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뫼비우스의 띠' 현상이 왜 일어나는지를 영국 런던대학 연구진이 밝혀냈다.
1858년 독일 수학자 오거스트 퍼디난드 뫼비우스가 발견해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뫼비우스의 띠는 좁고 긴 직사각형 종이를 180도 꼬아서 끝을 붙인 것으로 바깥쪽과 안쪽의 구별이 없다는 게 특징이다.
이후 네덜란드의 그래픽 아티스트인 모리츠 코르넬리스 에셔의 작품으로 유명해진 뫼비우스의 띠는 1930년대 이래로 역학에 있어 고전적인 난제로 자리매김했다.
런던 대학의 게를트 반 데르 하이덴과 유진 스타로스틴 연구원은 이 같은 뫼비우스의 띠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에너지 밀도차 때문이라고 16일 설명했다.
에너지 밀도는 띠를 한 번 접음으로써 억제되는 띠 안에 축적된 탄력에너지를 의미하는데,띠의 넓이가 그것의 길이에 비례해서 증가하면 에너지 밀도의 위치도 더불어 이동한다.
연구진은 이 점에 착안해 뫼비우스의 띠에서 띠가 뒤집히는 곳은 바로 에너지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이며 반대로 평평한 곳은 에너지 밀도가 가장 낮은 곳이라는 점을 방정식을 통해 설명해냈다.
1858년 독일 수학자 오거스트 퍼디난드 뫼비우스가 발견해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뫼비우스의 띠는 좁고 긴 직사각형 종이를 180도 꼬아서 끝을 붙인 것으로 바깥쪽과 안쪽의 구별이 없다는 게 특징이다.
이후 네덜란드의 그래픽 아티스트인 모리츠 코르넬리스 에셔의 작품으로 유명해진 뫼비우스의 띠는 1930년대 이래로 역학에 있어 고전적인 난제로 자리매김했다.
런던 대학의 게를트 반 데르 하이덴과 유진 스타로스틴 연구원은 이 같은 뫼비우스의 띠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에너지 밀도차 때문이라고 16일 설명했다.
에너지 밀도는 띠를 한 번 접음으로써 억제되는 띠 안에 축적된 탄력에너지를 의미하는데,띠의 넓이가 그것의 길이에 비례해서 증가하면 에너지 밀도의 위치도 더불어 이동한다.
연구진은 이 점에 착안해 뫼비우스의 띠에서 띠가 뒤집히는 곳은 바로 에너지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이며 반대로 평평한 곳은 에너지 밀도가 가장 낮은 곳이라는 점을 방정식을 통해 설명해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