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13일 월요일

宥坐之器(유좌지기)

유좌지기(宥坐之器)란 ‘항상 곁에 두고 보는 그릇’이라는 뜻으로, 마음을 가지런히 하기 위한 스스로의 기준을 이르는 말이다. 공자(孔子)가 주(周)나라 환공(桓公)의 사당(祠堂)을 찾았을 때, 사당 안에는 의식 때 쓰는 그릇인 의기(儀器)가 놓여 있었다. 이것을 본 공자가, “저것은 무엇에 쓰는 그릇입니까?” 하고 물었다. 사당지기는, “항상 곁에 두고 보는 그릇입니다.”라고 하였다. 공자는 고개를 끄덕이며 이렇게 말했다. “나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이 그릇은 속이 비면 기울어지고 가득 채우면 엎질러지는데, 알맞게 물이 차면 바로 선다고 하더군요.” 공자의 말대로, 이는 비거나 차면 기울고 엎어지지만 적당하면 곧게 서 있을 수 있는 그릇이다. 선인들이 이것을 마음 깊이 간직했던 이유는, 자신의 마음을 알맞게 적정선으로 유지하여 너무 지나치거나 부족하지 않게 조절한다는 평상심의 뜻이 있었다.
“가득 차면 엎어진다는 그릇이 바로 이것인가.”
제자들에게 명해 물을 붓도록 하자 과연 그와 같았다. 공자가 탄식했다.
“아, 가득 차고도 엎어지지 않는 것이 과연 있을 수 있는가.”
자로가 물었다.
“감히 가득 찬 것을 지탱하는 도리를 알고자 합니다.”
공자가 대답했다.
“총명이 신통한 경지에 이를 만하면 우수(愚守·어리석음으로 지킴)하고, 공로가 천하를 덮을 만하면 양수(讓守·양보로 지킴)하고, 용력이 세상을 누를 만하면 겁수(怯守·겁냄으로 지킴)하고, 부귀가 사해를 채울 만하면 겸수(謙守·겸손으로 지킴)한다. 이것이 소위 상손지도(相損之道·상대되는 것으로 덜어내는 도리)다.”
너그러울 유, 앉을 좌, 갈 지, 그릇 기


『공자가어(孔子家語)』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