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10일 화요일

인간이 과식하면 안되는 이유

인류, 지구를 먹어치우다

[인간은 과식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한 사람에게 하루 동안 공급된 열량은 전세계 평균 1961년 2196kcal에서 2011년 2870kcal로 50년 사이에 무려 30%가 늘었다. 2011년 벨기에인들은 하루 섭취 권장량(2000~2500kcal)을 훨씬 웃도는 3793kcal를 공급받아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오스트리아(3784kcal), 터키(3680kcal), 미국(3639kcal)이 그 뒤를 이었다. 과연 인간의 몸은 이처럼 엄청난 ‘먹이 활동’을 감당할 수 있을까?
 
결론부터 이야기하자. 인간의 몸은 ‘메가이터(Mega Eater)’가 될 준비가 전혀 돼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매우 다양한 종류의 동식물을 자주, 그리고 어마어마하게 많이 먹고 있다. 이 같은 불일치로부터 모든 재앙이 시작됐다. 많이 먹을 수 있는 몸을 타고나지도 못했으면서 인간이 메가이터가 될 수 있었던 이유들을 살펴보자.

이제 인간은 탐식을 주체하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탐식 때문에 자주 먹더라도 섭취량이 적으면 괜찮다. 문제는 ‘과식’이다. 전 인류는 과식하는 식습관때문에 비만이나 성인병 같은 여러 가지 문제를 겪고 있다. 음식은 다다익선이 아니다. 몸에 꼭 필요한 필수 영양소도 과다하면 문제가 된다.

예컨대, 고기를 많이 먹으면 몸에 필요한 아미노산을 초과하는 분량은 모두 분해되는데, 이 과정에서 생성된 암모니아는 요소로 바뀌어 오줌으로 배출된다. 몸에 해로울 수 있는 암모니아가 배출되므로 당장 대사적인 문제가 생기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 과정이 너무 ‘과도하게 오래’ 지속되면 간과 콩팥에 무리를 줄 수 있다.

곡류를 너무 많이 먹어도 문제가 생긴다. 몸에 흡수되는 포도당의 양이 급격히 많아져 인슐린이 과다하게 분비된다. 인슐린은 체지방 합성을 촉진하므로 살이 급하게 찔 수 있다. 만일 인슐린이 잘 작동하지 않는 당뇨병 환자라면 혈액 속 과다한 포도당이 혈관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섬유소, 즉 채소류 역시 너무 과식하게 되면 가용성 섬유소를 몹시 좋아하는 장내 미생물이 과도하게 발효를 일으켜 장 안에 메탄 가스가 급격히 많아진다. 배가 꽉 찬 듯한 불쾌한 느낌과 메스꺼움이 동반된다.

지금도 배고픈가? 그러나 당신의 몸은, 소화생리학적으로 지금의 엄청난 포식량을 감당할 수 없다. 메가이터 인간은, 결코 메가이터가 되지 말았어야 했다.

잡식동물인 인간은 다양한 음식을 자주 즐기지만, 메가이터가 될 몸을 타고나지는 않았다. 예컨대, 섬유소를 너무 많이 먹으면 장내 미생물이 과도하게 발효를 일으켜 장 안에 메탄 가스가 급격히 차 메스꺼움을 느낀다. - Rocky Mountain Laboratories, NIAID, NIH(W) 제공
잡식동물인 인간은 다양한 음식을 자주 즐기지만, 메가이터가 될 몸을 타고나지는 않았다. 예컨대, 섬유소를 너무 많이 먹으면 장내 미생물이 과도하게 발효를 일으켜 장 안에 메탄 가스가 급격히 차 메스꺼움을 느낀다. - Rocky Mountain Laboratories, NIAID, NIH(W) 제공


○ 전분을 먹지 않는 극단적인 육식주의가 문제다

자유의지 덕분에 인간은 동물과는 다른 독특한 식습관을 발달시켰다. 개인적 취향에 따른 채식주의와 육식주의다. 최근 건강을 위해, 또는 정치적, 도덕적 이유에서 채식을 하는 사람이 많이 늘었다. 이에 대해 논란이 많다. 실제로 고기 단백질을 거의 먹지 않으면 근육이 줄어들고 몸의 면역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꼭 고기가 아니더라도 콩 같은 식물을 통해 적절한 양의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다면 문제가 없다(물론 인간을 비롯한 잡식동물에게는 탄수화물, 단백질, 그리고 지방이 골고루 든 식단이 가장 이상적이다. 오랫동안의 경험과 과학적인 관찰을 통해 널리 알려져 있는, 모든 사람들이 이해하고 공감하는 상식이다).

GIB 제공
GIB 제공


특별히 채식을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사람들은 고기를 많이 먹는다. 고기 소비량이 세계 상위 수준인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는 한 사람이 1년 동안 각각 26.3kg, 42.4kg, 36.7kg의 소고기를 먹는다(2015 OECD-FAO 농업 전망, 2012~2014년 평균). 돼지고기와 양, 염소, 닭, 오리 등 다양한 고기의 소비량을 모두 합하면 100kg을 거뜬히 넘긴다.

흔히 오해하는 것과 달리, 일시적으로 고기를 좀 많이 먹는다고 해서 몸에 문제가 생기지는 않는다. 인간은 단백질을 소화하는 효소를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몸이 필요로 하는 단백질을 초과하는 분량은 에너지원으로 저장되거나 배출된다.

고기는 20개의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데, 이 중 18개는 간에서 포도당이나 포도당 유사물질로 바뀌어 체내 에너지원으로 쓰일 수 있다. 고기에 붙어 있는 지방 역시 지방산으로 소화된 뒤 케톤체로 바뀌어 에너지원으로 쓰인다.

문제는, 전분을 먹지 않는 극단적인 육식주의다. 밥이나 국수 없이 고기만 먹으면 몸에 공급되는 포도당이 없기 때문에 췌장의 인슐린 분비가 낮아진다. 분명히 음식을 먹지만 대사적으로는 굶고 있는, 모순적인 상황이 벌어지는 것이다.

GIB 제공
GIB 제공


고기를 통해 아미노산과 지방산이 많이 공급되지만, 마치 굶을 때처럼 체지방은 계속 분해된다. 이를 이용한 ‘황제다이어트’가 10여 년 전 유행했다.
요즘 사람들이 닭가슴살만 먹어 체지방은 줄이고 식스팩을 유지하는 것도 바로 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일정 기간 동안의 황제다이어트는 분명 체지방을 감소하는 데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런 식습관이 오래 지속되면 대사적으로 문제가 생긴다. 체지방이 계속 분해되면 간과 혈액에 지방산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케톤체가 급격히 많이 생산된다. 케톤체는 원래 굶어서 포도당이 부족할 때 만들어져 에너지원으로 쓰이는 대사물질이다.

황제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은 실제로는 많은 양의 고기를 먹어 아미노산이나 지방산이 공급된 상태기 때문에, 급격히 늘어난 케톤체는 에너지원으로 다 쓰이지 못하고 체내에 축적될 수밖에 없다. 이 경우 혈액의 수소이온 농도(pH)가 낮아지는 ‘대사산증’이 올 수 있다. 두통이나 설사, 경련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케톤체의 하나인 아세토아세테이트는 신경세포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또 다른 케톤체인 아세톤은 몸에서 특유의 냄새가 나게 한다. 물론 일생 동안 황제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은, 적어도 필자 주변에서는 보기 어렵다. 극단적인 육식주의가 아닌 대부분의 사람이라면, 늘어난 고기 섭취로 인해 문제가 생길 일은 적다는 의미다.
과학동아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