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뭘 물어도 ‘네’, ‘아니오’ 등 단답형으로만 답하고 말하는 것 자체를 귀찮아해요. 나하고는 말을 잘 안 하려 하고 자꾸 아빠하고만 대화하려 하고요. 가장 큰 문제는 어쩌다 좀 길게 대화하다 보면 아이가 짜증을 내고 방으로 들어가버리는 거예요. 예전에는 안 그랬는데 말이죠. 대체 어떻게 해야 싸우지 않고 즐겁게 대화할 수 있을까요?”
취재 도중 만난 초등학교 6학년 아들을 둔 엄마의 고민이다. 요즘 부쩍 잦아진 아들과의 대화 트러블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했다.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를 둔 부모들은 아이들이 사춘기에 접어들며 크고 작은 대화 충돌을 겪는다. 사춘기의 사전적 의미는 ‘육체적·정신적으로 성인이 되는 시기’인데, 요즘은 사춘기가 시작되는 시기가 과거보다 빠르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의 상담사 대상 설문 조사에서 “초기 청소년기(사춘기)는 언제부터인가?”라는 질문에 “초등학교 4학년부터”라는 대답이 50%를 넘었다. 여자아이들의 경우는 4, 5학년부터, 남자아이들은 그보다 조금 늦은 5, 6학년부터 사춘기에 접어드는 경우가 많다. 사춘기가 일찍 오면서 생기는 문제도 있다. 아직 초등학생이라는 신분 때문에 부모는 자녀를 ‘품 안의 자식’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크고, 아이는 본인을 이전과 동일한 태도로 대하는 부모에게 거부감을 느끼게 된다. 자연히 부모와 자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해 대화가 자꾸 어려워진다.
아이들이 말하는 “이럴 때 부모와 대화가 힘들다!”
사춘기 아이들은 부모와의 대화에 대해 어떤 불만을 가지고 있을까? 싸우지 않고 평화롭게 대화하고 싶다면 아이들의 속마음을 들여다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음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이 실시한 인터뷰 내용에서 참고한 초등학교 고학년 아이들의 ‘부모와 대화할 때 싫은 점’이다.
● “저도 기분이 나쁠 때가 있는데 그럴 때도 자꾸 말을 시키면 말하기가 더 싫어져요.”
● “엄마의 의견도 중요하지만 제 의견도 좀 존중해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 “제발 이미 알고 있는 얘기를 자꾸 물어보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 “제 이야기를 먼저 들어주었으면 좋겠고, 엄마가 말을 듣는 태도를 좀 고쳤으면 좋겠어요.”
● “엄마가 반항을 안 하고 가만히 제 얘기를 들어주셨으면 좋겠어요. 근데 계속 뭐라고 하니까 짜증이 나요.”
아이들의 불만을 들여다보면 공통점이 보인다. 바로 아이들의 ‘욕구’다. ‘나를 존중해달라’는 욕구가 밑바탕에 깔려 있다. 사춘기는 자아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아이들은 점점 자신의 욕구를 뚜렷하게 드러낸다. 한국청소년상담개발원의 소수연 박사는 “사춘기 아이들에게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특성을 부모님이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사춘기 아이들은 부모로부터 독립하려는 모습을 보입니다. 부모와의 밀착된 관계보다는 또래 친구들과의 관계에 더 신경 쓰기 시작하죠. 또 정서적·감정적으로 기복이 심해지는 때이기도 한데 이런 특성을 부모가 먼저 수용해주지 않고 ‘그래도 아직은 내 귀여운 아이’라는 생각으로 수용을 미루면 사춘기 자녀와의 갈등이 더 깊어질 수 있어요.”
부모의 준비가 필요하다
어떤 부모들은 사춘기 자녀와의 대화 트러블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넘길 수도 있다. 하지만 부모와 자녀 사이에 대화의 벽이 높아지면 여러 가지 문제가 파생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청소년들은 대화 통로가 막혀 있을 때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사춘기는 뇌 발달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시기다. 달리 말하면 아직 조절 능력과 이성적 판단 능력이 영글지 않은 시기여서 부모가 보기에는 자녀의 행동이 불완전하고 서툴게만 보일 수 있다. 자녀가 사춘기에 접어들기 시작하면 부모는 자신의 마음을 먼저 재정비해야 한다. 사춘기는 자녀도, 부모도 모두 힘든 시기임을 인정하자. 내 아이가 성장했음을 인정하고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겠다는 마음가짐을 갖자. 그것을 인정하고 경청하는 자세는 필수다.
아이가 감정 상태가 좋지 않아 대화를 하고 싶어 하지 않을 때는 잠깐 그냥 놔두는 것도 좋다. 마음이 안정되고 나면 아이는 부모의 말을 더 잘 듣게 되고 대화에도 응한다. 간혹 이 부분이 잘 조절이 안 돼 ‘내가 아이와 대화하고 싶을 때는 꼭 대화를 해야 한다’라고 생각하는 부모는 마음속에 불안이 많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상태일 수 있으니 스스로를 돌아보자. 아이의 말을 잘 듣지 않고 일방적으로 대화를 끌고 가는 습관을 가졌다면 ‘우리 부모님과는 대화가 잘 안 되는구나’라고 인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매번 대화가 감정적인 언쟁이나 큰소리로 끝나는 경우도 마찬가지. 부모가 먼저 조절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춘기 자녀보다는 성인인 부모의 조절 능력이 더 뛰어나기 때문이다.
자녀와 부모가 계속 언쟁을 하는 것은 달리 말하면 양쪽 다 서로 양보하지 않는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럴 때는 잠시 대화를 멈추자. 화가 끝까지 났다는 것을 인식하고 “여기서 잠깐 대화를 중단하자”라고 말하고 각자의 시간을 가지면서 감정 조절을 해야 한다. 부모는 사춘기 아이에게 쿠션 같은 존재가 돼주는 것이 가장 좋다. 어떤 말, 어떤 행동을 해도 감싸 안아주겠다는 마음가짐을 갖도록 연습하자. ‘엄마가 내 마음을 알아주네’라고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위로도 좋다. 사춘기 자녀들이 부모와의 대화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존중과 경청 그리고 공감이다.
초등 고학년 사춘기 때 맞는 대화법아이가 커가는데 부모가 하는 말이 별로 달라지지 않는다면 문제가 일어날 수밖에 없다. 초등학교 1학년에게 하는 말과 6학년에게 하는 말이 같을 수는 없다. 이 시기 아이들의 행동에는 두드러진 특징이 나타난다. 방문을 걸어 잠그고 부모와의 대화를 거부하기 시작한다. 정확히 말하면, 거부하는 것으로 부모가 느끼기 시작한다. 사실 아이는 독립된 공간과 시간을 갖고 싶어 하는 것일 뿐이다. 심리적 독립을 원하는 아이의 인격을 존중해주자. 말대꾸를 하는 일도 많아진다. 부모 입장에서는 화가 날 수 있지만 그 전에 아이의 행동이 단순히 반항하기 위한 것인지, 다른 의견을 주장하기 위한 것인지 구분 지어야 한다. 부모의 태도가 강압적이면 아이는 옳은 말도 받아들이지 않는다. 아이의 태도 자체만 나무라다 보면 원래 하려고 했던 대화는 물 건너간다. 또 친구에게 집착하고 친구의 말에 큰 영향을 받는 시기이므로 친구를 무시하거나 ‘친구를 골라서 사귀라’는 식의 부모의 말은 아이의 마음에 가 닿지 않는다.
1 아이의 의견을 물어봐준다 이 시기의 아이는 스스로 다 컸다고 생각해 존중받고 싶어 한다. 부모가 아이를 존중할수록 아이는 바람직한 자아 정체감을 형성하고, 자신이 존중받는다고 생각하면 아이의 마음도 활짝 열린다. “OO는 어떻게 생각하니?”, “네 생각이 궁금해” 같은 말이 좋다.
2 근거 있는 칭찬을 해준다 수긍할 수 없는 칭찬을 하면 아이는 부담스러워하면서 부모가 자신을 조종하려 한다고 여길 수 있다. 내용이 타당하고 아이 스스로도 칭찬받을 만하다고 생각되는 점을 칭찬해준다.
3 좋은 생각을 많이 찾아준다 문제 행동이 많아졌더라도 아이의 마음속에는 여전히 멋지게 자라고 싶다는 생각이 있다. 아이의 좋은 생각을 찾아내 읽어주는 것이 좋다. “너는 궁금한 점은 꼭 찾아보는 아이구나”, “열심히 하고 있구나” 등 부모의 한마디에 아이는 자신의 가능성을 다시 한번 들여다보게 된다.
4 아이의 강점을 찾아서 말해준다 친구를 잘 도와주는 아이, 엄마를 배려하는 아이, 마음먹으면 끝까지 하는 아이, 마무리를 잘하려는 아이 등 이런 강점은 성장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된다. 부모가 강점을 먼저 찾아줘야 아이는 자신이 얼마나 좋은 강점을 많이 가졌는지 알게 된다.
5 말대꾸하는 아이에게는 진심을 전해준다 말대꾸가 심하거나 태도가 불손할 때 무작정 야단부터 치면 아이와의 대화가 단절될 뿐이다. 화가 나더라도 잠시 누르고 이렇게 말하도록 연습해보자. “네가 그렇게 말하면 엄마는 속상해. 무시당하는 것 같아”, “엄마는 네가 좋게 말하면 좋겠다” 등의 방식으로 반복해서 대응하면 아이의 태도가 점차 부드러워질 수 있다.
6 친구에 관해 물을 땐 아이의 마음을 존중한다 아이의 마음을 존중하면서 부모의 바람을 전한다. “그 친구는 어떤 점이 마음에 드니?”, “카톡을 안 하면 혹시 마음이 불안하니?”, “카톡을 할 때 주의할 점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 등의 말이 바람직하다. 또래 관계를 중요시하는 시기이므로 존중하는 태도 없이 지시하는 식으로 아이에게 말하는 것은 거부감만 키울 뿐이며 ‘쇠귀에 경 읽기’밖에 안 된다.
7 공부에 대한 부담을 이해해준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보다 공부에 대한 부담이 커지는 시기다. 6학년의 경우에는 중학교 입학을 앞두고 부담감이 더욱 커질 수 있다. 공부는 부모가 아무리 관심을 가져도 결국 자녀 혼자 해내야 하는 일이다. 공부에 대한 부담감을 이해해줘야 한다. 공부법을 조언하고 싶다면 아이의 마음이 편안할 때 대화를 시도하자. “숙제가 많아 부담스럽겠다”, “좋은 성적을 받고 싶은데 어려운 문제가 많았나 보구나”, “넌 마음만 먹으면 뭐든 잘할 수 있는 아이야” 등 공부에 대한 대화를 시작할 때도 마음을 읽어주는 것이 첫걸음이다.
Mini Interview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소수연 박사가 알려주는 엄마를 위한 자가 진단 리스트
1 나는 들어주는 부모인가?아이들이 하는 말이 부모가 생각하기에 허무맹랑하고 말이 되지 않는 것 같더라도 일단은 끝까지 들어준다. 대화를 잘하는 방법은 말을 많이 하는 것이 아니라 잘 들어주는 것이다.
2 내가 쓰는 말은 어떤가?
자녀와 대화할 때 습관적으로 지나치게 감정적인 말만 사용하는 것은 아닌지 점검하자. “네가 그러면 그렇지” 등의 감정적인 말이나 부정적이고 극단적인 단어는 듣는 자녀 입장에서도 반가울 리 없다. 감정을 자극하는 말을 하면 아이도 당연히 감정적으로 대응하게 돼 대화가 다툼으로 번지기 쉽다.
3 나는 문제 해결만을 제시하지는 않는가?
때로 아이들은 자신의 속상한 마음을 부모에게 털어놓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럴 때 위로나 공감보다는 “네가 이렇게 했어야지”라는 식으로 답을 제시하려고만 하면 문제가 된다. 부모의 해결 방법이란 것이 아이에게는 맞지 않을 수도 있고, 그런 조언을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오히려 아이는 위로받고 싶은 욕구가 충족되지 않아 대화에 불만을 느낀다.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읽어주고 “힘들었겠다” 등의 공감 대화를 시도하는 편이 좋다.
4 나는 말 잘 듣는 자녀를 원하는 것은 아닌가?
자녀와 대화가 잘 안 돼 답답해하는 부모들 가운데는 그 안을 들여다보면 아이가 자신의 말대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불만인 경우가 많다. 사춘기는 성인이 되기 위한 준비단계로 성장기에서 피할 수 없는 시기임을 인정하자. 자아를 형성하고 세계관을 넓혀가는 시기로 부모의 둥지로부터 점점 독립하고자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임을 인정하자. 사춘기 때 지나치게 순종적이었던 아이는 자신의 욕구를 억눌렀던 부작용으로 나중에 성인이 돼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도 많다.
Tip 대화의 시작이 힘들다면 이렇게!대화를 시작할 때 많은 부모들이 “오늘 어땠어?”라는 식으로 아이에게 먼저 대답을 요구하는 경향이 많다. 그보다는 “엄마는 오늘~”, “아빠는 오늘~”로 대화를 시작하자. 아이들은 사실 부모의 이야기를 듣고 싶어 한다. 잔소리가 아니라 부모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궁금하다. 즐거운 화제라면 더 좋다. 조금 속상했던 일 중에서 아이에게 말해도 될 만한 것을 이야기하는 것도 괜찮다. 오늘 무엇을 했고 어떤 마음이었는지 들려주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자신의 이야기를 전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지 않게 된다. 말을 안 하려는 아이들에게는 이렇게 말해보자. “엄마가 혼낼까 봐, 실망할까 봐 말하기가 어려운가 보구나”, “울어도 되고 가끔 투정을 부리는 것도 괜찮아”, “마음에 찌꺼기가 남지 않게 다 말하는 게 더 좋은 거야”, “무슨 말을 해도 엄마 아빠는 다 이해해”, “말하고 나면 마음이 편안해질 거야” 등 대화에 대해 긴장하는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 안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물론 아이가 대화를 하고 싶지 않은 기분일 때는 억지로 말문을 열려고 하지 말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의 상담사 대상 설문 조사에서 “초기 청소년기(사춘기)는 언제부터인가?”라는 질문에 “초등학교 4학년부터”라는 대답이 50%를 넘었다. 여자아이들의 경우는 4, 5학년부터, 남자아이들은 그보다 조금 늦은 5, 6학년부터 사춘기에 접어드는 경우가 많다. 사춘기가 일찍 오면서 생기는 문제도 있다. 아직 초등학생이라는 신분 때문에 부모는 자녀를 ‘품 안의 자식’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크고, 아이는 본인을 이전과 동일한 태도로 대하는 부모에게 거부감을 느끼게 된다. 자연히 부모와 자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해 대화가 자꾸 어려워진다.
아이들이 말하는 “이럴 때 부모와 대화가 힘들다!”
사춘기 아이들은 부모와의 대화에 대해 어떤 불만을 가지고 있을까? 싸우지 않고 평화롭게 대화하고 싶다면 아이들의 속마음을 들여다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음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이 실시한 인터뷰 내용에서 참고한 초등학교 고학년 아이들의 ‘부모와 대화할 때 싫은 점’이다.
● “저도 기분이 나쁠 때가 있는데 그럴 때도 자꾸 말을 시키면 말하기가 더 싫어져요.”
● “엄마의 의견도 중요하지만 제 의견도 좀 존중해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 “제발 이미 알고 있는 얘기를 자꾸 물어보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 “제 이야기를 먼저 들어주었으면 좋겠고, 엄마가 말을 듣는 태도를 좀 고쳤으면 좋겠어요.”
● “엄마가 반항을 안 하고 가만히 제 얘기를 들어주셨으면 좋겠어요. 근데 계속 뭐라고 하니까 짜증이 나요.”
아이들의 불만을 들여다보면 공통점이 보인다. 바로 아이들의 ‘욕구’다. ‘나를 존중해달라’는 욕구가 밑바탕에 깔려 있다. 사춘기는 자아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아이들은 점점 자신의 욕구를 뚜렷하게 드러낸다. 한국청소년상담개발원의 소수연 박사는 “사춘기 아이들에게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특성을 부모님이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사춘기 아이들은 부모로부터 독립하려는 모습을 보입니다. 부모와의 밀착된 관계보다는 또래 친구들과의 관계에 더 신경 쓰기 시작하죠. 또 정서적·감정적으로 기복이 심해지는 때이기도 한데 이런 특성을 부모가 먼저 수용해주지 않고 ‘그래도 아직은 내 귀여운 아이’라는 생각으로 수용을 미루면 사춘기 자녀와의 갈등이 더 깊어질 수 있어요.”
부모의 준비가 필요하다
어떤 부모들은 사춘기 자녀와의 대화 트러블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넘길 수도 있다. 하지만 부모와 자녀 사이에 대화의 벽이 높아지면 여러 가지 문제가 파생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청소년들은 대화 통로가 막혀 있을 때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사춘기는 뇌 발달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시기다. 달리 말하면 아직 조절 능력과 이성적 판단 능력이 영글지 않은 시기여서 부모가 보기에는 자녀의 행동이 불완전하고 서툴게만 보일 수 있다. 자녀가 사춘기에 접어들기 시작하면 부모는 자신의 마음을 먼저 재정비해야 한다. 사춘기는 자녀도, 부모도 모두 힘든 시기임을 인정하자. 내 아이가 성장했음을 인정하고 아이의 감정을 존중하겠다는 마음가짐을 갖자. 그것을 인정하고 경청하는 자세는 필수다.
아이가 감정 상태가 좋지 않아 대화를 하고 싶어 하지 않을 때는 잠깐 그냥 놔두는 것도 좋다. 마음이 안정되고 나면 아이는 부모의 말을 더 잘 듣게 되고 대화에도 응한다. 간혹 이 부분이 잘 조절이 안 돼 ‘내가 아이와 대화하고 싶을 때는 꼭 대화를 해야 한다’라고 생각하는 부모는 마음속에 불안이 많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상태일 수 있으니 스스로를 돌아보자. 아이의 말을 잘 듣지 않고 일방적으로 대화를 끌고 가는 습관을 가졌다면 ‘우리 부모님과는 대화가 잘 안 되는구나’라고 인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매번 대화가 감정적인 언쟁이나 큰소리로 끝나는 경우도 마찬가지. 부모가 먼저 조절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춘기 자녀보다는 성인인 부모의 조절 능력이 더 뛰어나기 때문이다.
자녀와 부모가 계속 언쟁을 하는 것은 달리 말하면 양쪽 다 서로 양보하지 않는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럴 때는 잠시 대화를 멈추자. 화가 끝까지 났다는 것을 인식하고 “여기서 잠깐 대화를 중단하자”라고 말하고 각자의 시간을 가지면서 감정 조절을 해야 한다. 부모는 사춘기 아이에게 쿠션 같은 존재가 돼주는 것이 가장 좋다. 어떤 말, 어떤 행동을 해도 감싸 안아주겠다는 마음가짐을 갖도록 연습하자. ‘엄마가 내 마음을 알아주네’라고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위로도 좋다. 사춘기 자녀들이 부모와의 대화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존중과 경청 그리고 공감이다.
1 아이의 의견을 물어봐준다 이 시기의 아이는 스스로 다 컸다고 생각해 존중받고 싶어 한다. 부모가 아이를 존중할수록 아이는 바람직한 자아 정체감을 형성하고, 자신이 존중받는다고 생각하면 아이의 마음도 활짝 열린다. “OO는 어떻게 생각하니?”, “네 생각이 궁금해” 같은 말이 좋다.
2 근거 있는 칭찬을 해준다 수긍할 수 없는 칭찬을 하면 아이는 부담스러워하면서 부모가 자신을 조종하려 한다고 여길 수 있다. 내용이 타당하고 아이 스스로도 칭찬받을 만하다고 생각되는 점을 칭찬해준다.
3 좋은 생각을 많이 찾아준다 문제 행동이 많아졌더라도 아이의 마음속에는 여전히 멋지게 자라고 싶다는 생각이 있다. 아이의 좋은 생각을 찾아내 읽어주는 것이 좋다. “너는 궁금한 점은 꼭 찾아보는 아이구나”, “열심히 하고 있구나” 등 부모의 한마디에 아이는 자신의 가능성을 다시 한번 들여다보게 된다.
4 아이의 강점을 찾아서 말해준다 친구를 잘 도와주는 아이, 엄마를 배려하는 아이, 마음먹으면 끝까지 하는 아이, 마무리를 잘하려는 아이 등 이런 강점은 성장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된다. 부모가 강점을 먼저 찾아줘야 아이는 자신이 얼마나 좋은 강점을 많이 가졌는지 알게 된다.
5 말대꾸하는 아이에게는 진심을 전해준다 말대꾸가 심하거나 태도가 불손할 때 무작정 야단부터 치면 아이와의 대화가 단절될 뿐이다. 화가 나더라도 잠시 누르고 이렇게 말하도록 연습해보자. “네가 그렇게 말하면 엄마는 속상해. 무시당하는 것 같아”, “엄마는 네가 좋게 말하면 좋겠다” 등의 방식으로 반복해서 대응하면 아이의 태도가 점차 부드러워질 수 있다.
6 친구에 관해 물을 땐 아이의 마음을 존중한다 아이의 마음을 존중하면서 부모의 바람을 전한다. “그 친구는 어떤 점이 마음에 드니?”, “카톡을 안 하면 혹시 마음이 불안하니?”, “카톡을 할 때 주의할 점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 등의 말이 바람직하다. 또래 관계를 중요시하는 시기이므로 존중하는 태도 없이 지시하는 식으로 아이에게 말하는 것은 거부감만 키울 뿐이며 ‘쇠귀에 경 읽기’밖에 안 된다.
7 공부에 대한 부담을 이해해준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보다 공부에 대한 부담이 커지는 시기다. 6학년의 경우에는 중학교 입학을 앞두고 부담감이 더욱 커질 수 있다. 공부는 부모가 아무리 관심을 가져도 결국 자녀 혼자 해내야 하는 일이다. 공부에 대한 부담감을 이해해줘야 한다. 공부법을 조언하고 싶다면 아이의 마음이 편안할 때 대화를 시도하자. “숙제가 많아 부담스럽겠다”, “좋은 성적을 받고 싶은데 어려운 문제가 많았나 보구나”, “넌 마음만 먹으면 뭐든 잘할 수 있는 아이야” 등 공부에 대한 대화를 시작할 때도 마음을 읽어주는 것이 첫걸음이다.
Mini Interview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소수연 박사가 알려주는 엄마를 위한 자가 진단 리스트
1 나는 들어주는 부모인가?아이들이 하는 말이 부모가 생각하기에 허무맹랑하고 말이 되지 않는 것 같더라도 일단은 끝까지 들어준다. 대화를 잘하는 방법은 말을 많이 하는 것이 아니라 잘 들어주는 것이다.
2 내가 쓰는 말은 어떤가?
자녀와 대화할 때 습관적으로 지나치게 감정적인 말만 사용하는 것은 아닌지 점검하자. “네가 그러면 그렇지” 등의 감정적인 말이나 부정적이고 극단적인 단어는 듣는 자녀 입장에서도 반가울 리 없다. 감정을 자극하는 말을 하면 아이도 당연히 감정적으로 대응하게 돼 대화가 다툼으로 번지기 쉽다.
3 나는 문제 해결만을 제시하지는 않는가?
때로 아이들은 자신의 속상한 마음을 부모에게 털어놓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럴 때 위로나 공감보다는 “네가 이렇게 했어야지”라는 식으로 답을 제시하려고만 하면 문제가 된다. 부모의 해결 방법이란 것이 아이에게는 맞지 않을 수도 있고, 그런 조언을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오히려 아이는 위로받고 싶은 욕구가 충족되지 않아 대화에 불만을 느낀다.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읽어주고 “힘들었겠다” 등의 공감 대화를 시도하는 편이 좋다.
4 나는 말 잘 듣는 자녀를 원하는 것은 아닌가?
자녀와 대화가 잘 안 돼 답답해하는 부모들 가운데는 그 안을 들여다보면 아이가 자신의 말대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불만인 경우가 많다. 사춘기는 성인이 되기 위한 준비단계로 성장기에서 피할 수 없는 시기임을 인정하자. 자아를 형성하고 세계관을 넓혀가는 시기로 부모의 둥지로부터 점점 독립하고자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임을 인정하자. 사춘기 때 지나치게 순종적이었던 아이는 자신의 욕구를 억눌렀던 부작용으로 나중에 성인이 돼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도 많다.
Tip 대화의 시작이 힘들다면 이렇게!대화를 시작할 때 많은 부모들이 “오늘 어땠어?”라는 식으로 아이에게 먼저 대답을 요구하는 경향이 많다. 그보다는 “엄마는 오늘~”, “아빠는 오늘~”로 대화를 시작하자. 아이들은 사실 부모의 이야기를 듣고 싶어 한다. 잔소리가 아니라 부모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궁금하다. 즐거운 화제라면 더 좋다. 조금 속상했던 일 중에서 아이에게 말해도 될 만한 것을 이야기하는 것도 괜찮다. 오늘 무엇을 했고 어떤 마음이었는지 들려주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자신의 이야기를 전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지 않게 된다. 말을 안 하려는 아이들에게는 이렇게 말해보자. “엄마가 혼낼까 봐, 실망할까 봐 말하기가 어려운가 보구나”, “울어도 되고 가끔 투정을 부리는 것도 괜찮아”, “마음에 찌꺼기가 남지 않게 다 말하는 게 더 좋은 거야”, “무슨 말을 해도 엄마 아빠는 다 이해해”, “말하고 나면 마음이 편안해질 거야” 등 대화에 대해 긴장하는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고 안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물론 아이가 대화를 하고 싶지 않은 기분일 때는 억지로 말문을 열려고 하지 말자.
레이디경향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