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17일 금요일

대입전형 늘었나? 줄었나?




교육부는 지난해 9월 2015학년도 대학입시 간소화 계획을 발표했다. 수천 개에 달하는 대입 전형 수를 줄이는 것이 핵심이다. 교육부 구상은 대학별로 수시모집은 최대 4개, 정시모집은 최대 2개의 전형만 허용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런 지침에 따라 각 대학은 지난해 말 2015학년도 입시안을 속속 확정했다. 그런데 최근 이를 두고 갑론을박이 일고 있다. 일부 사설 입시기관들이 각 대학의 전형안을 분석해보니 전형 수가 오히려 늘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과연 대입 간소화 방안이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 대입 간소화 실효성 논란 증폭

이투스청솔은 전국 215개 대학의 전형안을 분석한 결과 전형 유형이 915개(수시 529개, 정시 386개)로 집계됐다고 지난주 밝혔다. 그런데 모집 시기별로 세부 전형을 따져보면 지난해 2883개(수시 1846개, 정시 1037개)였던 전형이 오히려 2988개(수시 2000개, 정시 988개)로 늘었다고 주장했다. 하늘교육은 서울 10개 대학(경희대 고려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국어대 한양대)의 전형안을 분석한 결과 수시모집 전형이 지난해 99개에서 올해 100개로 늘었다고 밝혔다.

논란이 일자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8일 분석 자료를 내고 사설기관의 주장이 틀렸다고 반박했다. 대교협은 2015학년도에 수시모집을 실시하는 213개 대학과 정시모집을 실시하는 215개 대학의 전형안을 분석한 결과 전형 수는 지난해 1454개에서 올해 892개로 줄었다고 밝혔다. 대학별 평균 전형 수도 지난해 6.76개(수시 4.21개, 정시 2.65개)에서 올해 4.15개(수시 2.72개, 정시 1.46개)로 축소됐다고 말했다.

대교협은 “일부 입시업체가 전형 명칭과 전형 방법이 같은 동일한 전형 내에서 모집 대상이 다른 경우 이를 각각 하나의 전형으로 계산하고 정원 외 전형까지 계산에 넣는 바람에 틀린 숫자가 나왔다”고 밝혔다.

○ 왜 다를까?

똑같은 전형안을 두고 정부와 사설기관이 계산한 전형안 수가 이렇게 다른 이유는 뭘까. 이는 전형 수를 세는 기준이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교육부가 제시한 전형 방법 수의 산정 기준은 △정원 내 전형을 기준으로 하며 △예체능계열의 전형 방법, 사범계열의 인적성검사, 종교계열의 교리문답은 전형 수를 산정할 때 제외하고 △전형요소와 반영비율이 같은 전형은 하나의 전형으로 계산한다는 것이었다.

교육부와 대교협은 사설기관들이 이런 예외 사항을 모두 전형 수 산정에 포함해서 전형이 늘어난 것처럼 보인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한양대의 수시모집 학생부전형을 보면 모집 대상에 따라 학생부종합(일반학생 대상)전형, 고른기회(사회적배려자 대상)전형,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으로 나뉘지만 전형요소와 반영비율은 학생부 100%로 같다. 교육부의 기준에 따르면 이것이 하나의 전형인 반면 일부 사설기관의 셈법에 따르면 이것이 3개의 전형으로 계산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기존에 대학들이 전형 방법은 유사한데도 모집단위마다 전형요소나 반영비율을 달리 했던 것을 올해부터 통합했다. 같은 전형 내에서 다른 방법으로 학생을 선발하던 우선선발도 폐지됐다”고 말했다.

일선 고교의 진학지도 교사와 수험생들은 전형 수를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시는 학교생활기록부, 정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위주라는 원칙이 명확하게 적용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모든 학생이 수능, 내신, 논술 등을 다 준비해야 하는 일명 ‘죽음의 트라이앵글’이 사라지지 않는 한 실질적인 학습 부담은 달라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평가이사는 “2015학년도 입시에서 전형 수가 정부 의도대로 줄어든 것은 맞다”면서 “일부 대학이 지원자격을 지나치게 세분화하는 등 꼼수를 쓰긴 했지만 전반적으로 보면 논술 반영 대학도 줄었고 일선 고교에 설명회를 가보면 교사들도 전형이 상대적으로 단순해졌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동아일보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