대 고교추천전형(450명) ▲동국대(서울) 학교생활우수인재전형(288명) 등이다. 김찬휘 대성마이맥 입시센터장은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없는 학생부교과전형은 대개 면접을 실시하므로, 지원 대학·모집단위에 맞는 면접 준비를 병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용관 스카이에듀 총원장은 "어떤 전형이든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반영하지 않으면, 반영하는 전형보다 경쟁률과 합격선이 높다는 점을 유념하라"고 충고했다.

◇내신 미반영 전형, 예체능·특기자 대부분
수시에서 내신을 반영하지 않는 전형은 대부분 예체능계열 특기자전형이다. 다만 한양대 특기자(글로벌인재-어학) 전형의 경우는 인문계열 97명을 선발하므로, 외국어 에세이와 면접이 가능한 학생이라면 지원해볼 만하다. 삼육대 글로벌인재전형(18명) 역시 내신 반영 없이 어학 공인인증시험 성적과 면접만으로 선발한다.

내신을 10% 이하로 반영하는 전형도 한양대 음악특기자전형, 동국대 체육특기자전형, 경희대 체육실기우수자전형으로 모두 예체능에 관련됐다. 내신을 20% 이하로 반영하는 전형은 서강대 논술전형(364명), 중앙대 논술전형(836명) 등으로 대부분 논술전형이다. 임성호 대표는 "학생부중심(교과·종합)이 확대되는 만큼, 내신이 입시의 '핵심'이 되고 있다. 내신이 좋지 않은 학생들은 논술·적성전형 또는 정시 지원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 논술전형의 경우 대부분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있어 그만큼 부담도 커진다. 따라서 '인(in)서울 대학'을 노리는 고 1~2학년이라면 3년 평균 내신을 2등급 이내로 맞춘다는 각오로 공부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논술 비중 줄지만 상위권 大 영향력 강해
2017학년도에 논술전형을 실시하는 대학은 30개교다. 모집인원은 1만4861명으로, 전년(1만5349명)보다 488명이 줄었다. 이 중 논술전형으로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대학은 성균관대(1154명), 고려대(1040명), 경북대(913명) 등 순이다.

논술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반영해 선발하는 인원은 1만1850명으로, 전체의 80%를 차지한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반영하지 않는 대학은 11개교로, 성균관대(과학인재), 한양대, 서울시립대, 건국대, 단국대, 광운대, 서울과기대, 한국항공대, 경기대, 가톨릭대(자연계 일부학과 제외), 아주대(의예 제외) 등이다.

김찬휘 센터장은 "수시에 지원하려는 학생은 '수시+수능'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여기서 수능은 '정시 지원'이 아니라 '최저학력기준 충족'을 의미한다. 수시 지원 전략을 세울 때는 원하는 대학·모집단위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달성 가능한 목표인지를 반드시 점검하라"고 조언했다. 정용관 총원장은 "논술전형은 논술고사 실시 시기(수능 이전·이후), 대학별 출제 경향 등을 확인해 전략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며 "인문계는 수리·통계해석이나 영어 제시문 포함 여부, 자연계는 과학논술 포함 여부 등을 확인하라"고 귀띔했다.

◇수시 비중 늘어도 '수능'이 입시 핵심
최근 대입에서는 수시모집 비중이 계속 커지는 추세다. 2018학년도에는 수시 모집인원이 25만9673명으로 늘어 전체의 73.7%를 차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수능의 영향력'에 의문을 갖는 학부모가 늘고 있다. 정시 비중이 20%대로 떨어진 상황에 수능 공부에 시간을 할애할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오해다. 임성호 대표는 "내게 대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으라면 바로 '수능'을 꼽겠다"며 "정시 비중이 20%라고 해서 수능의 중요성이 20%로 줄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라고 단언했다. "(학생부종합·교과 전형에서 합격 가능성이 큰) 내신 1~2등급을 받을 수 있는 학생은 전체의 10%에 불과해요. 나머지 90% 학생에게는 수능이 중요하다는 얘기죠. 현재 수시 지원자의 70%가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상황이고요. 좋은 내신을 만들 가능성이 없는 상황이라면, 비교과활동보다는 수능에 매진하는 게 훨씬 현명한 방법입니다."


조선닷컴

KIS 제주, 여름방학 글로벌 영어·음악 캠프 모집


다국적 친구들과 영어 토론·악기 연주… 문화 교류는 덤
한국국제학교 제공
한국국제학교 제주캠퍼스(KIS Jeju)가 여름방학을 맞아 글로벌 영어·음악 캠프 참가자를 모집한다. 두 캠프 모두 오는 7월 24일부터 10박 11일 동안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KIS의 우수한 교육 커리큘럼, 최신 시설을 경험할 수 있다. 전 세계에서 온 외국 학생들과 함께하며 글로벌 역량도 키운다.

영어캠프는 초 4~고 2가 대상이다. 학생 중심의 ▲스피치 ▲토론 ▲영작수업과 ▲디지털미디어 ▲공연 ▲스포츠 등 체험·실습 위주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학생들은 KIS 교사와 함께 다양한 이벤트를 취재하고 방송 뉴스를 제작한다. 과학실뿐만 아니라 야외에서 실험을 하고 제주 자연환경을 탐사한다. 창의적이고 협동적인 활동을 통해 아이들은 흥미롭게 영어를 공부할 수 있다. 캠프는 온종일 영어만 사용하는 영어 몰입환경이다.

미래 인재에게 필수적인 코딩 교육도 진행한다. 미국의 비영리단체 '코드닷오알지(code.org)'로부터 인증받은 교사들이 학생들이 프로그래밍을 스스로 꾸준히 공부할 수 있도록 가르친다.

음악캠프는 KIS와 미국의 버클리음대 한국 동문회가 공동 주관한다. 국내 유일의 국제 영어음악캠프로써 모든 수업을 영어로 진행한다. 버클리음대 교수와 동문을 초빙하는 등 강사진이 국내외 최정상급이다. 학생 맞춤형 수준별 지도 덕분에 학생들은 음악적 감성 표현, 음악 프로그램의 응용·제작과정 등을 배울 수 있다. 초 4~고 3이라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음악캠프 참가자들은 장르·형식·수준별 합주에 참여해 하나의 작품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경험하고 공연을 펼친다. 서로 소통하고 공감하며 실전 무대를 체험하는 기회다. 이 밖에 케이팝(K-pop)에 초점을 맞춘 보컬, 댄스 트레이닝 등 프로그램도 마련됐다. 노유석 KIS 글로벌 실용음악과 학과장(버클리음대 한국총동문회 사무처장)은 "일방적 교육이 아닌 자유로운 소통과 공감을 통해 글로벌 뮤지션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자리"라 말했다.

모든 캠프 참가자들은 KIS의 모든 시설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사감이 기숙사에 24시간 상주해 아이들의 안전 관리를 책임진다. 참가 신청은 홈페이지서 받는다. 오는 6월 20일까지 선착순 모집한다.

●문의: www.kiscamp.com

(064)741-0690~1〈영어캠프〉

(064)741-0599〈음악캠프〉

인생, 그것이 호랑이였네


어릴 때는 싫었던 '인어공주'… 헌신적 .. 이해 못 해
물거품으로 흩어질 줄 알면서도 전부를 주는 것이 사랑
행복한 결말의 디즈니 영화보다 안데르센 원작을 한 줄씩 읽으리

정미경 소설가 사진
정미경 소설가
어린 나는 안데르센이 싫었다.

그가 쓴 동화 '인어공주'의 결말을 받아들일 수가 없어 병이 났다.

사람을 사랑하게 된 공주, 그 사랑을 위해 어여쁜 목소리를 마녀에게 주고 다리와 바꾸는 공주, 언니들이 구해다 준 칼을 왕자의 가슴에 꽂기만 하면 다시 행복한 시절로 돌아갈 수 있음에도 칼을 버리는 공주 아리엘. 그 지고지순한 헌신의 결말이 헛된 물거품으로 흩어지는 것이라니! 환상적인 스토리는 매혹적이었으나 사랑의 깊음을 헤아리기엔 내가 어렸다.

그보다 한층 더 싫었던 동화가 있었으니 '해와 달이 된 오누이'였다. 그야말로 '옛날 옛적에…'로 시작되는지라 미워할 원작자조차 없었는데 이건 읽기보다는 이야기로 여러 번 들었다. 할머니, 엄마, 아버지, 고모…. 특히 할머니는 옆집에서 일어난 일이라도 되듯 생생하게 구연을 하곤 했다. 이야기꾼의 취향이나 기분, 심지어 날씨에 따라 그 디테일 역시 조금씩 달라졌으나 엽기적이고 잔혹한 핵심 내용은 빠지는 날이 없었다. …시장에 떡을 팔러 갔다 돌아오던 엄마는 어둑한 산길에서 말하는 호랑이를 만난다. 그 말인즉슨 '팔 하나 떼어주면 안 잡아먹지.' 모르는 사람이 없을 이야기다.

호랑이는 매번 저만치 앞서 기다린다. …다리 하나 주면 안 잡아먹지. 팔다리를 차례차례 떼어주고 몸뚱이만 데굴데굴 굴러 돌아오다 끝내는 그마저 호랑이 밥이 되어버린다. 차라리 한 번에나 잡아먹든가. 여기서라도 좀 끝이 나면 좋겠는데 이 사이코패스 같은 호랑이는 오누이마저 잡아먹으려고 집까지 찾아들고 우여곡절 끝에 오누이는 하늘로 올라가 해와 달이 되었다는 것이다. 뒤따라 올라가던 호랑이가 떨어져 죽으면서 흩뿌린 피가 묻어 수수는 붉은 반점을 갖게 되었다나. 아아! 이 무슨 누아르풍의 동화란 말인가. 이후로 불그스레한 수수팥떡은 나의 혐오식품이 되어버렸다.

결국엔 잡아먹진 않겠다는 제 말마저 삼켜버리는 호랑이는 얼마나 비열하고 치사한가. 이해할 수 없는 건 떡장수 엄마도 마찬가지였다. 어스름 저녁에 호랑이가 출몰하는 산길을 왜 기어이 돌아온단 말인가. 바보 아닌가? 인생에는 팔과 다리를 하나씩 떼어주면서도 넘어야 하는 가파른 고개가 있다는 걸 알 리 없는 나이였다.

어쨌거나 내 오랜 소원을 풀어주겠다는 듯 디즈니사는 1989년 영화 '인어공주'를 만들면서 해피엔드로 결말을 바꾸었다. 후련했던가? 그렇지 않았다. 사랑의 마음이란 물거품으로 흩어질 줄 알면서도 제 전부를 주는 기이함이란 걸 알게 된 나이였다. 다시 두 개의 버전 중 하나를 선택하라면 안데르센의 원작을 차분히 한 줄씩 읽어보겠다. 수수팥떡을 꼭꼭 씹어 먹으며.

참 모를 일인 게 느닷없이, 정말 느닷없이 이 이야기가 떠오를 때가 있다. 장에 간 엄마를 기다리던 어린 내가 자라나 떡장수의 시간을 지나고 있을 때. 누군가의 팔과 다리를 하나씩 똑똑 따먹은, 고개 하나 넘을 때마다 먼저 와 기다리던 호랑이가 나였음을 알게 되었을 때. 그걸 깨우치고 보니 내가 당신의 호랑이였소, 고백해야 할 사람은 이미 곁에 없을 때. 어린아이와 떡장수 엄마와 호랑이, 그 셋이 또한 하나임을 알게 되었을 때. 결국은 인생, 그것이 호랑이임을 시간이 가르쳐주었을 때.

모란까지 피어버린 조숙한 계절. 이 기운 끌어모아 남은 한 해 버티라는 듯 생기로 충만한 오월이 절정을 지나고 있다. 어린이날, 어버이날, 부부의 날로 이어지는 오월은 가히 사랑의 달이라 부를 만하다. 선물을 주고받고 모처럼 화려한 식당에 둘러앉기도 했을 것이다. 사람 사이의 관계는 짐작보다 훨씬 물렁물렁해서 가끔은 이런 형식이 필요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관계의 더 깊은 곳을 응시해보아야 할 시간이기도 하다.

가장 가까이 있는 그는 나에게, 나는 그에게 누구인가.
 조선닷컴

학종, 교과가 좌우… 스펙쌓기만 하면 헛수고"서울대, 2018학년도에 78% 선발


권오현 입학본부장 인터뷰]

단순히 내신등급 보는 것 아닌 수강과목 구성·수업 활동 평가
소논문 작성해도 가산점 없어
2021학년도 이후에는 정시에도 학종 도입 검토

권오현 서울대 입학본부장 사진
대학 입시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이하 학종)을 둘러싼 논쟁이 거세다. '학종'은 내신 성적뿐 아니라 교내 수상 실적, 동아리·봉사활동 등 비(非)교과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수시 모집 입시 전형이다. 학종 논쟁이 커진 것은 상위권 대학에서 학종을 확대했고, 일부에서 이 전형이 사교육 잘 받은 고소득층 학생에게 유리한 것 아니냐는 주장을 제기하기 때문이다.

실제 고2 학생들이 치르게 되는 2018학년도 입시에서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서울 지역 주요 16개 대학이 전체 모집 정원의 43%를 학종으로 뽑는다. 특히 서울대는 신입생 10명 중 8명(78.4%, 2491명)을 학종으로 뽑겠다고 발표했다. 새로운 입시 트렌드인 '학종'을 사실상 서울대가 리드하고 있는 것이다. 스스로를 '학종파(派)'라고 말하는 권오현(58·사진) 서울대 입학본부장을 만나 대입에서 학종을 확대하는 이유와 어떻게 학생을 뽑을지에 대해 들어봤다.

―학종에 대한 학부모들 걱정이 많다. 비교과를 어떻게 평가할지에 대한 우려다.

"왜 학종에서 비교과가 자꾸 강조되고 있는지 미스터리다. 비교과 비중이 컸던 과거 입학사정관제 시절엔 개인의 독특한 스펙이 내신 2~3등급 차이까지 뒤집기도 했다. 그러나 그러면서 입시가 공교육과 멀어졌고, 그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 만들어진 게 학종이다. 학종은 철저한 교과 중심이고, 비교과 활동 역시 교과에 연동돼야 평가받는다. 서울대 학종은 대부분 교과에서 당락(當落)이 좌우된다고 보면 된다. 수험생이 비교과, 즉 수상 실적이나 스펙 쌓기에만 몰두하는 건 악수(惡手)다."

―비교과를 준비하기 위해 교과 선행 학습 시기가 더 빨라졌다는 얘기도 있다.

"그건 서울대 입시에서 떨어지려고 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비교과를 그렇게 준비하기 위해선 교과를 소홀히 할 수밖에 없고, 교과를 선행 학습으로 해결하면 학교 수업 집중도가 떨어질 것이다. 학교생활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서울대에 들어올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허물어버리는 것이다."

―일부에선 학종을 위해 소논문 쓰기가 필수가 됐다. 사교육에 의존하는 등 부작용도 많다.

"서울대는 (고교 시절 작성한) 소논문에 대해 한 번도 가산점을 준 적이 없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그렇다면 '학종'에서 가장 중요한 게 내신 등급인가?

"내신 등급이라기보다 수업 활동이다. 내가 다니는 학교가 일반고든 자사고든 어떤 과목을 듣고 어떻게 수업에 참여했는지를 학생부에 기록하면 된다. 만약 내신 등급이 가장 중요하다면 수강생 많고 쉬운 교과목만 들었던 지원자가 서울대 학종에 합격할 것이다. 그러나 수강생이 비록 30명뿐이고 점수도 2~3등급밖에 안 되지만 자기가 원하는 심화 과목을 들으며 적극적으로 탐구 활동을 한 학생을 (우리는) 더 평가할 수 있다."

"서울대 입시는 교과와 비교과를 구분해 점수를 매기지 않는다. 더구나 교내상 몇 개면 몇 점, 봉사 몇 시간이면 몇 점, 이런 식의 점수 매기기는 엄금(嚴禁) 사항이다. 오직 ▲학업 역량(학업 성취도) ▲학업 태도(수업 태도 등 공부와 관련된 열정) ▲학업 외 소양(학교생활·봉사활동·사회성 등) 세 가지 영역으로만 나눠 평가한 뒤 이를 종합한다. 세 가지 영역 안에 교과와 비교과가 반영되는데, 이 가운데 학업 역량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크다. 학업 역량이 수준 이하인데 나머지에서 점수를 많이 받아 역전한다는 건 사실 힘들다. 물론 학업 역량이 다소 떨어지지만 피눈물나게 노력했다든지, 열악한 환경에서 공부했다든지 하는 경우는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다."

―학업 역량은 어떻게 평가하나?

"학생부 내 교과 영역 표를 꼼꼼하게 뜯어본다. 단순히 등급을 읽는 게 아니라 예컨대 그 학생이 어떤 과목을 들었는지, 그 과목의 등급은 어떤지, 원점수는 얼마인지, 수강생 평균 점수는 얼마인지, 총 몇명이 과목을 들었는지, 표준편차는 어떤지, 전체적인 과목 구성이 어떤지 등을 모두 평가한다. 이어 세부 특기 사항으로 가서 해당 수업에 학생이 어떻게 참여했는지, 관련된 분야의 교내 대회에서 어떤 상을 어떻게 받았는지를 확인한다. 그러면 한 학생의 수학 과목 능력, 과학 과목 능력, 국어 과목 능력이 한눈에 보인다."

―일각에선 학종이 경제력과 정보력이 뛰어난 가정 자녀에게만 유리하다고 하는데.

"학종이 대입의 중심인 지금 서울대에 입학생을 내는 고교는 800개가 넘는다. 수능이 대입의 중심이던 시절엔 이보다 훨씬 적었다. 오히려 여건이 어려운 아이들이 더 주목받을 수 있는 입시가 학종이다. 지금 다시 수능 중심 입시로 돌아간다면 일반고에서 서울대 합격자를 내는 건 꿈속의 일일 것이다. 특목고·자사고가 생기면서 그동안 고교 체제가 너무 많이 바 뀌었기 때문이다."

―서울대 입시는 당분간 학종으로 가나?

"적어도 2020학년도까지 학종과 정시 비중은 8대2 수준이 유지될 것이다. 그러나 수능 영어가 절대평가로 바뀌고 수능이 계속 쉽게 출제되면 서울대도 정시에 대한 고민이 크다. 2021학년도 이후에는 정시에도 학생부 전형을 도입하거나 심층 구술 고사 등 대학별 고사를 병행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조선일보

“자사고 뜨고 외고 진다” 입시기관 분석에 발끈한 外高

기사 이미지


“영어 절대평가로 불리? 이공계 선호가 더 영향 미쳐
 정시보다 수시로 대학 더 많이 가 수능 영향력 적다”

“‘그 자료’는 수능 변별력이 떨어질 거란 전망을 토대로 분석한 거죠. 하지만 외고 인기 하락은 수능 영향력보다는 문·이과 선호도 차이에서 와요. 취업률 등을 고려해 이공계에 인재가 몰리다보니 외고 지원자 수가 줄어드는 게 현실이죠. 영어 절대평가로 인한 현상이 아니고, 취업률과 관련한 추세라는 거죠. 주요 외고들이 일명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에 정시보다 수시로 더 보내는데, 수능 영어 절대평가가 영향력이 클 리가 없죠.”(서울 한 외고 입학부장)


최근 한 입시기관이 ‘대입 논술/특기자 감소, 영어 절대평가 도입… 외고·국제고 지원율 하락 예상’ ‘학생부종합전형(이하 학종) 강세에 따른 자사고 선호 유지 예상’ 등의 내용은 담은 분석자료 ‘아는 만큼 보이는 2017학년도 고입 지형’을 냈다. 관련 내용을 접한 자사고들은 웃었지만 외고는 사실 관계를 바로잡으며 불편한 속내를 드러냈다.


◇“영어 절대평가보다는 취업률로 인한 이과 쏠림 영향이 더 커”
‘아는 만큼 보이는 2017학년도 고입 지형’이라는 분석자료에는 "고려대가 2018학년도 대입부터 논술을 폐지하고, 특기자 모집도 줄이겠다고 발표한 후 지난해 외고, 국제고의 지원율은 2015학년도 2.34:1보다 크게 낮아진 1.97:1을 보였다. 올해 2018학년도 영어 절대평가에 따른 대학들의 수능 영어반영 방법이 발표됐는데 상위권 대학에서 등급별 감점제를 적용해 이전보다 변별력이 낮아진 만큼 외고, 국제고 지원율에도 다소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는 내용이 담겼다.

서울의 한 외고 관계자는 “본교 학생들이 소위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에 진학하는 것을 보면 대부분 수시전형을 통해서다. 정시 영향력이 적은데 영어 절대평가 영향력이 클 이유가 없다. 수능 변별력이 떨어질 것이란 전망 토대의 분석 같지만, 외고 선호도는 수능 영향보다는 ‘(취업률에 따른) 문·이과 선호도’ 차이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영어 절대평가로 인한 현상이 아니다”라고 바로 잡았다.

또 다른 외고 관계자는 “영어 외에 국어, 탐구 등 수능 영역이 변별력을 갖춘 채 살아있는데, (영어 하나 때문에) 외고 선호도가 떨어졌다고 볼 수 없다. 외고에서 영어가 수능 공부로 활용되는 곳은 드물다. 학생부종합전형에 대비해 활동을 강조하는 원서강독·토론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외고들은 ‘학종 확대’ 등 입시제도 변화에 맞춘 준비 태세를 잘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원율 하락과 관련해서는 “주요 외고의 경우 1차 합격선이 높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어서 애초 지원자 수가 많지 않다. 서울대가 타 대학에 비해 지원율이 낮다고 해서 인기가 하락했다고 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지원자 수준이 잘 알려져 있고 합격 컷이 뻔하기 때문에 지원자 수가 적어진 것 뿐”이라고 설명했다.


◇대입 수시 비중 증가, 학종 확대로 ‘자사고’ 인기 상승

한편 “외고 선호도가 떨어지고 자사고 인기가 상승하고 있다”는 건 교육계 안팎에서 공통적으로 나오는 의견이다. 최근 수시모집 인원 증가와 학생부종합전형의 확대로 자사고가 더 주목받는 것도 사실이다. 교과 편성의 자율성으로 심화교과 개설이 자유롭고, 동아리 활동 등 비교과에 적극적인 학생들이 많아 ‘학종에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교육계에서는 일찍이 “내신 경쟁이 치열해도 학종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강점을 갖추고 있어 자사고 선호 현상은 올해도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박석현 광양제철고 교감은 “자율형사립고등학교(자사고) 입시는 자기주도학습전형으로 이뤄진다. 대학 입시 전형인 ‘학생부종합’과 상당히 유사한 제도여서, 자사고에 지원하는 학생들은 미리 입시환경을 연습해 보는 셈이다. 성취평가제와 전기고라는 특성 등에 힘입어 ‘학종’ 시대를 앞둔 올해도 자사고 경쟁률이 오르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말했다.

김천고 관계자는 “벌써부터 전화 문의가 많다. 특히 우선선발이라 할 수 있는 일반면접 때문에 학생들이 많이 지원하지 않을까 전망한다. 작년에 경쟁률이 매우 높았는데, 올해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이어 “김천고에는 학생들이 학생부종합전형에 차별화를 둘 수 있는 과정들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겨울학기 형태의 ‘3학기제’다. 일반 고교에서는 배우기 힘든 AP(대학과목선이수제)나 SAT(Scholastic Aptitude Test·美 대학입학 자격시험) 등을 본교 교사들이 직접 원서로 교육한다”고 설명했다.

학생 성취도에 따라 학업수준을 평가하는 성취평가제 등으로 자사고 지원자 수는 올해도 유지될 것이란 전망이다. 성취평가제는 석차로 성적이 평가되는 상대평가와 달리, 학업성취도에 따라 A-B-C-D-E(A등급-성취도 90% 이상, B등급-90% 미만∼80% 이상 등) 5단계로 나눠 매기는 절대평가다. 과목별 원점수 90점 이상만 되면 최상위 성취도 A를 받을 수 있다.

박석현 광양제철고 교감은 “학교 석차로 1.5~2배수를 뽑던 종전에는 지원자 풀이 좁았다. 성취평가제 이후 모든 과목에서 ‘A’를 받는 아이들이 (교내) 10%까지 있는 상황에서 1단계 지원자 풀이 넓을 수밖에 없다. 1단계 커트라인이 거의 ‘올(all) A’라고 보면 된다”고 전했다. 이어 “전국단위 자사고가 전기고라는 특성상 ‘한 번 써보자’라는 기대심리로 더욱 많은 지원자가 지원할 수 있다”며 “지난 주 입학설명회에 가보니 지난해보다 참가자가 30% 이상 증가했더라. 자사고 선호 현상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자사고 선호 현상은 전국단위에만 머물 것이란 견해도 있다. 한 전국단위 자사고 교사는 “인기가 상승하는 전국단위 자사고와 달리 대학 진학 실적을 보이지 못하는 광역단위 자사고는 학부모 신뢰나 선호가 크지 않다. 지원자 수가 다소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외고 인기 하락은 현장에서도 드러난다. 합동 입학설명회 등을 다녀 보면 학부모들이 자사고 설명만 듣고 외고 차례에서 자리를 뜨는 경우를 꽤 봤다”고 전했다.
조선일보

2017학년도 대입 주요 특징 - 수시(上


올해 수시 69.9% 선발..수시 지원은 필수 지망大 중심 자신에게 유리한 전형 살펴봐야

올해 수시모집 원서는 9월12일부터 21일까지 대학별로 3일 이상을 선택해 접수한다. 수험생들은 확정된 수시 모집요강을 참조해 자신의 지망대학 중심으로 원서접수, 논술·면접·적성 등 대학별고사 시험일, 추가합격 발표기간, 최종합격자 발표 일정 등을 꼼꼼히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올해 수시모집 선발인원은 작년보다 약 2% 늘어나 전체의 69.9%에 달하지만 수시 미등록으로 인한 결원 발생으로 수시모집 실질 선발인원은 소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 주요 대학이 공지한 올해 전형계획을 살펴보면 수시에서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논술, 적성고사 등 대학별고사 인원은 다소 축소되고 학생부교과전형 또는 종합전형의 선발인원은 5~10% 정도 확대됐다. 정시모집에서는 여전히 수능의 영향력이 가장 크게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수험생들은 자신이 지망하는 대학의 올해 전형계획을 중심으로 전형유형, 지원자격 조건, 성적반영 전형요소 및 반영비율 등을 면밀히 살펴보고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전형을 미리 찾아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앞으로 생글 <대입전략 코너>에서는 ‘수시와 정시 주요 특징 및 지원 전략’을 2회씩 나눠 총 4회에 걸쳐 연재할 예정이다.

1. 수시 지원은 이제 대입 필수코스
올해 주요 대학의 수시모집 비율은 서울대 77%,연세대 72%,고려대 74%,성균관대 72%,서강대 68% 등 작년 선발비율과 비슷하다. 수시모집은 해마다 전체 모집 정원의 70%에 이를 만큼 이제 대입 지원의 필수코스가 됐다. 서울 상위권 대학이 수시모집 인원을 정시모집보다 많이 선발하는 이유는 우수 학생을 먼저 독점하려는 대학들의 선발 의지가 그대로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수험생들은 자신의 지망대학을 중심으로 올해 전형계획 및 지난해 모집요강을 살펴본 뒤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전형을 찾아 미리 대비하는 자세가 반드시 필요하다. 일부 재수생은 수시를 포기하고 정시 지원을 위해 오직 수능준비에만 전념하는 경우가 더러 있는데, 이렇게 정시에만 올인하는 건 수시 70% 이상의 기회를 버리는 무모한 전략이므로 반드시 수시도 정시 준비와 병행해 미리 대비하도록 하자.
2. 고려대, 성균관대, 중앙대 논술전형 많은 인원 선발
교육과학기술부는 사교육비 경감대책의 일환으로 수시모집에서 논술전형 축소를 주요 대학에 지속적으로 요청해왔다. 하지만 주요 대학은 약 10년간 논술고사가 안정적인 입학시험으로 정착돼 왔고 갑작스러운 입시 변화는 수험생에게 혼란만 가중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고려대 1040명, 성균관대 1154명, 경희대 920명 등 명문대를 중심으로, 올해 수시에서도 적지 않은 인원을 논술전형으로 선발할 전망이다. 물론 학생부 성적도 일부 반영하고 있으나 내신 80% 이상을 반영하는 학생부교과전형을 대학별로 모집인원의 10% 내외로 별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논술 중심 전형은 결국 논술 성적에 따라 당락이 결정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학생부 성적이 다소 부족한 수험생들도 논술전형을 미리 포기하지 말고 지난해 수시 모집요강에서 학생부 반영방법과 실질반영비율을 꼼꼼히 따져보고 학생부 반영비율이 작은 대학을 골라 출제 유형에 맞춰 논술을 꾸준히 대비하는 것이 좋다. 만약 학생부 성적이 부족하다면 논술 반영비율이 70% 이상인 대학을 살펴보는 것이 좋고, 수능(모의고사) 성적이 낮다면 수능최저기준을 적용하지 않는 대학을 집중 공략하는 것이 좋다.
3. 논술에 자신없다면 학생부교과전형에 주력
논술, 면접, 적성고사 등 대학별 고사를 별도로 준비하기가 부담스러운 수험생은 교과성적으로만 선발하는 학생부교과전형을 목표로 남은 기말고사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한양대, 이화여대, 중앙대 등 대다수 서울 주요 대학이 학생부교과전형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모집정원의 10% 내외로 유지할 것으로 보여 학생부 반영비율이 30~50%를 차지하고 있는 3학년 교과성적 관리에 소홀함이 없도록 성실히 대비해야 한다. 학생부교과를 희망하는 수험생은 2학년까지의 교과성적을 정확히 분석해보고 지난해 합격자들의 성적을 살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작년 자신의 희망대학 합격권이 주요 교과평균성적 1.7등급이고 자신의 2학년까지의 성적이 1.9등급이라면 3학년 1학기의 교과평균성적을 최소 1.5등급 이내로 끌어올려야 지원이 가능하다. 그리고 학생부 교과성적으로 일정 배수를 선발한 뒤 2단계에서 면접으로 최종 합격자를 뽑는 학생부교과 ‘단계별 전형’도 적지 않으니 교과성적이 1등급에 수렴하는 최상위권이 아닌 수험생들도 지망대학의 학생부교과 전형방법을 다시 한번 확인하도록 하자. 아울러 면접 대비도 목표 대학의 지원계열 및 학부(학과)에 초점을 맞춰 기출문제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좋다.
4. 전공적성검사 총 10개 대학에서 실시
교과성적이 서울 주요 대학을 지원하기에 다소 부족하거나 논술고사가 부담스럽다면 가천대, 고려대(세종), 서경대 등이 실시하는 전공적성검사전형 지원을 검토해 보자. 전공적성검사전형은 올해 수도권 대학을 중심으로 10개 대학에서 4562명을 선발하는데 지난해 11개 대학 4639명 선발에서 다소 줄었다. 보통 학생부성적과 적성성적비율이 50 대 50 또는 40 대 60으로 외형상 비슷하나 학생부 성적보다는 적성검사성적의 실질 반영비율이 매우 크다는 점을 명심하자. 다시 말해 적성문제 1~2문제로 부족한 교과등급을 한 등급 정도 만회할 수 있기 때문에 최소 3개월 이상 꾸준히 대비한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적성검사 지원자들은 지망대학 기출문제로 최근 출제유형 파악은 물론 문제당 배점, 영어시험 포함 여부 등을 확인해보고 지원을 검토해보는 것이 좋다. 주로 국어 및 수학 영역을 객관식으로 출제하는데 합격선은 100점 만점 기준으로 최소 75~80점 안팎이 많다.
5. 다양한 실기(특별)전형도 지원검토
대학들이 전형요소로 주로 반영하는 학생부, 수능, 대학별 고사를 모두 성실히 대비했다면 수시와 정시에서 지원폭이 넓어져 여러 전형에 지원이 가능하다. 반면 교과성적이 좋지 않거나 논술 등을 미리 준비하지 못한 수험생들도 수시 지원을 포기하는 것은 매우 어리석은 일이다. 일례로 수상실적, 임원경력, 교내외활동, 독서활동 등 비교과가 우수하다면 학생부종합전형에 지원할 수 있다. 학생부종합전형은 학생부교과전형 합격자에 비해 대개 1~2등급 정도 교과성적이 낮더라도 지원학과와 전공에 맞는 전공적합성, 성실성, 열정과 잠재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합격자를 뽑는다. 또한 대학별로 어학우수자 및 수학과학 특기자 등 다양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실기전형과 특수교육대상자, 특성화고교 출신자, 농어촌 학생 등이 지원할 수 있는 기회균등전형도 마련돼 있다. 최근 모집인원을 축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어학우수자전형은 TOEFL, TEPS, HSK, JPT, ZD, DELF 등 공인 어학성적표를 요구하거나 일정 수준 이상 성적을 획득해야만 지원 가능한 글로벌리더전형 및 어학특기자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학과학 특기자전형은 수학과학 성적이 우수하거나 대학에서 인정하는 수학과학 관련 대회 수상자가 지원할 수 있다. 자신의 목표 대학에 어떤 전형들이 있는지 꼼꼼히 살펴보고 지원을 검토하는 적극적인 수시 준비 자세가 꼭 필요하다.

한국경제

이슈가 된 자연계 논술문제


 한국경제

국제학교 및 외국인학교, 정확하게 알고 보내자


필자는 13세 무렵부터 영국으로 조기유학을 떠난 영국유학 1세대다. 초중고대학을 영국에서 보내며 겪은 경험과 현재 국제학교 및 외국인 학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생활이 많이 달라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필자가 느낀 국내외 국제학교와 외국인 학교의 문제점을 많은 학부모님들에게 알리고 대비하는 데에 이 글의 목적이 있다.
약 6년 전후로 내국인도 진학할 수 있는 국제학교들이 제주도 및 전국 각지에 생겨나기 시작하였고 현재 약 30여개의 국제학교들이 한국에 있다. 국제학교들의 성격은 학교마다 상이하고 추구하는 목적 또한 다르다. 현재 주요 국제학교 및 외국인 학교에서는 IBDP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과정을 입시과정으로 택하고 있다. 그러나 학부모님들은 국내입시와 매우 다른 해외대학진학에 있어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교과 과목에 대한 이해도 전반적으로 깊지 못하기 때문에 자녀 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실정이다.
○ 국내외 국제학교 및 외국인학교의 가장 큰 문제점, 학교 시스템 많은 수의 학교들이 IBDP과정을 대학입시과정으로 선정하고 있다. IBDP 과정은 유럽식 교육법, 더 정확히는 영국식 교육시스템에 맞추어져 있다. IBDP 과정은 Diploma 학위과정이기 때문에 일종의 자격증처럼 여겨지는 과정이다. 취득 후 3~4년까지 효력을 가질 수 있어 한국처럼 재수를 위해 수능을 다시 치르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전 세계 같은 대륙에 있는 학생들은 모두 같은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그 교과과정과 범위를 학교의 재량으로 결정할 수 없다.
미국 및 캐나다 계 IBDP 교과과정에 들어가기 이전의 교과과정은 영국식 IBDP 과정에 맞게 설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IBDP 과정에 들어감과 동시에 학교 전체적으로 성적하락을 하는 학교가 상당히 많다. 물론 IB 과정을 공식인증해주는 IBO에서 중학교 과정인 MYP과정을 신설하여 보급하고 있지만 아직도 설계단계이며 강제성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반면 영국제 학교들은 영국중등학교졸업자격시험(GCSE/IGCSE) 과정을 통해 학습에 연속성을 가지고 있어 상대적으로 적응하기에 수월하다.
미국 및 캐나다 계 학교들은 전반적으로 미국 또는 캐나다로 학생들을 대학에 보내고 싶어 한다. 따라서 재학 중인 학생들이 대학 측에서 중시하는 학교 내신(지원하기 전 학년포함 3년)에서 고득점 하기 원한다.
이를 만족시키긴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는 까다로운 입학과정을 통해 우수한 학생들만 뽑는 방법. 두 번째는 전체적인 교과과정을 낮추어 상대적으로 쉽게 점수를 취득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 그것. 신입생 모집이 어려운 학교들은 대부분 후자를 택한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함정은 있다. IBDP 과정은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그 난도가 정해졌다는 것. 안타깝게도 보통 학부모님들이 IBDP 과정에 들어가기 전 좋은 성적을 내는 자녀를 믿었다가 제일 중요한 IBDP 1년차 학점(GPA)을 놓치는 경우가 많아 외부기관을 통한 학생의 객관적인 실력평가가 필요하다.
○ 교사의 질(quality)과 잦은 교체도 문제 많은 컨설팅과 상담을 통해 접할 수 있는 외국인 및 국제학교 학부모님들의 고민은 아이들이 학교에서 교과과정을 충실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제일 불만으로 느꼈다. 분명히 명문고교의 분교이고 촘촘한 커리큘럼을 자랑하는 학교들인데 말이다. 그 이유는 다음에서 찾을 수 있었다.
IBDP 과정은 1968년 생겨나 약 5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은 과정이다. 그리고 전세계적으로 퍼져나간 지는 약 10여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영국의 A-level, 미국의 SAT, AP 과정에 비해 교과과정을 완벽히 이해하고 있는 교사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HL(Higher Level) 과정의 커리큘럼은 국내대학교의 2학년 개념까지 섞여있기 때문에 상당히 난이도가 높으며 범위 또한 넓은 편. 따라서 IBDP 과정의 HL과정을 수업하기 위해서는 해당과목을 전공하지 않고서는 좋은 수업을 하기 어렵다.
필자는 경험을 통해 영국 보딩스쿨(상위 20위 이내) 학교와 국제 및 외국인학교의 너무나 다른 교사의 질에 실망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문제에 대하여 필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찾을 수 있었다.
IB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특별한 자격증이 필요하지 않다. 국제 및 외국인학교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해당국가의 교사 자격증만 필요하기 때문에 교사의 능력을 확신할 수 없다. 또한 몇몇 학교에서는 생물 선생님이 물리를 가르치는 참사가 일어나기도 하며 선생님들간의 실력차이가 눈에 띌 정도. 심한 경우 수준별 학습을 진행하는 과목에서 잘하는 학생임에도 불구하고 선생님의 수업능력 때문에 상반으로 반을 옮기는 것을 꺼리는 학교도 종종 있다.
물론 국제 및 외국인학교에서도 교사관리는 이루어진다. 하지만 역시 잦은 교체로 인해 공백을 매우기엔 부여된 시간이 너무 짧아 그 효과가 미미하다.
반면 영국 보딩스쿨의 교사관리를 살펴보자. 영국의 보딩스쿨은 각 과목당 해당 학부로 나누어지게 되며 각 과목의 학과장(Department head)이 있고 이들은 대부분 옥스퍼드 또는 캠브리지 출신의 경력이 오래된 교사이거나 대학교수를 맡았던 경력이 있는 교사다. 학과장을 중심으로 과목 전체적인 교육방침과 수업의 질 그리고 학생관리가 이루어진다. 보딩스쿨의 학과장은 교수와 같은 지위로 각 학교에 채용되며 교사관리에 관해 전권을 쥐게 된다. 따라서 흔들림 없이 교육과정을 마칠 수 있는 것이다. 보딩스쿨의 교사교체는 매우 드문 일이며 보편적으로 보딩스쿨의 교사에 대한 대우가 상당히 좋기 때문에 한 학교에서 오랫동안 머무는 것이 그 장점이다.
○ 학교의 분위기를 파악하라 학교 내 선배 학부모님들과 교류하며 위와 같은 문제점들이 있는지를 제일 먼저 파악하여야 한다. 만약 위와 같은 문제점이 발견될 시 외부기관 (학원 또는 기타교육기관)을 통해 주기적으로 학생의 객관적인 실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미국 및 캐나다 계 국제외국인 학교 학부모님들은 IBDP과정이 유럽식 교육과정이고 난도차이가 있기 때문에 들어가기 전 예습을 통해 학생들이 IBDP과정에 들어갔을 때 당황하지 않고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
스토리에듀케이션에서는 5월 21일(토) 제주 제주시 신라스테이 컨퍼런스와 6월 11일(토) 서울 강남구 코엑스 208 컨퍼런스룸 에서 설명회를 개최한다. 설명회는 오전 9시~ 오후 6시 미국대학과 영국대학 입시의 차이점부터 IB 각 과목에 대한 집중분석으로 다루어지며 개별상담 또한 같이 진행된다. 정확한 정보가 필요한 학부모님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동아일보

2016년 5월 19일 목요일

영재학교 최종 관문 면접·캠프 학교생활 적응력 본다 .. 인성·탐구능력 확실히 보여줘야 | 조기영재교육

영재학교의 최종 관문인 3단계 면접·캠프 전형에선 학습 태도와 인성·탐구능력, 사고력을 평가한다. 영재학교 지원자의 수학·과학 실력은 대부분 뛰어나다. 따라서 합격 후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평가가 이뤄지는 3단계 전형이 입학자격을 받을 수 있는 중요한 단계다. 이 전형에선 지원자의 자질과 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지만 학교에서 공부하는 데 가장 필요한 탐구능력도 보기 때문에 이를 집중적으로 어필하는 것이 중요하다.
탐구능력은 영재학교의 교육목표와 인재상에 맞는 자질과 잠재성을 평가하기에 가장 좋은 요소다. 생활에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한 가설 설정, 추론, 실험설계, 결과 예측에 대한 탐구 방법론까지 스스로 이해하고 있는지 자문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생활 속 궁금증 주제 삼아
스스로 해결한 과정 강조
팀 토론 때 다른 의견 존중
수학의 경우 문제 풀이과정을 직접 설명하며 어떤 아이디어로 접근했는지 발표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난해 서울과학고는 실험평가와 인성면접이 주를 이뤘다. 경기과학고는 수학·과학 구술면접을 진행했다. 주어진 자료를 해석하고 가설을 세우는 문제 외에 복제 인간과 인간성을 다룬 영화 ‘블레이드 러너’를 시청한 후 ‘복제 인간은 인간다운 존중을 받아야 할까’라는 주제로 토론했다.
인공지능 같은 과학 이슈 챙기길
한국과학영재학교는 3명이 하나의 팀을 이뤄 15분간 세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 해결 과정을 화이트보드에 적어가며 설명하는 방식으로 면접시험을 치렀다.
대전과학고는 ‘크로마토그래피의 너비에 따른 이동거리 비교’를 주제로 실험을 설계했다. 또 배려와 존중, 소통과 이해, 정직과 신뢰, 봉사와 희생이라는 4개의 주제 팻말 중 자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팻말 2개를 선택해 1분간 이유를 설명하는 방식으로 인성을 평가했다.
3단계 전형까지 남은 기간에 발표·토론에 대비하기 위해선 과학 이슈에 대해 설명하는 연습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올해는 인공지능(AI)·지진 같은 자연재해 이슈와 빅데이터·사물인터넷(IoT) 등 기술 변화에 따른 미래사회의 변화에 대해 고민해보는 것이 좋다. 인성면접은 캠프 참가 태도 외에 글쓰기, 조별 토론을 통해 평가하기 때문에 지나치게 극단적인 주장이나 호전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은 좋지 않다.
팀을 이뤄 발표·토론 같은 협동 과제를 할 때는 자신의 표현과 태도가 과하지 않은지, 상대방을 배려하고 있는지 등을 냉철하게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생각이 다른 것은 ‘틀린 것’이 아니므로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고 충분히 듣고 판단하는 태도가 중요하다.


중앙일보 

전국 8개 영재학교 2단계 지필고사 전형

수학 ·과학 서술형 문제 많아 정확하게 푸는 방법 연습을
전국 8개 영재학교 2단계 지필고사 전형이 22일 치러진다. 해는 대부분의 학교가 서술형 문제를 강화하겠다고 발표해 학생들이 체감하는 도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엔 2단계 전형 일정이 학교마다 달랐지만 해는 모든 영재학교가 같은 날로 정했다. 중복지원이 줄어 전년보다 경쟁률은 아졌지만 시험이 까다로워진 만큼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올영재학교 2단계 전형에서는 수학·과학 지필고사를 치른다. 지원자의 사고력과 탐구 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평가한다. 이 때문에 중학교 교과의 주요 개념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정해진 시간 안에 정확한 풀이 과정과 답을 쓰는 연습을 해야 한다. 기출문제를 풀 때는 풀이 과정에서 정확한 용어와 단위를 사용했는지, 자신의 생각이 논리적으로 배열되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와이즈만 영재교육이 지난달 20일 진행한 영재학교 2단계 전형 대비 과학특강에서 학생들이 빛과 파동을 주제로 수업을 듣고 있다. [사진 와이즈만 영재교육]
와이즈만 영재교육이 지난달 20일 진행한 영재학교 2단계 전형 대비 과학특강에서 학생들이 빛과 파동을 주제로 수업을 듣고 있다. [사진 와이즈만 영재교육]
예년 기출문제를 분석해 보면 한국과학영재학교(KSA)·서울과학고·경기과학고는 경시대회 심화 수준의 문제가 출제됐다. 어려운 문항에서 변별력이 크게 나타났다.
대전·대구·광주과학고와 세종·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는 경시대회 기초 수준의 문제가 주로 출제됐다.
고진용 와이즈만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영재학교를 준비하는 학생 수준이 비슷하다고 볼 때 중등 심화 수준의 문제는 기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합격 가능성이 커진다”며 “실질적으로 경시대회 심화 수준의 수학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당락을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학, 학교 따라 세트 서술형·단답형
수학은 풀이 과정 속의 정확한 개념 사용과 응용력, 문제 해결 과정의 아이디어를 평가한다. 이 때문에 정답 유무를 떠나 채점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지난해 수학 기출문제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유형별로 세트 서술형(서울·경기·KSA)과 세트 단답형(세종·인천)으로 나눌 수 있다. 두 가지 형태는 동일한 주제를 쉽거나 어려운 수준까지 다룬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유형별로 요구되는 수학 능력은 달랐다.
먼저 세트 서술형은 비교적 어려운 소(小)문항을 해결하기 위해 주어진 상황을 수학적으로 일반화시키는 능력을 요구했다. 세트 단답형은 주어진 상황을 직관적으로 예상하고 효율적인 계산을 통해 검증·확인하는 능력이 필요했다.
두 가지 유형 모두 정확한 개념 이해와 문제풀이 과정을 서술해야 한다. 남은 기간 주요 개념을 짚어보고 오답 노트로 복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특히 서술형에 취약한 지원자라면 자신의 생각을 정확한 수학 용어를 사용해 논리적으로 배열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기출·경시대회 문제 복습
수학 문제해결 능력 중요
과학 고교 심화과정 공부
올해 2단계 과학 지필고사는 탐구형 문항에 집중해야 한다. 지난해 영재학교 2단계 과학 기출문제의 경우 탐구형 문항이 크게 늘고, 창의성 문항은 감소했다. 2단계 지필고사에서 과학적 지식을 포함한 탐구 능력을 철저히 평가하고, 3단계 면접·캠프 전형에서 창의성과 인성 평가에 집중하겠다는 뜻이다.
융합형 문항은 증가하는 추세다. 물리·화학·생명과학·지구과학 영역 간 융합 문제도 다수 출제됐다. 생명과학 등 한 영역 안에서 ‘신장’과 ‘질병’ 같은 다른 단원의 주제를 조합해 출제한 문항도 있었다. 융합형 문항은 타 영역과 물리 영역과의 융합 문제가 가장 많이 출제됐다. 주요 개념을 복습하면서 물리를 중심으로 다른 영역과의 연관성을 정리해 보는 것이 좋다.
과학, 창의형보다 탐구형 출제 경향
지난해 입시에서 과학 지필고사 난도는 KSA, 광주과학고, 대구과학고,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대전과학고 순이었다. KSA에서는 고등 교과 수준의 문제가 많이 출제됐다. 광주·대구과학고와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에서는 중등 교과 심화 수준의 문제가 주로 나왔다.
대전과학고에서는 중등 교과 기본 수준의 과학 개념을 묻는 문항이 출제됐다. 중등 교과 심화 수준을 바탕으로 고등 교과 이상의 내용까지 준비한다면 문제를 비교적 쉽게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단계 지필고사는 시간 싸움이다. 얼마 남지 않은 시간 동안 효율적으로 복습하기 위한 시간 배분도 필요하다. 서울·경기·대전과학고는 수학을 중심으로 복습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KSA·대구과학고·광주과학고는 과학을 중심으로 시간을 배분하면서 고등 교과 수준의 개념을 한 번 더 살펴보는 것이 좋다. 세종·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는 중등 교과 과정의 과학 개념을 마지막까지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답형으로 출제되는 대전과학고는 정확한 풀이에 대해 많이 준비해야 한다.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