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우택 연세의대 교수는 “지금까지 유능한 의사, 명의가 되려면 교과서의 많은 지식을 체계적으로 잘 기억하고 최신 논문들을 부지런히 찾아 읽으며 경험을 통해 임상적 분별력과 지혜를 갖는 것이었다”면서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발전은 이런 과거의 틀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고 말했다.
◆ 美 하버드 의대, 2019년 새 커리큘럼 도입
미국 하버드 의대(Harvard Medical School)는 오는 2019년부터 새 교육과정을 도입할 예정이다. 하버드 의대는 MIT와 손잡고 ‘헬스 사이언스 테크놀로지 (HST) MD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이 과정에는 의과학 연구 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이 대거 포함된다.
- ▲ 하버드대 홈페이지 제공
학부 1학년 때 기초의학과 임상의학 강의를 끝내도록 한 것도 하버드 의대의 새 커리큘럼의 특징이다. 2학년부터 임상 실습을 하게 되는 데, 이는 기존 커리큘럼보다 7개월 일찍 시작하는 것이다. 실습을 빨리 하게 되면, 환자와 질병을 장기간 볼 수 있으며 동료들과의 관계 경험을 쌓을 수 있게 된다. 또 3,4학년에는 집중 심화 학습과 연구를 하도록 했다. 이는 지식을 먼저 습득하고 실습하는 기존의 커리큘럼을 지식 습득 →실습→ 심화 탐구로 재배치한 것이다.
◆ 국내에도 변화 바람…게놈이야기·3D프린팅 기술 과목도 신설
서울대 의과대학은 ‘세계 30위권 내 의대 진입’이라는 비전을 내걸고 교육과정을 개편해 지난해부터 시행하고 있다. 지난해 1학년의 교과 개편을 첫 시작으로 올해 2학년, 2018년 3학년 2019학년 4학년까지 새로운 교육과정을 단계적으로 적용해 2020년 신(新)교육과정의 졸업생을 배출하게 된다.
서울의대의 이번 개편도 자기주도학습·연구역량·임상실습 강화, 선택교육과정 확대, 평가와 피드백 강화 등이 핵심이다. 서울의대는 지난해부터 '나의 게놈이야기', '3D프린팅 기술 활용', '미래의료 빅데이터' 등의 과목이 신설됐다.
임상 경험을 빨리 접할 수 있도록 학생 인턴 프로그램을 도입했고, 연구역량을 강화해 의과학자를 양성하는 의학연구 멘토링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 ▲ 노태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강연하고 있는 모습 / 조선 DB
윤리와 리더십 향상을 위해 인문사회의학교육 제도(Doctoring and medical humanities, DMH) 과정을 정규학습과정에 포함시켰다. 올해는 모든 학생들이 지도교수와 함께 자율적인 연구를 수행토록 새 의학교육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성균관대는 지난해부터 문·이과계열 상관없이 전교생에게 소프트웨어(SW) 관련 과목을 듣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성균관대 의대생들도 소프트웨어 관련 과목을 이수하고 있다.
이 대학은 문제중심학습 교육과정(Problem-Based Learning)도 도입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임상 환자들의 사례에 관한 생물학적·사회학적·인구학적 토론을 진행하게 된다. 이밖에 대학원 과정인 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에서는 디지털헬스학과 석박사 과정이 신설됐다.
- ▲ 조선 DB
인공지능의 지배를 받는 의사들은 전문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인공지능을 지배하는 의사들은 기존의 의사들과는 비교가 안 될 만큼의 더 큰 사회적, 의학적 영향력을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장정순 중앙대의대 교수는 “우리 때는 암기잘하고 많이 아는 게 유능한 의사가 되는 지름 길이었는데, 이제 의사는 다양한 역량을 갖춰야 하는 시대가 왔다"면서 “인공지능이 등장했다고 의사가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지만, 기존 의사의 역할에는 분명히 변화가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경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