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면도형의 기본성질
① 중선
㉠ 파푸스(pappus)의 정리(중선정리):
pf)
를 x축, M을 원점으로 하는 좌표축을 건설하여 증명
user.chollian.net/~waryong/summary26_ 1.htm
㉡ 중선 성질의 확장: △ABD:△ACD=m:n
ex) △ABC에서 변 BC, CA, AB의 중점을 각각 D,E,F라 하면,
pf) △ABC에서 점 E는 변 CA의 중점이므로 중선 정리에 의해 
점 F는 변 AB의 중점이므로 
점 D는 변 BC의 중점이므로 
위의 세 식을 더하여 2로 나누면 주어진 식이 참임을 알 수 있다.
ex) 평행사변형 ABCD에서
일 때,
은?
sol) 평행사변형 ABCD를 하나 더 붙여서 △BDB'을 고려하면
는 중선으로 중선정리를 활용하자. 여기서
으로
② 각의 이등분선과 비례
△ABC에서
가 각 A의 내각 또는 외각의 이등분선이면 
∴ 
㉡ △ABP, △ACP에서 각각 사인정리를 사용하여 정리하면 됨.
※ 대응변의 길이가 같다고 두 삼각형이 닮음인 것은 아니다.
pf)
의 연장선 위에
가 되게 점 E를 잡으면 △CAE는 이등변삼각형으로 두 밑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CAE=∠CEA이고 ∠ADB=∠EDC는 맞꼭지각으로 같으므로 △DAB~△DEC이므로 대응변의 길이의 비로부터 
③ (내심정리, 방심정리)
㉠ 삼각형의 세 내각의 이등분선은 한 점(내심)에서 만난다.
㉡ 한 내각과 나머지 두 각의 외각의 각 이등분선은 한 점(방심)에서 만난다.(방심은 3개 있다.)
pf) ㉠-ⓐ ∠B, ∠C의 이등분선의 교점을
라 하고,
에서 세 변에 수선
을 내리면
이므로,
. 또
이므로
. ∴
. 따라서
(직각삼각형의 합동)이므로
.
(
를 중심,
를 반경으로 하는 원은 △ABC의 변에 A', B', C'에서 접하며 이 원을 △ABC의 내접원이라 한다.)
㉮:
(기울기<0)
㉯: 
㉰:
(기울기<0)
㉡ ∠B, ∠C의 외각의 이등분선의 교점을
이라 하고,
에서 세 변에 수선
을 내리면,
이 ∠A의 이
등분선임을 ㉠-ⓐ와 마찬가지로 증명 가능. (중심이
이고 반경이
인 원을 ∠A에 대한 방접원이라 한다. 따라서 방접원은 3개 존재한다.)
∵)
이라 두면, 
ex) 내심: 내각의 이등분선의 교점
pf) 면적 
㉠ 수심정리: 삼각형의 각 정점에서 대변에 내린 수선은 한 점(수심)에서 만난다.
㉡ 
pf) ㉠-ⓐ A, B, C에서 대변에 평행선을 그어서 △A''B''C''를 만들면, 사각형 ABCB'', ACBC''이 평행사변형이 되며
㉠-ⓑ AC의 방정식:
, BE의 기울기:
, BE의 방정식:
, AD의 방정식
.
따라서
이므로 세 수선은 한 점에서 만난다.
㉡
으로부터
⑤ 외심: 수직이등분선의 교점
㉠ 외심정리: 삼각형의 각 변의 중점에서 이것에 세운 수선은 한 점(외심)에서 만난다.
㉡
일 때, ∠BOC=2∠A,
이다.
(단,R은 외접원의 반지름)
pf) ㉠ △ABC의 변 AB, AC의 중점 C', B'에서 세운 수선의 교점을 O라 하고, O에서 변 BC에 수선 OA'를 내린다. O는
의 수직이등분상의 점이므로
. 마찬가지로
. ∴
. 따라서, 이등변삼각형의 성질에 의하여
는
의 수직이등분선이 된다. (
이므로 O를 중심으로 하고
를 반경으로 하는 원은 B, C를 지난다. 이 원을 △ABC의 외접원이라고 한다.
㉡ 현(호) BC의 중심각은 원주각의 2배이며, 원주각 ∠BAC=∠BPC이고 지름에 대한 원주각은 90。이므로
⑥ 무게중심: 세 중선의 교점
㉠ 중심정리: 삼각형의 세 개의 중선은 한 점(중심)에서 만나고 또 각 중선은 서로 다른 중선을 2:1로 내분한다.
즉,
이고 △GBC=△GCA=△GAB
pf) ⓐ 좌표축을 이용한 증명
p+2r=p+2q, 2p+q=q+2r에서 p=q=r이므로
△GBC=△GCA=△GAB
ⓑ
의 중점을 N, M이라 하고
의 교점을 G라 하자.
에 의하여 △GMN~△GBC이고,
이므로
즉, 중선
은 서로 다른 것을 1:2로 내분한다. 마찬가지로
도 서로 다른 것을 1:2로 내분하므로
도 G를 지난다.
⑦ △ABC의 무게중심 G,
평면상의 임의의 점을 P라 할 때, 
이다.
pf) 증명은 좌표축을 건설 후 증명
ex) △ABC에서
은 점 P가 이 삼각형의 무게중심일 때 최소값을 가진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