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외국연구와 정반대.."근면·성실 강조 문화 영향"
"자율성 클수록 유능감 상승"
우리나라 청소년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열심히 노력하면 공부를 잘 할 수 있다고 낙관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확인됐다.
안도희 중앙대 교육학과 교수는 한국청소년연구 최신호를 통해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과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했다. 연구는 서울시와 수도권에 있는 초·중·고교생 869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연구 결과 지적 능력의 향상 가능성에 대한 신념을 5점 만점(1점은 전혀 아니다, 5점은 매우 그렇다)으로 환산했을 때 초등생은 3.42점인데 반해 중·고등학생은 각각 3.62점과 3.63점으로, 초등생에 비해 중·고등학생이 더 긍정적이었다.
반면, 기존 해외 연구 결과에서는 통상 학년이 올라갈수록 시험 등을 통해 빈번한 평가를 받게 되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을 하게 돼 자신의 지적 능력이 고정불변한 것이라고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온 바 있다.
안 교수는 좌절이나 실패를 경험했을 때 언제든지 노력하면 나아질 수 있다는 믿음이 강할수록 난관과 역경을 더 쉽게 극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안 교수는 "나 자신에게 어떤 믿음을 갖는지가 향후 성취에 영향을 준다"며 "교육 현장에서도 노력하면 향상할 수 있다는 생각을 심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또 부모와 교사가 학생의 자율성을 지지할수록 학생의 유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모·교사의 자율성 지지도와 학생의 유능감 간의 관계를 ±1의 범위(0 기준. +1로 갈수록 긍정적 영향)에서 파악했을 때 부모·교사의 자율성 지지도와의 관계는 각각 0.23과 0.14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자녀의 유능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은 초등학교(0.17)와 고등학교(0.19)보다 중학교(0.28)에서 훨씬 큰 것으로 파악됐다.
안 교수는 "부모와 교사는 학생에게 자율성을 허용해줄 필요가 있다"며 "특히 중학교 시기에 부모가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동아닷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