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30일 일요일

Six reasons to stop treating gifted kids as "special"



What's wrong with telling gifted kids that they are special?


After all, they hear frequent messages that point out how they are different...unique...and yes, special.

They overhear adults rave about their talents.

Their peers don't quite "get" them, and are sometimes a bit jealous.

Teachers occasionally provide extra attention - explaining different projects or homework assignments that the other kids don't receive.

They witness some parents clamoring to have their children evaluated for gifted programs, and sometimes hear kids brag when they are accepted.

    They surmise that being gifted must be a big deal.


    Whether they like it or not, gifted children are sometimes treated as special because they are different.  False assumptions and labels, unrealistic expectations, misconceptions, and envy complicate the picture. The term "gifted" evokes longing and bitterness among those whose children are not identified. All children are gifts to their families and should be special to them. But sometimes when families notice another child "labeled" as gifted, and don't understand the context for said label, sparks can fly.


    What does "special" really mean?



    In an odd twist to this quandary, use of the term "special" within education circles has different connotations, and is often associated with learning difficulties. Most parents don't want this label for their children. "Special services," (typically offered to address developmental or learning delays) do not evoke the same bitterness and envy as gifted services.

    Putting aside the official terminology used to define "special services" in schools, most people recognize that giftedness is associated with unique and exceptional abilities that are not the norm. Some may try to deny this by claiming that "every child is gifted." But such statements ignore the facts. As noted in a recent commentary:
    "by definition, it is not possible for 'all students' to be 2 or 3 standard deviations above their age equivalent peers. To say so demonstrates either exceptionally poor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or exceptionally poor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of intellectual giftedness." 
    Others may boast that all they want is an average child, or they won't call their child gifted - as if giftedness is a choice or will disappear if ignored.

    You don't get to choose your child's intellect - it can be enhanced or thwarted depending on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circumstances, but your child's abilities are not yours to choose.



    Problems with the "special" label



    All of this controversy can lead to the assumption that gifted children are "special" as opposed to merely different or neuroatypical. It is essential that all children know that they are special to their parents just because they are loved. But when children believe that they are "special" to family, friends, or teachers specifically because they are gifted, several problems can arise:


    1. Love seems conditional 

    Children need to feel special and loved by their parents regardless of their innate abilities. Love should not be contingent upon talents, performance or accomplishments. This is a set-up for approval-based achievement, perfectionism, insecurity, and long-standing resentment. If children assume that they are only loved when they perform - and perform well - they will become anxious, insecure and resentful. Ultimately, this can damage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as well as affect their self-concept and overall mental health.


    2. It just feels wrong

    Recognition of a child's abilities can backfire, especially when associated with an innate talent unrelated to effort and hard work. Praise for a talent or an easily accomplished task can evoke feelings of guilt and shame. With their heightened sense of fairness and justice, gifted children know that it's just wrong to receive acknowledgment for something they had no more control over than the color of their eyes. It is confusing and leaves little room for distinguishing talent from a legitimate, hard-fought achievement.


    3. It destroys peer relationships

    Children also sense when they are treated differently and inappropriately singled out at school. Some may feel undeserving, and fear that peers will resent them. This is particularly damaging when teachers ask gifted students to tutor struggling students or co-teach the class. No one likes a teacher's pet, and singling out gifted students is bound to hamper their chances of fitting in. Due to the elimination of ability grouping in many districts, gifted instruction is often delivered separately, away from the rest of the class. Gifted students receive small chunks of "pull-out" instruction or individualized, "special" attention from the teacher, and may feel embarrassed that they warrant this additional time. Other students also may resent it as well.


    4. It creates inflated expectations

    Some gifted children develop highly inflated and unrealistic expectations for themselves. They might expect to matriculate at the most prestigious college, land the best possible job, and receive numerous awards along the way. Any divergence from this path is perceived as a disappointment and failure. An average grade, a rough patch in school, and less than stellar SAT scores are viewed as shameful and an assault to their sense of self. There is no margin for error. While some eventually develop resiliency and humility, others may struggle for years with anxiety, shame, depression, bitterness, and anger.


    5. It skews their perspective

    When gifted children assume that functioning at such a high level is the norm, they may come to expect this from others as well. They may become impatient, demanding and frustrated when their peers do not grasp information at the same pace, cannot delve into projects with the same intensity, and have less intrinsic interest in learning. Just like a talented athlete loses patience with a struggling teammate, gifted children can become frustrated in interactions with neurotypical children. Appreciating that there is nothing "special" about their abilities may help them tolerate this frustration and feel more accepting of their peers' differences in these situations.


    6. It perpetuates stereotypes about giftedness

    Some of the reluctance to provide gifted education, the backlash against ability grouping, and the widespread neglect of gifted children's needs is fueled by the public's emotional response to the concept of giftedness. When a group of highly able individuals are viewed as "special," envy, bitterness and irrationality may follow. Otherwise well-meaning teachers, administrators and families block attempts to provide gifted services. They claim that gifted children are not deserving of "special" treatment, that it is elitist, that it is not equitable, that gifted children are privileged, or that other children would feel wounded if they believed that they were not as smart. These notions are often excuses for implementing policies based on emotional reactivity about giftedness and "special" treatment rather than sound research or clarity about what gifted children need.



    Not treating gifted children as "special" does not mean ignoring their needs



    Gifted children have unique educational needs due to their intellectual differences and require academic services tailored to these needs. Not treating them as "special" does not mean neglecting their education or failing to provide services they require. In fact, receiving appropriate services should be the "norm" for them, and not viewed as special treatment. It is ironic that gifted services are often housed within special education departments, as this is often the only means of assuring any funding at all. If giftedness were viewed as just another learning difference that required a different educational approach - rather than a trait to be envied - teachers could get on with educating their students.



    What can you do?



    Show your child love and acceptance, provide structure, and discipline appropriately as needed - what you would do for any child. Treat giftedness as just another aspect of who your child is - not as overly important, but as a trait that needs attention and care. Praise your child's efforts, offer support and acceptance when he or she fails, and encourage healthy risk-taking. Teach self-compassion, gratitude and tolerance for others' differences. Educate family, friends, acquaintances, teachers, administrators, legislators, and any others you encounter who are misinformed about giftedness. And continue to advocate to ensure that your child receives an appropriate and enriching education.

    "Beyond intellect: Exploring the social and emotional aspects of giftedness." 

    2017년 7월 25일 화요일

    세인트존스베리아카데미(St. Johnsbury Academy)“자유로운 환경에서 스트레스는 적게, 놀이와 체험활동으로 흥미는 UP!”

    지난 달 서울과 제주에서 미국 동북부 지역의 명문 사립학교 ‘세인트존스베리아카데미(St. Johnsbury Academy, 이하 SJA)’의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한 국제학교 ‘SJA Jeju’의 입학예정자 리셉션이 개최됐다. 오는 10월 개교 예정인 SJA Jeju는 개교에 앞서 학교의 교육 철학과 교과 과정을 공유하고 학부모들과 소통하기 위해 뜻 깊은 자리를 마련했다. 많은 학부모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내준 가운데 유치초등부 학부모들과 1:1로 상담하는 스테이시 몰나르(Stacy Molnar) 유치초등부 교장을 만나 SJA Jeju 유치초등부에 대해 자세히 물어봤다. 


    -SJA Jeju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해주세요 

    1842년에 설립되어 175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SJA는 미국 동북부 지역의 명문 사립학교로 알려져 있다. 학생들의 올바른 인성과 학습에 대한 열정, 그리고 공동체 의식을 기르는 데에 교과과정의 중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학생들 스스로가 답을 찾게 하는 탐구 중심의 학습은 SJA 교육의 핵심이다. 또한 교육이념인 인성, 탐구심, 공동체 의식을 그대로 반영해 유치부(만 3세∼5세)부터 초등(1∼5학년), 중등(6∼8학년), 고등(9∼12학년)까지 모든 연령대를 위한 교과과정을 제공한다. 

    -SJA Jeju 유치초등부 수업을 소개해 주세요. 
    차별점은 무엇인가요? 

    SJA Jeju는 ‘탐구 중심 학습’에 교육 기반을 두고 있다. 이 탐구 중심 학습은 학생들이 스스로 질문하도록 하고, 학생 중심의 ‘Bottom-up’ 방식을 적용하며, 이는 유치부에서 중고등부까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인성(Character) ▲탐구심(Inquiry) ▲공동체의식(Community) 등 SJA의 교육 이념을 반영해 학생들을 바르게 성장하도록 한다. 

    유치부 교육은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적용한 놀이 중심 학습을 강조 하고 있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의 핵심은 경험이며, 학생들을 나이에 관계없이 ‘독립적인 탐구자’로 인식한다는 점이다. 학생들은 친구들과의 갈등, 문제해결, 사회참여활동과 같은 다양한 상황과 시행착오 과정을 통해 학습한다. 이러한 학습법은 학생들이 교사와 함께하며 스스로 학습하고 주어진 과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직접 체험하고 경험한 것들은 학생들의 머리가 아닌 몸을 통해 학습되기 때문에 평생을 살아가는 기반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아이들은 어릴 적부터 다양한 놀이를 경험하고, 친구들과 뛰어 노는 과정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어린 시절 풍부한 경험은 인격 형성, 문제해결능력, 사회성을 키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신적으로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된다. 나는 최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을 직접 체험하기 위해 이 교육이 시작된 이탈리아를 직접 방문하기도 했다. 

    SJA Jeju의 초등부는 예술, 음악, 체육과 같은 과목을 강조하는 것뿐만 아니라 커리큘럼을 전달하는 방식에도 한국과는 차이가 있다. 수업시간에 다양한 과제와 주어진 역할을 수행할 때 2∼3명의 소그룹으로 협업하거나 독립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체험활동을 제공한다. 또한 SJA Jeju는 활발하고 적극적인 EAL(EAL: English as an Additional Language)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다. 원활한 EAL 교육을 위해 이례적으로 초등부에 학년별로 한 명씩 총 5명의 EAL교사를 별도로 배정하고 학생들의 언어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실력이 비슷한 학생들과 담임교사가 함께 협력수업을 진행한다. 

    고등과정에 마련된 시니어 캡스톤은 SJA에만 있는 독특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국내에서 경험할 수 있는 곳은 SJA Jeju가 유일하다. 특히 SJA Jeju는 시니어 캡스톤을 한 단계 발전시켜, 초등과 중등부의 연령대에 알맞은 연구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시니어 캡스톤은 SJA Jeju의 졸업반 학생들을 위한 심화 교육 과정으로서, 학생들이 자신이 관심 있는 주제를 한가지 선정해 스스로 연구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최종 결과를 다른 사람들 앞에서 발표하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참여 학생들은 관심 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문제 해결 능력, 의사 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말씀주신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은 자기주도적 커리큘럼과 능동적인 학습을 통한 아이들의 흥미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교사들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 

    유치부 교실 조감도
    교사의 역할은 아이들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배우고 싶어 하는지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는 것이다. 이는 학생들이 이해한 것에 대해 의논하고, 새로운 경험, 문제와 도전들을 설계해 가면서, 토론과 사회적 상호작용들을 가능하게 하여 그들 스스로의 생각을 대변하고 새로운 기술들을 개발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이루어진다. 교사들은 가까이에서 학생들의 학습과정을 이해하고, 기획하며, 이를 관찰하고 경청하는 동시에 기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학생들이 탐험하고 발견한 것을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학생들의 학습 파트너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아이들은 다양한 접근방법을 통해 그들의 사고를 스스로 표현할 수 있는 독립적인 학습자로 인식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끊임 없는 연구와 함께 아이들을 주의 깊게 경청하고 살피는 모든 과정이 아이들 개개인 및 단체의 성장에 기여하게 된다.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서는 학습 환경 또한 ‘제 3의 교사’로 여겨질 만큼 매우 중요하다. 교실은 의도적인 공간 사용 설계, 자연광 사용, 학생 작품 전시, 그리고 자연친화적이면서도 디자인 요소가 가미된 교실 환경이 형성되어야 한다.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재료들을 배치하는 것도 중요하다. 교실에 배치된 재활용 재료들, 다양한 학습보드들 그리고 자연공예품 등의 소재들은 아이들의 창의적인 영감을 불러 일으킨다. 레지오에밀리아 교사들과 연구원들에 의하면, 아이들은 다양한 소재의 재료들을 활용한 활동과 더불어 스스로 좋은 질문을 던질 수 있게 도와주는 어른들과 함께 할 때, 학습효과가 더욱 효과적이라고 한다.  
    -SJA Jeju 유치초등부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어떤 사람으로 성장하길 바라시나요? 

    학생들이 관심 있는 분야를 연구하고 탐구하는데 열정적이고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 되기를 원한다. 아이들은 리스크 테이커(risk-takers)가 되어야 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배워야만 한다. 더불어 SJA Jeju 학생들이 사회적, 학문적 분야에 모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친구들은 물론 선생님들과도 끈끈한 인간관계를 형성해 나갔으면 한다. 또한 SJA Jeju 수업을 통해 배운 것들을 온전히 본인 것으로 만들어서 이를 나아가 사회에 활용할 수 있기를 바라며, 수업시간에 배운 의사 전달 방식이나 친구들과의 협업을 통해 자신감을 높이고 리더십을 더욱 키우길 원한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예의 바르고 본인의 행동에 대해 책임감 있는 사람이 되길 바라며, 무엇보다도 SJA Jeju의 모든 학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그 과정 속에서 성공을 축하할 수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한다.  


    동아일보

    대구 경신고 자사고 지정 취소 신청

    자율형 사립고(자사고)인 대구 경신고등학교가 25일 대구시교육청에 자사고 지정 취소 신청서를 냈다.

    시교육청은 경신고가 학교운영위원회와 이사회 의결을 거쳐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시교육청은 신청서를 검토·보완해 자율학교 등 지정·운영위원회를 열어 심의할 계획이다.
    경신고는 지난 10일 전체 교직원에게 서한문을 보내 일반고로 전환할 뜻을 밝힌 뒤 학부모 총회를 열어 이를 알렸다.
    경신고는 2021년 2월까지 자사고로 지정돼 있다.
    하지만 지난해 2017년 신입생 1차 420명 모집에 308명만 지원해 미달 사태가 발생하는 등 자사고 유지에 어려움을 겪어 일반고 전환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연합뉴스

    "서울 14개 대학 중 절반, 자연계 논·구술 고교과정 밖 출제"


    지난해 대입 이공계 논·구술 분석
    한양·연세·동국대, '고교과정 밖 출제' 30% 넘어
    서울대·이화여대·고려대·성균관대도 고교 밖 문항
    전체 문항 중 97%, 정해진 풀이 요구하는 '본고사형'
    "교육 과정 밖서 출제하면 공교육으로 대비 못해"
    " 선행교육규제법 위반 대학 제재해야"
    지난해 서울대 구술고사에 출제됐던 수학 문제. 고교 교사들은 "대학 3학년 과정의 정수론에서 가르치는 소수의 특정 성질을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라고 분석했다.
    지난해 서울대 수시모집 일반전형 수학 구술고사에는 특정 자연수 N이 소수임을 증명하는 문제가 나왔다.<사진 참고> 소수는 1과 자신만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1보다 큰 양의 정수다.
    고교 교사들은 “이 문제는 대학 3학년 정수론에서 다루는 소수의 성질을 알아야 풀 수 있다”고 분석한다. 고등학교에서 소수가 무엇인지 개념만 익힐 뿐, 소수의 특정 성질을 이용해 복잡한 수식을 증명하는 문제는 다루지 않는다는 게 고교 교사들의 설명이다. 서울대 1학년 김모(20)씨는 “학원에서 대학 3학년 과정인 정수론을 배운 덕분에 겨우 풀 수 있었다. 이런 복잡한 공식은 고등학교를 다닐 때 본 적도, 배운 적도 없었다”고 말했다.
    교육운동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 25일 지난해 대입 자연계 논·구술고사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고려대·동국대·서울대·성균관대·연세대·이화여대·한양대 7개 대학은 고교 교육 과정을 벗어난 문제를 출제한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는 사교육 억제를 위해 대학 논∙구술고사에서 고교 교육 과정을 넘어서는 문제 출제를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 소재 14개 대학 중 7곳이 지난해 대입에서 논∙구술 문제(수학·과학)를 고교 교육과정 밖에서 출제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7개 대학은 고려대·동국대·서울대·성균관대·연세대·이화여대·한양대다. 이들 대학은 고등학교에 배우지 않는 내용 또는 대학 과정에서 문제를 내 고교 정규 수업만으로는 논·구술고사를 준비하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왔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교육걱정)은 25일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14개 대학이 출제한 논∙구술 문제 중 9%(312개 중 28개)가 고교 교육과정 밖에서 출제돼 선행교육 규제법을 위반한 소지가 크다”고 밝혔다. 2014년 시행된 선행교육 규제법에선 대학 입시에서 고교 교육 과정 밖 문제 출제를 금지하고 있다.
    사교육걱정은 지난 5월부터 2달에 걸쳐 건국대∙경희대∙고려대∙동국대∙서강대∙서울대∙서울시립대∙성균관대∙숙명여대∙연세대∙이화여대∙중앙대∙한양대∙홍익대 등 서울 소재 14개 대학의 2017학년도 논∙구술 문제를 분석했다. 46명의 현직 교사 및 박사 과정 이상 전문가가 분석에 참여했다.
    분석에 따르면 고교 교육과정 밖 출제 비율은 한양대가 38.9%로 가장 높고, 연세대(37.5%)·동국대(33.3%) 순으로 높았다. 그다음으로 서울대(23.2%)·이화여대(19.0%)·고려대(13.3%)·성균관대(3.4%) 순이다. 사교육걱정은 “동국대·서울대·연세대·한양대는 대학 과정에서 문제를 출제한 비율이 높아 정상적인 고등학교 교육만으로는 논·구술을 준비하기 힘들다”고 밝혔다.
    반면 건국대·경희대·서강대·서울시립대·숙명여대·중앙대·홍익대 등 7개 대학은 고교 과정 내에서 문제를 출제해 사교육 유발 요인이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연세대 자연계열 논술고사에 출제됐던 수학 문제. 고교 교사들은 "복잡한 풀이과정을 얼마나 정교하게 서술하는 지를 평가하는 본고사형 문제"라고 꼽았다.
    특히 전체 문항 중 97%가 서술형이 아니라 이른바 '본고사형'으로 출제된 것으로 조사됐다. 본고사형 문제는 특정 답이 이미 있고, 답을 내는 과정까지의 복잡한 풀이과정을 얼마나 정교하게 서술하는지를 평가하는 문제 유형이다. 서술형 문제는 답이 없고 학생에 따라 여러 풀이법을 적용해볼 수 있는 창의력을 평가하는 문제를 말한다. 논·구술고사는 학생들의 창의력과 논리력을 평가하자는 취지에서 서술형 문제가 권고되고 있다.
    최수일 사교육걱정 수학사교육포럼 대표 “본고사형 문제는 정해진 풀이과정대로 풀었는지를 확인하는 문제기 때문에 창의력 평가와는 거리가 멀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런 문제는 학원에서 고난이도 문제로 훈련을 받은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제”라며 “너무 어려워 학생들이 사교육에 의지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지난해 9월 교육부가 발표한 선행교육 규제법 위반 대학 명단.
    현행 선행교육 규제법에 따르면 교육부장관은 대학이 1차 위반시에는 시정명령을, 연속으로 2차 위반시에는 대학 모집정원의 10% 범위 내에서 정원감축 등 제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교육부는 매해 전국 대학의 논술고사를 분석해 선행교육 규제법 위반 여부를 점검해왔다. 지난해 9월 교육부가 발표한 2016학년도 대입 논술고사 분석에서는 가톨릭대·건국대·경북대·경희대·부산대·서강대·성균관대·연세대·연세대(원주)·울산대·한국한공대·한양대(에리카) 등 12곳이 선행교육 규제법 위반으로 조사됐었다.
    안상진 사교육걱정 부소장은 “고교 교육과정을 벗어난 문제는 학교 교육으로 대비할 수 없고 사교육을 유발해 수험생의 부담을 가중시킨다. 2년 연속 선행교육 규제법을 위반한 소지가 큰 성균관대·연세대는 정원감축 등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중앙일보

    서울대 등 주요 7개 대학, 논술·구술고사 선행학습금지법 위반"


    서울 주요大 자연계 논술 및 서울대 구술고사 분석
    교육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 25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 주요 대학 14곳 중 절반이 논술·구술고사에서 고교과정 밖의 문제를 출제했다"고 지적했다. /손현경 기자
    서울 시내 주요 대학들의 2017학년도 자연계 대입 논술 전형 및 구술고사에서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벗어난 문제를 내는 이른바 ‘선행출제’ 비율이 여전히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교육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하 사교육걱정)’은 25일 서울대를 비롯한 주요 대학 14곳의 2017학년도 자연계 논술전형과 서울대 구술고사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밝혔다.
    주요 13개 대학 자연계 논술고사의 경우 총 312문항 가운데 28개(9.0%), 서울대 구술고사의 경우 총 56문항 중 13개(23.2%)가 고교 교육과정을 벗어나 출제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분석은 지난 4월 25일부터 7월 7일까지 약 2개월 동안 46명의 현직 교사와 관련 분야 박사 전공 이상의 전문가가 참여해 진행됐다.
    지난해 이 단체가 같은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보다는 각각 5.7%p(논술고사), 10.0%p(구술고사) 감소한 것이지만, 선행문제를 낸 대학은 14개 대학 중 절반(7곳)을 차지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 교육과정을 벗어난 문제 출제 비율이 가장 높은 대학은 한양대(38.9%)가 가장 높았다. 이어 연세대(37.5%), 동국대(33.3%)가 출제한 30% 이상의 문제도 고교 교육과정을 벗어났다는 것이 이 단체의 분석이다.
    한편, 건국대, 경희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숙명여대, 중앙대, 홍익대는 고교 교육과정 내에서 출제해 선행교육 규제법을 준수했다. 고려대(17.9%→13.3%), 서울대(34.0%→23.2%), 연세대(52.0→37.5%), 이화여대(38.9%→19.0%)도 고교 교육과정 미준수 문항 출제율이 전년도보다 감소했고, 성균관대는 출제율이 3.4%로 전년도와 같았다.
    현행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은 대학 입학전형에서 논술 등 대학별 고사를 실시하는 경우 고교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을 벗어난 내용을 출제 또는 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사교육걱정은 법을 위반한 대학들에는 교육 당국이 엄중한 행정제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교육부는 대학의 교육과정 준수 여부에 대한 판단을 대학의 자체 판단에 맡겨서는 안 된다”며 “교육부와 시민단체 합동 검증위원회를 구성해 엄정한 법 준수가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지나치게 높은 비율의 본고사형 문제 출제를 시급히 개선해 사고 과정을 평가하는 논술고사의 본래 취지를 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제공  조선일보

    교육감들 '자사고·외고 폐지' 찬반 엇갈려..변수 될 듯


    전국 17개 시·도교육감 가운데 자율형사립고·외국어고 폐지에 찬성하는 교육감은 절반이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도 적지 않다. 진보 성향 교육감이 다수임을 감안하면 다소 의외다. 향후 정책 결정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25일 교육계에 따르면, 한 진보 교육감은 최근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만난 자리에서 자사고·외고 일괄폐지 반대 의견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수 교육감들이 자사고·외고 폐지에 반대하는 데다 진보 교육감 일부가 반대·유보 입장을 보이면서 ‘혼전’ 구도가 형성됐다.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은 교육감들의 취임 3주년 인터뷰, 기자회견을 비롯한 언론 보도 등을 토대로 자사고·외고의 일반고 전환에 대한 17개 시·도교육감 입장을 △찬성 7명 △반대 5명 △유보 5명으로 분류했다.
    보수 성향 대구·경북·울산교육감은 ‘자사고·외고 폐지는 교육감 권한”임을 강조했다. 진보 성향인 전남·충북교육감까지 반대 의견을 냈다. 장만채 전남교육감은 “인위적이거나 대안 없는 폐지에는 동의하지 못한다”는 입장. 김병우 충북교육감도 “설립 목적에 맞게 운영된다면 유지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유보 입장도 적지 않았다. 진보 성향 민병희 강원교육감의 신중론이 대표적이다. 강원도 횡성의 유명 자사고인 민족사관고가 ‘지역 브랜드’로 자리잡은 탓으로 풀이된다. 한 자사고 관계자는 “진보 교육감이 자사고·외고 폐지를 일절 언급하지 않는 것은 사실상 폐지 의견을 내기 어렵다는 얘기”라고 해석했다.
    이처럼 교육감들 입장이 갈리는 이유는 세부 절차에 대한 판단이 다르거나 지역별로 자사고·외고 영향력에 ‘정도의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지역별 온도차가 존재한다. “전국 자사고의 절반(23개교)이 몰린 서울과는 분위기가 다르다”는 설명이 뒤따랐다.
    진보 교육감이라 해도 지역 내 자사고·외고에 대한 교육 수요를 외면하기는 어렵다는 평이 나온다. 현행 제도를 유지한다는 전제 하에 해당 학교가 운영성과 평가기준을 통과하면 교육감이 이를 존중해 재지정하는 선의 절충안도 있다. 내년 선거를 앞둔 교육감 입장에서는 정치적 부담이 덜한 선택지다.
    자사고·외고 폐지 방식은 ‘제도적 해법’으로 정리되는 분위기다. 교육부가 설립 근거를 삭제하자는 것이다. 조희연 서울교육감이 제안했다. 전기와 후기로 나눠 선발하는 고입 시기를 일원화하는 방법도 제시됐다. 이들 학교가 일반고에 앞서 우수학생을 선점한다는 문제의식을 반영했다. 모두 시행령 개정 사안에 해당된다. 교육청이 평가기준을 충족 못한 자사고·외고를 일반고로 전환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중앙정부 역할에 방점을 찍었다.
    교육부가 시행령을 개정할 경우에도 해당 교육감 의견은 중시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초·중등교육 기능의 시·도교육청 이양을 공식화했다. 교육 자치를 내건 만큼 각 교육청 입장을 충실히 반영한다는 기조다. 민감한 교육 현안은 국가교육회의 심의를 거치겠다고 공언한 점도 이런 전망을 뒷받침한다.
    이와 관련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지난 24일 김 부총리와의 간담회에서 “자사고·외고가 설립 취지에 부합하게 운영하도록 개선하는 등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 국가교육회의에서 이 문제를 충분히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건의했다. 반면 사걱세는 “교육감이 지역 내 해당 학교 부모들 반대가 두려워 특권학교 폐지를 반대·지연한다면 국민 다수의 뜻을 거스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경닷컴

    2018 과학고 자기소개서 특강④-수학 소재


    모든 과학고들은 자기소개서에서 지원자의 수학적 경험을 묻는다. 수학은 과학과 더불어 과학영재들에게는 필수 소양인 만큼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수학 실력이 뛰어난 상당수 지원자들도 자신의 수학 관련 이야기를 풀어내는 데 있어서 과학이나 다른 영역보다 유독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다. 교과 특성상 실천적이거나 구체적인 사례로 설명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자신의 실력을 드러내려고 하면 할수록 미궁 속으로 빠져드는 자소서 수학 영역, 그 이유와 대책에 대해 알아봤다.
    수학 소재, 어떻게 선택할까?
    자신이 지원할 과학고의 자소서 양식에서 수학 관련 항목을 먼저 살펴보자. 학교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아래와 같은 내용들이 중심이다.
    ·수학 분야에서 크게 성장할 수 있었던 탐구 활동, 그를 통해 배우고 느낀 점.
    ·수학 분야에서 자기주도적으로 수행한 탐구 사례, 그것이 자신에게 미친 영향.
    ·수학 관련 자기주도적 학습 경험과 그를 통한 성장과 변화.
    ·의미를 두고 노력했던 수학 관련 활동이나 탐구 경험, 배우고 느낀 점.
    비슷한 듯 달라 보이기도 하지만 이들을 분석해보면 공통적으로 써야 할 내용이 크게 두 가지 영역으로 나뉨을 알 수 있다. 첫째는 ’탐구‘나 ’학습‘ 같은 경험 영역이고 둘째는 ‘의미’나 ‘배우고 느낀 점’ 등과 같은 해석 영역이다. 보통은 자소서 작성 순서에 따라 먼저 수학과 관련된 경험 소재를 떠올리고 해당 경험이 자신에게 미친 영향을 생각해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자신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증명해본 적 있다면 그 증명 과정을 일단 소재로 정한 이후에 그것이 자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었는지를 생각해보는 식이다. 하지만 경험과 의미 부여는 서로를 보완하는 성격이 강하고 상호 얽힐 수밖에 없는 만큼 소재 선택 단계에서부터 함께 고려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하노이 탑 놀이에서 조건 변화에 따른 수학적 해법의 규칙을 찾아봤던 경험을 자소서 소재로 선택할지 고민한다고 치자. 이 경험의 결과는 자신이 원했던 규칙을 찾아낸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로 나뉠 수 있다. 보통의 지원자라면 해당 결과의 유무를 소재 선택의 첫 번째 기준으로 삼기 마련이다. 규칙을 찾아냈다면 소재로 선택하고 그렇지 않았다면 다른 소재를 찾는 식이다. 그런데 결과가 좋아 막상 소재로 선택하고 보니 그 과정이나 결과에서 어떠한 의미도 찾기 힘든 경우가 있다. 단순히 누군가 제시했던 퀴즈를 우연히 맞혔거나 무작위적인 접근에서 뜻밖의 행운으로 문제가 해결된 경우, 혹은 특별히 자신이 좋아하거나 평소 관심 있던 분야가 아니라면 더더욱 그럴 수 있다. 억지로 의미를 부여하고 느낀 점을 우겨 넣는다면 자소서가 부자연스러워질 뿐 아니라 면담에서 오히려 감점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반대로 규칙을 찾아내지 못했을지라도 평소 하노이 탑 놀이를 즐겨했고 수학에서도 수열과 같은 관련 영역에 강점을 지녔다면 해당 경험에 대한 의미 부여는 수월해질 수 있다. 또한 면담에서 관련 질문이 나왔을 때 답변의 진정성과 다양한 자기 이야기의 확보가 수월해 높은 평가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결론적으로 자소서 소재의 변별력은 단순히 학업적 수준이나 성과만으로 평가될 수 없다는 것이 핵심이다. 오히려 자신에게 의미 있었던 활동 내에서 학업적 역량을 찾아내는 것이 합격에 더 가까운 소재 선택법일 수 있다.
    실력보다 특성을 드러내야
    앞서도 언급했지만 수학은 과학과 달리 실험이나 탐구보다는 문제풀이나 개념의 이해 등 학업 활동 자체가 정적이고 추상적인 경우가 많다. 지원자들이 수학 영역 작성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가장 큰 요인이다. 또한 자소서 항목에 나오는 표현 중 ‘탐구 활동’에 대한 지원자들의 좁은 해석도 문제다. 구체적인 산출물이나 특정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활동, 실생활과 연계된 문제해결 등 탐구 조건에 대해 스스로 까다로운 기준을 세워둘 때가 많다. 누구든 수학에서는 그런 경험이 흔치 않다보니 고민 끝에 많이 찾는 것이 어려운 문제를 풀어낸 경험이다. 물론 쉽게 변별력을 확보하면서 구체적인 사례로 제시하기 좋은 소재일 수도 있다.
    다만 한두 개의 고난도 문제풀이 경험을 입학담당관이 과연 나의 전반적인 수학 역량으로 평가해줄 수 있느냐는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그런데 조금만 더 생각해보면 그 어떤 소재라도 제한된 자소서 지면에 나의 수학적 역량을 온전히 신뢰하도록 드러내기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입학담당관들 또한 자소서에서 그런 것을 기대하지는 않는다. 때문에 자소서 작성에서 실력을 뽐내기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신의 수학적 특성을 잘 드러내는 것이다. 왜 수학을 좋아하며 그 중에서도 어떤 분야에 특별히 관심이 많은지, 또는 수학적 문제에 접근하는 자신만의 방식이나 습관 등을 드러내는 수단으로써 개별 소재들을 활용해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데자르그의 정리’에 대한 증명 경험을 소재로 선택했다면 자신이 평소 얼마만큼 기하학을 좋아했기 때문에 그런 문제에 천착할 수 있었는지, 그것을 증명하기 위한 과정에서 필요하거나 유용했던 자신의 자세나 습관 등은 무엇이었는지를 함께 어필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이런 특성들에 대해 입학담당관들이 호기심을 갖고 지원자에게 더 의미있는 질문을 던질 수 있게 하는 것이 자소서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다. 현재의 과학고 입시에 자신의 수학적 역량을 보다 직접적으로 보여줘야 하는 곳은 자소서가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한 면담과 면접 과정임을 명심해야 한다.
     조선일보

    한국, 국제물리올림피아드 2년 연속 1위

    국제물리올림피아드에서 우승한 한국 대표단의 최석원, 태상욱, 신수민, 김종민, 권순현 군(왼쪽부터).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국제물리올림피아드(IPhO)에서 한국 대표단이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4일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에서 최근 열린 48회 국제물리올림피아드에서 한국 대표단 5명 전원이 금메달을 수상하며 종합 성적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상의 주인공은 권순현 김종민 신수민 최석원 군(이상 서울과학고 3년), 태상욱 군(경기과학고 2년)이다. 국가별로 최대 5명이 참석 가능하다.
    이번 대회에는 86개국에서 모두 395명이 참가했다. 한국처럼 전원이 금메달을 수상한 중국과 싱가포르, 러시아도 공동 1위를 차지했다.
    올해 50주년을 맞은 IPhO는 실험과 이론으로 나뉘어 치러진다. 올해는 지진과 화산활동을 감지하는 센서에 관한 실험과 암흑물질, 지진, 우주팽창에 대한 이론 문제가 출제됐다.
    한편 한국 학생들은 최근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동아사이언스

    학종 준비하는 수험생이라면… “여름방학 기회로 삼아라”

    기사 이미지
    올해 수시모집에서 학생부종합전형(이하 ‘학종’)으로 뽑는 인원이 처음으로 30%를 넘겼다. 서울 주요 대학들이 학종 선발 비중을 높이고 있는 데다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인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절대평가, 고교 내신 성취평가제 도입 등이 예고돼 학종 선발 비율이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공정성 논란에도 학종의 영향력은 점차 커지고 있는 것.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수석연구원은 "학종으로 대학 진학을 원하는 수험생이라면 대학별로 학종의 평가 지표를 꼼꼼하게 살피는 등 면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만기 유웨이중앙교육 평가연구소장은 "학종은 특별한 스펙보다는 충실한 학교생활이 우선"이라며 "특히 고3 학생들의 경우 여름방학에 자기소개서와 면접 준비를 마쳐야 수시 원서접수 시기에 여유롭다"고 조언했다. 입시전문가들과 함께 고3 여름방학 학종 대비법에 대해 짚어봤다.

    ◇2018학년도 학종 특징은?

    올해 학종은 전체 모집정원의 23.6%, 수시 모집인원의 32%를 차지한다. 주로 수도권 지역 중·상위권 대학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뽑으며, 전국적으로 전년도에 비해 3.2%p(1만894명) 증가한 인원을 학종으로 선발한다. 서울대는 수시 모집 인원 100%를 학종을 통해 선발하며 ▲고려대(안암) 75.2% ▲국민대 71.7% ▲동국대(서울) 70.8% ▲한양대(서울) 57.1% 등 주요 상위권 대학일수록 학종 선발 비중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학종은 학교생활에 충실하고 교과 영역과 비교과 영역을 균형 있게 관리한 학생에게 유리하다. 교과 성적뿐 아니라 수상경력, 창의적 체험활동(자율활동‧봉사활동‧동아리활동‧진로활동),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독서활동,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등을 중심으로 평가하기 때문. 특히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발전 가능성, 인성 등의 평가요소를 정성적‧종합적으로 평가한다. 내신 성적 뿐 아니라 학생부 비교과 영역에서 우수성을 입증한다면 합격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다가오는 여름방학, 자기소개서‧면접 준비 필수

    학종의 가장 중요한 전형 요소는 서류와 면접이다. 특히 서류에서는 자기소개서가 합격의 당락을 가르는 주요 평가 요소다. 자기소개서 공통양식은 공통문항 3개, 대학 자율문항 1개로 구성된다. 공통문항은 고교 재학 기간 중 학업에 기울인 노력과 학습경험, 본인이 의미를 두고 노력했던 교내활동, 학교생활 중 배려, 나눔, 협력, 갈등 관리 등을 실천한 사례와 그 과정을 서술하는 것이다. 자율문항은 대학별로 1문항을 추가적으로 낼 수 있으며 대체로 지원 동기와 입학 후 진로(학업) 계획에 대해 묻고 있다.

    수험생들은 반드시 이번 여름방학에 자기소개서 초안을 작성하고 검토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좋은 자기소개서를 쓰기 위해서는 지원 동기를 녹여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종의 설립 취지에 맞게 교내 활동을 중심으로 경험과 느낀 점을 서술하는 것이 좋다. 똑같은 체험활동을 했더라도 단순 나열식 구성보다는 ‘그 활동에 참가하게 된 동기’와 ‘구체적인 활동 내용’, ‘그 활동을 통해 느끼고 배운 점’ 등이 나타나야 한다. 즉, ‘동기-과정-결과-영향’이 자기소개서에 드러나야 한다는 것. 최근엔 서류 표절 및 유사도 검증 시스템이 강화돼 표절 심사가 엄격해졌으므로 자신의 진솔한 생각을 창의적이고 짜임새 있게 작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문장은 간결하고 명료하게 작성해야 한다. 또한 주어 서술어 관계를 비롯해 수식어가 너무 많으면 문장의 요지를 파악하기 힘들다. 평소 간단한 문장으로 표현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예컨대, ‘남을 도우며 살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와 같은 문장은 ‘남을 돕겠습니다’ 또는 ‘남을 돕는 사람이되겠습니다’라는 문장과 바꾸어도 의미전달에 아무 문제가 없다. 아울러 초안을 작성한 이후에는 반드시 검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교사나 학부모, 지인에게 보완해야 할 점들을 피드백 받는 것도 좋다.

    면접 역시 여름방학을 통해 준비해야 한다. 면접은 대개 제출서류를 바탕으로 2~3인의 면접위원이 전공적합성, 발전가능성, 인성 등을 평가한다. 대학에 따라 발표면접, 심층면접, 인터뷰 및 토론평가 등 다양한 형태의 면접이 실시되므로 대학별 면접 정보를 찾아보고 지원 대학에 맞는 맞춤 준비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대학마다 중점을 두는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대학 홈페이지 등에서 대학의 건학이념과 인재상 등의 특성도 살펴보고 면접 평가 항목 등을 면밀히 분석해 대비해야 한다.

    ◇대학별 평가 요소 따져보고 맞춤형 준비해야

    수험생들은 대학별 평가 요소를 구체적으로 분석해 자신이 유리한 대학에 지원해야 한다. 예컨대, 다른 스펙에 비해 교과 성적이 우수한 학생은 ▲건국대(서울) KU학교추천 전형 ▲경희대 고교연계 전형 ▲국민대 학교장추천 전형 ▲서울과학기술대 학교생활우수자 전형 ▲연세대(서울) 학생부종합전형(면접형) 등에 지원하는 것이 좋다. 이들 전형은 학생부 교과 성적을 서류 평가와 별도로 반영하므로 학생부 교과 성적이 합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는 서류 반영 비율이 늘어난 대학이 많다. 이런 경우 서류가 더욱 중요한 평가 요소가 될 수 있다. 일례로, 건국대(서울) KU학교추천 전형은 서류 반영 비율이 40%에서 60%로, 경희대 고교연계 전형은 40%에서 50%로, 서울과학기술대 학교생활우수자 전형은 40%에서 55%로 늘었다. 광운대, 숭실대, 인천대, 한국산업기술대 등은 2단계에서 실시하는 면접 고사 반영 비율이 줄어 1단계 성적인 서류의 영향력이 커졌다. 한성대는 2단계에서 실시하던 면접을 폐지해 학생부와 서류만으로 합격자를 선발한다.

    면접고사를 실시하지 않고 제출 서류만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발하는 경우도 있다. ▲단국대(죽전) ▲서강대 ▲성균관대 성균인재전형 ▲인하대 학교생활우수자 전형 ▲한양대(서울) 등이다. 면접고사에 대한 부담은 없지만 제출 서류만으로 합격자를 선발해 서류 평가를 더욱 꼼꼼하게 준비해야 한다.

    조선일보

    인텔과학경시대회서 부문별 우승 차지한 마이클 이군 인터뷰


    “좋아하는 일을 하기 위해 덜 좋아하는 일을 하나씩 포기했어요.”

    기사 이미지
    '주니어 노벨상'이라 불리는 인텔국제과학경시대회에서 해당 분야 최고상을 받은 마이클 이군. / 이경민 객원기자.
    미국에서 ‘주니어 노벨상’이라 불릴 만큼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과학대회인 ‘인텔과학경시대회(Intel Science Talent Search)’에 롱아일랜드 출신 한인 고교생 마이클 이(한국명 이유민•맨하셋 고교 12학년)군이 ‘시스템 소프트웨어’ 부문 최고상을 받았다. 이번 대회에는 75개국에서 1700여 명이 넘는 고등학생이 참가해 자신들의 연구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이군은 ‘MFT(Multi Feed Tracker)’라 불리는 실시간 물체 추적 프로그램을 개발해 해당 부문에서 심사위원들로부터 최고 점수를 받았다. 상금 5천 달러와 함께 부상으로 그의 이름을 딴 소행성도 주어졌다. 올가을 스탠퍼드 컴퓨터 공학과에 진학하기 전 휴식을 위해 잠시 방한한 그를 만나봤다.

    ◇ 무엇을 만들 것인가를 끊임없이 연구하라.
    어렸을 때부터 줄곧 프로그램 개발에 두각을 보여 ‘코딩영재’라고 불렸던 이군. 그러나 그는 ‘코딩영재’라는 닉네임을 무척이나 부담스러워했다. 그저 좋아하는 일을 했을 뿐이라고.

    “저는 특별하지 않을뿐더러 지극히 평범해요. 코딩을 우연히 접한 다음 관심이 생겼고, 좋아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열심히 했을 뿐이죠. 좋은 성과가 따라온 것에 감사할 따름입니다.”

    이군이 코딩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초등 고학년 무렵이다. 다섯살 터울의 형이 코딩하는 것을 보고 신기함을 느꼈다. 그 이후 형이 만든 프로그램을 따라 만들면서 자연스럽게 흥미가 생겼고, 어깨너머로 익히다 점점 혼자 도전하기 시작했다.

    “제가 코딩을 좋아하게 된 것은 팔할이 형 덕분이에요. 매일 아침 일어나서 형과 오늘은 무엇을 만들지를 얘기하고 같이 고민하는 과정이 정말 행복했습니다. 서로 만든 것을 자랑하기도 했고요. 더 멋진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관련 자료를 찾아보면서 중학교 시절을 보낸 거 같아요. 신기한 것은 치열하게 고민하고 몰입할수록 더 좋은 결과물이 나온다는 사실이었어요. “

    그의 형 역시 코딩 분야의 능력을 인정받아 프린스턴대 컴퓨터 공학과에 진학했다. 현재는 페이스북에 입사해 재직 중이다.

    “저희의 공통점은 코딩을 정말 즐긴다는 점입니다. 만약 누가 시켰다거나 강압적으로만 익혔다면 지금처럼 좋아하지는 못했을 거예요. 코딩은 절대 지루하게 접해서는 안 됩니다. 어떻게 하면 좀 더 편리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이로울까를 늘 고민하는 과정 자체를 즐겨야 하는데 이것이 지겹거나 괴롭게 느껴진다면 결코 코딩을 잘할 수 없습니다. 만약, 지금 코딩을 시작하는 후배가 있다면 최대한 자신이 즐길 수 있는 방향으로 공부하라고 조언하고 싶어요. 주변 친구들과 선의의 경쟁을 하는 방법도 추천합니다.”

    그는 우리나라 청소년을 만난 자리에서도 이것을 끊임없이 강조했다. 짧은 방한 기간이지만 자신의 노하우를 알려주고 싶다는 바람으로 헬로우뮤지움이 기획한 ‘차세대 리더를 위한 크리에이티브 토크’에 강연자로 참여한 이군은 “한국에서도 코딩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고 알고 있다”며 “쉬운 방법에 기대지 말고 스스로 ‘무엇을 만들 것인지’를 치열하게 고민하라”고 강조했다.

    기사 이미지
    헬로우뮤지움이 기획한 '차세대 크리에이티브 토크'에 강연자로 참가해 우리나라 청소년을 만난 이군은 "무엇을 만들 것인지를 치열하게 고민하라"고 조언했다. /이경민 객원기자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하라.
    그의 꿈은 실리콘밸리에서 테크놀로지 분야로 창업하는 것이다. 일찌감치 목표를 정한 그는 매년 그것에 도달하기 위한 작은 계획을 정하고 실천해나갔다. 일단 고1 때는 사회경험을 하고자 가고 싶은 기업 100군데에 이력서를 보내 인턴 기회를 얻었다. 여름방학 두 달간을 오롯이 인턴을 하며 보낸 그는 그 이듬해에 회사에서 만난 멘토와 함께 ‘MATHPIC’이라는 수학학습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었다. 틈틈이 해당 분야의 대회에도 참가해 자신의 가능성을 평가받는 것도 잊지 않았다. 지난해에는 뉴욕시 과학 박람회(Newyork State Science and Engineering)에 참가해 최고상인 ‘best in fair’를 받았다. 이군은 “목표가 명확할수록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지도 선명해진다”고 덧붙였다.

    좋은 대학에 들어가기가 쉽지 않은 것은 미국도 마찬가지다. 그는 입시준비는 물론이고 대회 준비나 코딩 프로그램 개발까지 하기 위해 누구보다 시간을 촘촘히 관리했다. 쉬는 시간에는 휴식만 취하기 보다는 다음 수업을 준비하고 선생님께 질문하면서 자투리 시간도 낭비하지 않았다. 수업시간에는 최대한 집중력을 발휘해서 교과과정을 이해하려 애썼다. 덕분에 고2 때 ACT(American College Test·미국 대학 입학 학력고사)에 만점을 받았고, 얼리로 스탠퍼드에 합격할 수 있었다. 그는 “좋아하는 일(코딩)을 하기 위해 덜 좋아하는 일을 하나씩 포기하면서 시간을 활용했다”고 귀띔했다.

    이번에 수상한 인텔국제과학경시대회에 출전하기 위해 그는 6개월 동안 프로젝트에 매달렸다. 실시간 객체 추적 시스템은 무인자동차와 드론이 대중화될 것을 상상하며 떠올린 아이디어다. 그는 “주변의 위험요소를 빨리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으면 사고를 줄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추적과정에서 불필요한 정보를 제거함으로써 기존 추적기보다 빠르고 정확한 추적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때 그는 프로그램의 속도와 정확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자체 알고리즘을 작성해서 심사위원을 놀라게 했다는 후문이다. 이군은 “저의 꿈은 인간에게 유익한 무엇을 만드는 거”라며 “그 꿈을 위해 열심히 고민하고 결과물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韓, 물리·수학 국제올림피아드 '종합 1위'


    두 대회 모두 전원 금메달 수상
    IPhO 2년 연속 1위… 통산 여섯 번째
    우리나라 학생들이 수학·물리 분야 국제올림피아드에서 연이어 종합 우승을 차지하는 쾌거를 이뤘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지난 16~24일(현지 시각)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에서 열린 제47회 국제물리올림피아드(IPhO)에 참가한 한국 대표팀이 전원 금메달을 수상했다"며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종합 1위를 달성했다"고 24일 밝혔다.

    기사 이미지
    2017 국제물리올림피아드(왼쪽)와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각각 종합 1위에 오른 우리나라 대표팀 학생들.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한국이 IPhO에서 종합 1위에 오른 건 이번이 통산 여섯 번째다. 올해 우승을 일군 주역은 권순현·김종민·신수민·최석원(이상 서울과학고 3), 태상욱(경기과학고 2) 등 5명이다.

    IPhO는 대학 교육을 받지 않은 만 20세 미만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시험 시간은 총 10시간으로, 대학 기초물리 수준의 이론과 실험 문제가 출제된다. 올해는 지진에 관한 물리학과 우주 팽창 이론, 지진과 화산활동을 감지하는 센서에 대한 실험 등을 다뤘다.

    전날인 23일에는 제58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 나선 또 다른 한국 대표팀 6명이 종합 1위로 시상대 꼭대기에 섰다. 한국 대표팀은 111개 출전팀 중 유일하게 전원이 금메달을 목에 걸며 총점 170점을 기록, 2위 중국(159점)을 11점 차로 제쳤다. 특히 여학생으로는 11년 만에 대표팀에 이름을 올린 김다인(서울과학고 2) 양은 이번 대회 여성 참가자 62명 가운데 개인 성적 1위를 거둬 화제를 모았다.   조선일보

    2018 의대 입시 성공하려면… “지역인재전형 노려라”

    기사 이미지
    대입(大入)에서 자연계열 최상위권 학생들의 의대행(行)이 계속될 전망이다. 올해 의대 모집인원이 전년대비 100여 명 이상 증가하는 등 해마다 꾸준히 입학정원을 늘리고 있기 때문. 아울러 문재인 정부가 소득과 지역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 지방 의과대학 정원의 30%를 저소득층·지역인재로 의무선발하는 정책도 내놓으면서, 이를 기회로 삼는 학생들도 많아졌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의대 지역인재전형의 경우 해당 지역 학생은 물론, 서울·수도권이나 다른 지역 학생들도 눈여겨봐야 한다”며 “지역 의대의 상당수가 모집 정원이 많고 수시보다 정시 합격선이 높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수시 지역인재 선발로 지원자 분산효과나 수시 미충원, 정시 이월 인원 발생 등을 고려한 지원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입시전문가와 함께 2018학년도 의대 입시 지역인재전형 활용전략에 대해 짚어봤다.

    2018학년도 의대 지역인재전형 선발인원은 23개 대학, 515명이다. 지역별 선발인원은 광주·전남·전북이 150명으로 가장 많고, 부산·울산·경남이 146명, 대전·충남·충북·세종이 100명, 대구·경북 85명, 강원 34명 순이다.

    ◇[강원] 3개 대학 34명 모집⋯ 학종 100% 선발
    먼저 강원 지역은 가톨릭관동대, 연세대(원주), 한림대 3개 대학에서 모집정원 218명의 16%인 34명을 지역인재전형으로 선발한다. 3개 대학 모두 학종으로 뽑는다. 연세대(원주)는 서류 100% 일괄전형이지만, 가톨릭관동대와 한림대는 면접고사를 치른다. 한림대는 MMI(Multiple Mini Interview·다중미니면접) 방식의 면접(인성면접·상황면접·모의상황면접)을 총 30분간 진행한다.

    기사 이미지
    ◇[광주·전남·전북] 4개 대학 150명 선발⋯ 학종 확대
    올해 신입학 모집이 중지될 것으로 보이는 서남대 의대를 제외한 원광대, 전남대, 전북대, 조선대 4개 대학에서 입학정원 367명 중 41%인 150명을 지역인재전형으로 뽑는다. 전년도 모든 대학이 교과전형으로 선발했으나, 올해부터 원광대와 전남대가 학종으로 변경했다. 1단계 4배수 선발로 선발인원이 늘었기 때문에 2단계 면접 영향력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다른 지역과 달리 대학별 지원자격이 다른 점도 확인해야 한다. 원광대와 전남대는 광주·전남·전북 지역 출신 고교생 모두 지원할 수 있지만, 전북대는 전북지역만, 조선대는 광주·전남지역에 한해 지원할 수 있다. 조선대는 정시에서도 지역인재를 별도 선발한다.

    기사 이미지
    ◇[대구·경북] 5개 대학 85명⋯ 수능 최저 높은 교과 전형 중심

    올해부터 의대체제로 완전히 전환한 동국대(경주) 신입학이 추가돼 경북대, 계명대, 동국대(경주), 대구가톨릭대, 영남대 5개 대학에서 지역인재전형을 선발한다. 선발인원은 전체 모집정원 318명의 27%인 85명이다. 5개 대학 모두 학생부교과 전형을 운영하고, 4개 영역 등급 합 5(1등급 3개 이상)의 높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사 이미지
    ◇[대전·충남·충북·세종] 5개 대학 100명, 순천향대·충북대 수능 최저 없는 학종

    대전·충남·충북·세종 지역은 건양대, 순천향대, 을지대, 충남대, 충북대 5개 대학에서 모집정원 308명의 32%인 100명을 지역인재전형으로 모집한다. 충남대는 수시모집에서 지역인재 선발이 없고, 정시 가군에서만 시행한다. 순천향대와 충북대는 수능 최저기준이 없는 학종으로 합격자를 선발한다.

    면접 반영 비중은 큰 편이다. 순천향대의 경우 2단계 면접 성적으로만 최종 합격자를 가르고, 충북대 의대는 이틀 동안 면접 고사를 치른다.

    기사 이미지
    ◇[부산·울산·경남] 6개 대학 146명⋯ 면접 비중 높아
    경상대, 고신대, 동아대, 부산대, 울산대, 인제대 6개 대학에서 입학정원 398명 중 37%인 146명을 선발한다. 대부분 교과전형 중심 선발이지만, 부산대가 학종으로 40명을, 울산대가 논술 전형으로 4명을 선발하는 것이 눈에 띈다. 인제대는 교과 전형 중 유일하게 수능 최저기준을 요구하지 않고, 서류 평가를 위한 자기소개서를 제출해야 한다.

    면접 준비도 필수다. 부산대뿐 아니라, 고신대, 동아대, 인제대도 면접고사를 치르기 때문이다. 특히, 인제대의 경우 MMI방식을 활용해 6개 면점장을을 차례로 돌며 제시문에 대해 답변해야 한다. 고신대는 지난해 의학 관련 영어 제시문을 면접에 활용했다. 경상대와 동아대는 정시에서도 지역인재전형을 활용하며, 모두 가군에서 선발한다.

    기사 이미지

    ◇[수도권] 지역 소재 의대 눈여겨봐야

    서울∙수도권 수험생이라면 모집정원이 크고, 수시 선발 인원이 많은 지역 소재 의대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서울·수도권 상위권 학생들의 지역 소재 대학 수시 지원율은 낮은 편이고, 해당 지역 고교 출신들은 지역인재전형에 지원하기 때문에 실질 경쟁률은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전남대 의대는 수시모집에서 정원 125명 중 100명을 뽑는데, 지역인재전형 38명을 제외한 62명은 전국 단위로 선발하는 교과 일반 전형으로 선발한다.

    수시 미충원으로 정시 이월 인원이 많은 대학도 점검해야 한다. 소수점자리에서 당락이 좌우되는 의대 정시의 특징상 모집인원 1~2명 차이도 매우 크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수능 최저기준이 높은 교과전형에서 수시 이월 인원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년도 가군 부산대에서 11명, 전남대 7명, 충남대 10명, 다군 계명대 6명, 대구가톨릭대 8명 등의 수시이월인원이 발생하기도 했다.  조선일보

    서울대 고교 활동 동기·과정도 평가 고려대 '학생부 기반 면접' 도입


    최근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발표한 전국 4년제 대학교의 '2018학년도 수시모집 요강 주요사항'에 따르면 올해 수시모집 선발 인원(총 모집 인원 대비 74%)이 크게 늘었다. 그중 86%가량을 학생부 위주 전형으로 선발한다.

    최근 본지가 '2018학년도 대입을 말하다' 기획을 위해 취재한 서울대와 고려대도 마찬가지다. 두 대학은 정시를 제외한 거의 모든 전형을 학생부종합전형(이하 학종)으로 선발한다.

     
    서울대ㅣ안현기 입학본부장 "스스로 문제 만들어 토론해 볼 것"
    안현기 서울대 입학본부장(영어교육과 교수)은 올해 서울대 수시 일반전형의 '면접 및 구술고사' 대비법으로 '발표와 토론'을 꼽았다. 단, 스스로 문제를 만들어 발표하면서 심화한 토론을 반복해볼 것을 추천했다. 이런 연습을 하다 보면 면접장에서 떨지 않고 문제의 핵심을 간파할 수 있을 것이라는 조언이다. 이는 서울대 학종이 추구하는 인재상 및 교육 방식과도 일맥상통한다.

    서울대는 2018학년도 입시에서 총 3181명을 선발하고 수시모집에서 전체 선발인원의 80%에 가까운 2496명(78.5%)을 뽑는다. 수시는 지역균형선발전형(757명)과 일반전형(1739명)을 모두 학종으로 선발할 계획이다. 안 본부장은 "두 전형은 지원 자격만 다를 뿐, 고교 활동의 '동기·과정·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등 서류평가 기준이 같다"며 "지원자들은 자신만의 경험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학종'을 중심으로 한 서울대 입시 정책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라는 고민에서 나왔다. 즉 '서울대가 제공할 교육을 어떤 학생이 잘 소화할 것인가'를 고심한 끝에 학종을 그 해답으로 찾은 셈이다. 그렇다면 서울대는 지원자의 학업 능력을 어떻게 평가할까. 안 본부장은 "서울대는 교과 영역을 중요하게 평가한다. 비교과가 우수하다고 강점이라고 말할 수 없다. 학업 태도와 소양 등을 평가하지만 아무래도 '학업적 측면'이 강조되는 건 맞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학업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이 바뀌고 있다는 점을 유념하라"고 덧붙여 강조했다.

    "학업 능력이 중요한 평가 요소인 건 변함이 없습니다. 다만 학업 능력을 측정하는 방식이 바뀌었죠. 예전엔 단순히 시험 점수와 같은 수치로만 평가했어요. 그러나 이제는 학업의 동기와 과정을 함께 측정합니다. 학업이나 과제를 수행하면서 어떤 행동을 했고, 발표는 어떻게 했는지, 그 과정이 주변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등 '기여도'까지 평가하는 것이죠. 특정 과목에서 3등급을 받았다고 해도 당시 활동이 우수했거나 다음 학기에 성적을 회복했다면 3등급을 받았던 사실이 문제 될 게 없습니다. 학업을 수행한 과정에 주목하고 일련의 흐름을 짚어내는 것이 바로 올해 서울대 학종의 핵심입니다."
     
    고려대ㅣ양찬우 인재발굴처장 "면접, 상대방 입장에서 실전 연습"
    고려대는 올해 입시에 많은 변화를 줬다. 대규모 인원을 선발하던 논술전형을 폐지하고 학종 인원을 대폭 확대했다. 학생부 교과 위주 전형인 고교추천 I로 뽑는 400명을 제외한 모든 수시 모집 인원(고교추천Ⅱ 1100명, 일반전형 1207명, 기회균등특별전형 305명)을 학종으로 선발한다. 성적순으로 줄 세워 뽑지 않고 품을 많이 들여 직접 인재를 발굴하겠다는 의지다. 양찬우 고려대 인재발굴처장(수학과 교수)은 "사교육으로 다듬어지지 않은 원석, 학교생활에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임한 인재를 찾는다"며 "사회 변화와 본교의 인재상을 비춰봤을 때 앞으로는 '학종' 중심으로 가야한다고 확신했다"고 말했다.

    학종에 대해서는 다양한 얘기가 나온다. 양 처장 역시 이를 잘 알고 있다. "학종이 정량평가가 아닌 정성평가인 만큼 모든 이들이 결과에 수긍할 수 없다는 걸 압니다. 하지만 이런 우려를 저희는 '공정성을 최대한 확보하려는 노력'으로 불식시키고자 합니다. 올해 모든 수시전형에 면접을 반영한 것과 서류평가 검토를 기존 2차에서 최대 4차까지로 늘린 것도 바로 이런 노력의 하나죠. 이는 여러 검증 절차를 통해 학생부를 평가할 테니, 고교 역시 신중하고 정확하게 학생부를 작성해 달라는 저희의 메시지이기도 합니다."

    고려대는 올해 면접 비중을 상당히 높였다. 고교추천 I은 1단계에서 교과 성적으로 3배수를 추려 2단계에선 면접만으로 당락을 가린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있지만, 그리 부담스러운 정도는 아니다. 고교추천 Ⅱ는 서류 100%로 5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1단계 성적과 면접을 50%씩 반영한다. 일반전형은 서류 100%로 5배수를 선발하고 나서 2단계에선 1단계 성적 70%와 면접 30%를 합산한다.

    "일단 올해는 기존의 제시문 기반 면접 이외에 학생부 기반 면접을 추가했어요. 학생부 기반 면접은 지원자가 학생부에 반영된 것처럼 활동을 직접 한 것인지 진위 여부를 확인하려는 목적이고, 제시문 기반 면접은 단편적 지식보다는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해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능력을 평가하려는 것입니다. 사교육보다는'내가 면접관이라면 어떤 질문을 할까' 생각해 보기를 권합니다. 또한 인재발굴처 홈페이지에 8월 초 올려질 모의면접 동영상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겁니다."
    조선일보

    2017년 7월 4일 화요일

    아르메니아 왕실 여인의 기품과 위엄 -군주를 군주답게 만드는 배우자의 힘

     군주의 아내도 군주다

     저격수의 총탄이 날아드는 긴박한 현장에서도 남편을 지키기 위해 몸을 일으켜 세운 재클린 케네디, 전쟁에 패배해 의기소침해하던 남편에게 용기를 불어넣던 아르메니아의 왕비, 그리고 전쟁터로 떠나는 남편에게 군주답게 명예롭게 싸우다가 죽으라고 말하던 수사의 왕비 판테아에게서 우리는 군주는 절대로 혼자서 군주가 되는 것이 아님을 배우게 된다. 
    참된 군주 곁에는 군주처럼 행동하고 기품과 위엄을 갖춘 군주의 아내가 있었다.


     아르메니아 왕실 여인의 기품과 위엄

     아르메니아를 정복한 키루스 대왕은 왕실 사람을 모두 사면해주고 통치권을 계속 인정해주는 아량을 베풀었다.
     키루스는 적장(敵將)이자 친구인 티그라네스에게 물었다. “자네가 내게 전쟁에 져서 자네 부인도 내 포로가 되었으니 아내의 석방 조건으로 얼마를 더 낼 것인가?” 
    그때 티그라네스는 
    “아내가 노예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나의 목숨을 내어놓겠다”고 맹세했다.

    이 말에 감동받은 키루스는 그의 부인을 아무 대가 없이 석방시켜주고 무사히 왕실로 돌아갈 수 있도록 배려해준다. 아르메니아로 돌아가던 티그라네스는 아내에게 말로만 듣던 키루스를 직접 보니 느낌이 어땠냐고 물었다.

     키루스의 잘생긴 외모와 지혜가 놀랍지 않더냐고 슬쩍 떠본 것이다. 그때 티그라네스의 아내는 남편에게 이렇게 대답했다.

    “저는 키루스를 쳐다보지 않았습니다. 제가 바라본 사람은 아내를 구하기 위해서 자기 목숨을 버리겠다고 맹세하던 사람이었습니다.”

    군주가 군주다울 수 있는 것은 이런 배우자가 곁에 있기 때문이다. 존 F. 케네디 대통령 옆에 재클린 케네디가 있었던 것처럼 패전한 군주일망정 티그라네스 곁에는 정숙한 아내가 함께 있었다. 비록 전쟁에서 패배한 군주이지만 그 곁에서 사랑과 신뢰를 버리지 않고 용기를 불어넣어주는 지혜롭고 정숙한 아내가 있었던 것이다.   

    수사 왕실 여인의 기품과 위엄

    아르메니아 왕실 여인의 기품이 《키루스의 교육》 앞부분을 장식한다면, 뒷부분에서는 수사(Susa)의 왕비인 판테아(Panthea)가 고귀한 기품의 여성으로 등장한다. 

    당시 수사의 왕은 아브라다타스(Abradatas)였고 키루스와는 동맹군이었다. 바빌론 제국과의 마지막 결전을 앞둔 키루스의 연합군은 수사의 왕인 아브라다타스를 최선봉에 세우기로 한다. 
    바빌론 제국의 연합군 선봉은 이집트의 밀집 대형이 맡고 있었다. 수사의 왕인 아브라다타스는 적의 최강 부대인 이집트의 인해전술과 맞서게 되었다. 최후의 결전을 앞두고 출전하는 아브라다타스에게 왕비 판테아가 찾아왔다. 뺨을 타고 흐르는 눈물을 애써 감추며 판테아는 죽음을 앞둔 남편에게 이렇게 말한다.

    “왕이시여, 자기 목숨보다 당신을 더 사랑하는 여자가 있다면, 그 여자가 바로 나란 사실을 알고 계시지요? 당신과 나 사이의 사랑을 두고 맹세합니다. 당신께서 용감한 군인이라는 것을 보여주신다면, 불명예스러운 사람과 함께 불명예스럽게 사느니 차라리 당신과 함께 무덤 속으로 갈 것입니다.”

    그리고 판테아는 남편이 타고 갈 전투 마차에 입을 맞추며 작별을 고한다. 군주답게 명예롭게 싸우다가 멋있게 죽으라는 뜻일 것이다. 

    군주는 혼자 군주가 아니다 

    저격수의 총탄이 날아드는 긴박한 현장에서도 남편을 지키기 위해 몸을 일으켜 세운 재클린 케네디, 전쟁에 패배해서 의기소침해하던 남편에게 용기를 불어넣던 아르메니아의 왕비, 그리고 전쟁터로 떠나는 남편에게 군주답게 명예롭게 싸우다가 죽으라고 말하던 수사의 왕비 판테아에게서 우리는 군주는 절대로 혼자서 군주가 되는 것이 아님을 배우게 된다.


    참된 군주가 되기 위해서는 군주의 아내도 군주처럼 행동하고 기품과 위엄을 갖추어야 한다.
    군주의 거울 키루스의 교육 아포리아 시대의 인문학

    크세노폰의 ‘키루스 교육기’, 이상적인 리더의 덕목을 묻다


    크세노폰

    소크라테스는 글을 남기지 않았다. 소크라테스의 사상은 그의 발 아래서 직접 가르침을 받은 아테네의 유명한 두 제자를 통해 세상에 알려졌다. 바로 플라톤과 크세노폰이다. 크세노폰은 플라톤에 비해 유명하지 않지만 ‘르네상스형 인간’이다. 그는 철학자, 군인, 역사가, 용병, 소크라테스의 제자이자 회고록 집필자 등의 다양한 이력을 가졌다. 승마술에서 세금징수까지 실용적인 분야에 관한 책도 남겼다. 그는 소크라테스를 만나 제자가 된 후 나눈 철학적인 대화를 ‘메모랄리아(Memoralia)’라는 책으로 남겼다. 소크라테스에 대한 생생한 인간적 묘사가 담긴 ‘향연’과 ‘변명’도 저술했다. 소크라테스의 또 다른 제자인 플라톤도 ‘향연’과 ‘변명’이라는 저술을 남겼는데 그는 여기서 소크라테스를 사려 깊은 철학자로 묘사한다. 그러나 크세노폰에게 소크라테스는 다소 주관적이고 오만한 스승이다.
      
       크세노폰은 아테네의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 태어났다. 그는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전쟁을 벌인 펠로폰네소스전쟁(기원전 431~404년)이 시작된 기원전 430년에 태어났다. 그는 아테네에서 20㎞ 정도 떨어진 비옥한 지역인 에르키아에서 부농이자 기사귀족이었던 그륄루스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어려서부터 철학, 수사학, 기하학뿐만 아니라 승마술과 원예와 같은 다양한 교육을 받았다. 그는 펠로폰네소스전쟁의 마지막 부분과 그 후에 일어난 사건들을 기록한 ‘헬레니카(Hellenica)’라는 책을 남겼는데 이 책은 그리스 역사가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후속편에 해당한다.
      
      
       ‘키루스 교육기’의 질문
      
       그의 인생은 페르시아의 키루스 3세(기원전 424~401년)가 자신의 형이자 페르시아제국의 왕 아르타크세르크세스 2세에 대항하는 쿠데타를 일으켰을 때 용병으로 참전하면서 파란만장한 역정을 시작하였다. 크세노폰은 추상적인 철학에 심취하기보다는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세상에 나가 직접 실험하고자 했다. 즉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사상가라 할 수 있다. 그는 키루스 3세의 반란을 돕는 일만용사의 용병으로 참여하여 ‘아나바시스’라는 역사책을 남겼다. 크세노폰은 아테네 시민으로 모든 교육을 받은 엘리트였지만 아테네의 적인 스파르타의 정치와 문화도 흠모하였다. 그는 그리스로 다시 돌아와 이번에는 스파르타 장군인 아게실라우스의 일만용사들에 속해 아테네와 테베 연합군에 대항하여 라케다이모니아전투에서 싸웠다. 그는 이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워 펠로폰네소스에서 가장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엘리스(올림피아 근처)에서 23년간 거주하였다. 그는 이곳에서 많은 책을 집필하고 가정을 꾸리면서 아테네의 정치에 대한 객관적이면서 심오한 평가를 내린다. 자신이 용병으로 참전해 기록한 ‘아나바시스’ ‘헬레니카’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상적인 정치와 정치 지도자를 그린 서양 최초의 소설 ‘키루스 교육기’를 집필하였다.
      
       크세노폰은 ‘키루스 교육기’를 통해 우리에게 다음과 같이 질문한다. “참주(僭主)와 정당한 권위를 가진 통치자는 무엇이 다른가?” ‘키루스 교육기’는 정치적인 삶, 특히 리더의 자질에 대한 근본적인 가능성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책은 소설 형식을 띠었지만 플라톤의 ‘법률’이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과 비견되는 정치 이론서다. 크세노폰의 전제와 기대는 그의 글 형식만큼이나 플라톤의 이론적이며 형이상학적인 접근과는 전혀 다르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개인은 도시 아테네라는 큰 기계를 돌리는 기능공인 시민일 뿐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정의한 대로, 아테네 시민은 ‘도시 안에서 자신의 일을 찾아 최선을 다하는 동물’일 뿐이다. 이에 비해 ‘키루스 교육기’는 평범한 시민이 아니라 리더를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키루스 교육기’가 말하는 리더는 재능이 탁월하고 공격적인 리더로 이른바 ‘영웅(아네르·aner)’이다. 그는 자신의 덕과 지혜로 물질적 풍요를 갈망하는 다수의 범인들(앤스로포이·anthropoi)의 욕망을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다. 크세노폰은 다른 동시대 철학자들과는 달리 리더의 능력과 야심이 보편적인 정치개혁의 핵심이라고 주장한다.
      
       크세노폰은 페르시아제국의 창건자인 키루스 대제(기원전 600~530년)를 가장 효율적이며 이상적인 리더로 소개한다. 그는 암묵적으로 실패한 자신의 스승 소크라테스와 키루스 대제를 대비해 비교한다. ‘키루스 교육기’는 키루스 대제의 일대기를 기록한 역사소설이다. 이 책은 키루스 대왕이 어떻게 자신을 교육했는가에 대한 사실적인 기록이 아니라 리더를 위한 교육은 무엇이며, 키루스 대제의 교육에서 무엇이 결여되었는가를 지적한다. ‘키루스 교육기’는 키루스 대제의 교육뿐만 아니라 그를 관찰하면서 묵상한 이상적인 리더의 모습을 담고 있다.
      
      
       비범한 영웅에 관한 이야기
      
       서양문학사에 등장한 첫 번째 소설인 이 책은 키루스라는 인물을 통해 이상적인 리더의 모습을 혼란에 빠진 아테네와 스파르타에 제시하려는 숨은 목적이 있다. 키루스는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세계제국을 건설한 리더다. 그는 소위 방백제도를 구축하여 자신이 정복한 국가들에 장군들을 보내 통치하였고 페르시아의 파사르가데에서 소아시아의 사르디스를 잇는 도로를 건설하고 곳곳에 역참을 두어 제국 전체를 하나의 소통기관으로 재정비하였다. 그는 개별 국가, 인종, 종교, 언어를 하나로 묶는 중앙행정 제도를 구축하였다.
      
       그의 제국 통치는 고대 그리스·로마뿐만 아니라 르네상스와 계몽주의 시대, 그리고 미국 국부(國父)들의 정치철학에도 영향을 주었다. 특히 미국의 국부이자 3대 대통령인 토머스 제퍼슨(1743~1826)은 ‘키루스 교육기’의 애독가였다. 그는 이 책의 그리스 원본과 라틴어 번역본을 한 면에 볼 수 있도록 만들어 매일 읽으며 묵상하였고 미국 ‘독립선언문’의 초안을 잡는 길잡이로 삼았다.
      
       크세노폰은 ‘키루스 교육기’에서 페르시아제국과 제국의 야심을 비판하면서도, 이상적인 제국의 유토피아적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크세노폰은 가장 높은 수준의 덕망과 지혜를 지닌 개인의 역량이 제도를 능가한다고 믿는다. 그는 ‘키루스 교육기’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 영웅은 놀라움(그리스어 사우마조·thaumazo)의 가치가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그(키루스)가 태어날 때 누구였는지, 그가 어떤 본성을 가졌는지, 무슨 교육으로 양육되었는지 조사하였습니다. 그는 일반 범인들을 다스리는 데 탁월합니다. 우리가 그에 대해서 알고 감지한 것을 이야기하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크세노폰은 책의 앞부분에 인간을 다스리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렵다고 기록한다. 그의 이런 생각은 페르시아 쿠데타 전쟁에 용병으로 참여한 후 달라진다. 키루스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전해 듣고 인간을 다스리는 일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기 시작한다. 그는 키루스를 통해 인간을 다스리는 본질과 원칙에 대해 실마리를 찾는다. 그에 의하면 리더는 법과 관습에 복종하려는 유순한 피지배자를 다스리는 자다. 참주는 반항하는 피지배자들을 불법으로 다스리는 자인 반면 이성적이며 진정한 왕권은 왕의 절대적인 권력을 보장하는 헌법이 있어야 가능하다. 헌법은 왕이 백성들에게 맞는 적당한 직업을 맡기는 절대적인 권력을 보장해준다.
      
       ‘키루스 교육기’는 역대 정권에 대한 대화집이다. 역대 정권을 참고해 정치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위험요소들을 제거할 수 있도록 조언한다. 이 책은 다양한 정권들에 대한 나열로 시작한다. 많은 민주주의들, 왕조들, 귀족정권들, 참주정권들, 그리고 개인들이 불만족스러운 시민들과 노예들에 의해 전복되었다고 기록한다. 인간은 목동의 지시를 순순히 따르는 가축과는 달리 자신을 다스리려고 하는 리더에게 본능적으로 반기를 든다. 크세노폰은 인간을 본성적으로 다스리기 가장 어려운 동물로 정의한다. 그는 이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와 다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을 본성적으로 ‘정치적 동물’(정치학)로 정의한다. 그러면 리더는 어떻게 다수 인간을 다스릴 수 있을까.
      
       그는 페르시아제국의 창건자 키루스 대제를 완벽한 목자로 비유한다. 그는 다양한 인종과 언어를 사용하는 수많은 시민과 백성으로부터 자발적인 복종을 얻어냈다.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마음을 바꿔 복종한 이유는 통치자가 ‘에피스테메(episteme)’, 즉 ‘과학적 지식과 지혜’를 지녔기 때문이다. 고집스러운 범인들은 지식과 숨겨진 공포의 힘을 지닌 통치자의 명령을 따른다. 그는 키루스 대제의 성공을 공포로 보았다. 마치 중세 마키아벨리가 말한 지도자의 전형 같다. 그는 넓은 지역의 많은 사람들을 다스릴 때 오는 불안정이 인간이 가진 자유를 향한 열망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는 인간들의 자유를 향한 본능적인 열망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는 힘을 키루스 대제의 통치를 통해 파악하였다. 그는 독재자 히에로와 시인 시모니데스의 대화를 수록한 다른 저서 ‘히에로(Hiero)’에서 시모니데스의 입을 빌려 ‘키루스 교육기’의 서문처럼 인간들을 구분한다. “(세상에는) 명예를 지키기 위해서 사는 소수의 진정한 영웅들과 이런 야심이 없이 짐승처럼 육체의 욕망을 충족하기 위해 사는 많은 인간들이 있다.” ‘키루스 교육기’는 다수 범인들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비범한 한 영웅에 관한 이야기다.
      
       

    ▲ 키루스

       키루스의 자기절제
      
       크세노폰은 정치적 불안정을 제거하는 리더의 ‘지식’을 통해 건설된 보편적인 제국을 설명하기 전에 사적으로나 공적으로 스스로 온전해진 도시국가를 상징하는 정권을 소개한다. 그는 키루스의 탄생과 교육이 가능했던 페르시아를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 사상에 적합한 정치적인 제국으로 각색한다. 키루스는 영웅과 인간들이 지닌 두 가지 본성을 자신의 교육 환경을 통해 어려서부터 확인하고 훈련받았다. 당시 키루스의 고향 시민들은 계급 없이 동등했다. 그들은 자치정부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법을 준수하는 평등과 자유를 누렸고 이를 스스로 자랑스럽게 여겼다. 개인적으로 탁월하여 영웅이 될 소질이 있었던 어린 키루스에게 이런 페르시아의 삶은 지루하고 단조로웠다. 영웅이 되고 싶은 키루스를 자극한 사람은 그의 할아버지인 메디아의 왕 아스티아게스다.
      
       키루스는 어느 날 어머니를 따라 할아버지 아스티아게스의 나라 메디아를 방문한다. 키루스 어머니는 키루스에게 메디아의 사치스럽고 계급적인 삶을 보여주고 키루스에게 맞는 영웅이 되는 교육을 하고 싶었다. 메디아는 페르시아제국 창건 전부터 이란 중부에 자리 잡고 있었던 왕국이다. 아스티아게스는 자신이 애지중지하는 손자를 대견하게 여겨 그에게 훌륭한 무기들을 선물하고 승마술을 연마시킨다. 승마술은 자신이 살던 가난한 페르시아에서는 향유할 수 없는 사치였지만 훌륭한 군인으로 거듭나는 데 결정적이었다. 아스티아게스는 메디아의 독재자로서 손자 키루스를 자식보다도 편애하였다. 어린 키루스는 할아버지 아스티아게스로부터 절대권력을 휘두르며 많은 메디아인을 다스리는 방법을 배운다.
      
       당시 페르시아가 공공선과 평등을 강조했다면 메디아는 개인주의를 찬양하였다. 아스티아게스는 메디아를 마치 목자가 가축을 다루듯이 통치하였다. 메디아인들은 아스티아게스의 탐닉하는 삶을 흉내 냈다. 중요한 점은 키루스의 태도다. 키루스는 메디아에서 불평등하고 사치스러운 삶을 맛보았지만 자기 스스로 페르시아적인 평등과 자발적인 정치를 유지했다. 키루스는 아스티아게스가 주는 비싼 음식들을 먹지 않고 오히려 자신의 욕망을 억제했다. 자신이 받은 선물과 음식을 손님과 종들에게 나눠줬다. 크세노폰은 여기서 키루스의 자기절제를 부각시킨다. 역설적이게도 키루스는 사치에 대한 욕망을 페르시아의 평등주의로 극복한다. 키루스는 성적인 유혹도 자신의 명예를 지키려는 내적 절제인 소프로시네(sophrosyne)로 이겨낸다. 그는 자기절제를 통해 자신의 명성과 권위를 강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스스로를 욕망에 탐닉하는 사람들을 지키고 보호하는 금욕적인 목자로 성장시킨다. 그는 말한다. “나는 너희들이 마시는 와인을 마시느니 내 스스로 술을 따르는 사람이 될 것이다.”
      
       키루스는 메디아의 쾌락주의와 페르시아의 금욕주의를 통합하여 ‘영웅’으로 거듭난다. 그는 페르시아의 정치적 동물이 소중히 여기는 평등과 자유를 참주만 가지는 ‘지식’과 통합한다. 키루스는 성장하면서 명예를 더욱더 소중히 여긴다. 영웅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을 저해하는 육체적이며 정신적인 유혹을 승마기술의 연마로 분쇄한다. 그는 스스로 완벽한 기수가 되도록 수련한다. 당시 페르시아는 많은 첩을 거느릴 수 있었지만 키루스는 완벽한 기수가 되기 위해 승마를 더 ‘사랑(에로스)’한다. 크세노폰은 키루스가 말 위에서 자신에게 느끼는 에로스가 여인에 대한 사랑보다 강했다고 기록한다.
      
      
       에로스의 노예가 안 된다
      
       크세노폰은 이상적인 국가나 제국의 건설에 다소 회의적이다. 그는 개인의 자유와 만족을 위한 갈망이 전문적인 지식을 통해 통치하려는 리더의 마음과 충돌하지 않고 조화롭게 승화할 수 있는가를 묻는다. 그는 키루스의 부하 아라스파스 이야기를 소개한다. 아라스파스는 페르시아 도시 ‘수사’의 아름답고 고귀한 여왕 판테이아를 보고 첫눈에 반한다. 판테이아는 그녀의 이름이 상징하듯이 압도적인 신적 광채를 지닌 아시아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이다. 키루스 대제의 부하들은 수사를 점령하면서 그녀를 포로로 잡아 키루스 대제에게 데리고 간다. 키루스는 아라스파스에게 그녀를 지키라고 명령을 내린다. 아라스파스가 그녀를 감금하려 할 때 판테이아는 항거의 표시로 자신의 왕복을 찢어 나체를 드러낸다. 그러자 그는 그녀를 소유하려는 ‘에로스’에 눈이 먼다. 아라스파스는 키루스를 초대하여 키루스도 자신의 소유가 되어버린 판테이아의 아름다움을 탐닉하길 바란다. 그러나 키루스는 그녀를 쳐다보지 않고 말한다. “자기 자신을 에로스에 종속시키는 사람은, 그 집착 때문에 자신의 임무를 소홀히 한다.”
      
       키루스의 꾸짖음을 들은 아라스파스는 자신이 사랑의 ‘노예’가 되었다는 말에 동의하지 않는다. 아라스파스는 자신과 같이 ‘탁월하고 선한 사람’은 인생에 세 가지 목적이 있다고 말한다. 즉 부와 승마술, 그리고 탁월함이다. 자신은 상관 키루스처럼 부를 추구하고 승마술을 연마하지만 탁월함의 상징인 판테이아를 사랑한다고 당당하게 말한다. 키루스는 아라스파스가 판테이아로 상징되는 탁월함의 ‘주인’이 아니라 ‘노예’라고 판단한다. 키루스는 오리엔트의 참주들처럼 ‘에로스’에 사로잡혀 자신의 첩을 흠모하는 부하를 거세하지는 않는다. 그는 이상적인 정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명예를 위한 자기 훈련이 더 중요하다고 봤다. 아라스파스는 키루스 대제가 죽고 난 뒤 페르시아제국이 허물어지는 것을 목격한다.
      
       크세노폰에게는 자기 자신을 조절할 수 있는 ‘자제력’이 가장 중요한 리더의 덕목이었다. 하지만 크세노폰은 리더가 이끄는 안정적인 정치는 지속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크세노폰은 이상적인 리더를 찾는 여정에서 리더의 ‘지식’을 통해 안정적인 정치를 계속할 수 있다는 희망이 점점 희미해진다. 그는 처음에는 소크라테스나 플라톤이 지향한 철학적인 삶의 대안으로 이상적인 리더를 통한 정치적인 삶을 살펴보았지만 결국 실패하였다. 이런 면에서 ‘키루스 교육기’는 이상적인 리더에 대한 바람이다. 이상적인 정치 리더가 이토록 등장하기 힘든가.

    주간조선

    크세노폰과 키루스 Cyrus





    크세노폰Xenophon 과 키루스Cyrus

    군주의 거울(Mirror for Princes)키루스의 교육, 그리스 고전에서 희망을 찾다


    숙였던 고개를 들고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는 것

    절망의 시대,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군주의 거울, 키루스의 교육 
    기원전 5세기에 시작된 고대 그리스의 아포리아

    거대한 군대의 진격, 페르시아 전쟁

    승자도 패자도 없는 동족상잔, 펠로폰네소스 전쟁

    철학에 저지른 범죄, 소크라테스의 죽음

    현재 진행형인 대한민국의 아포리아

    울분의 역사, 일제강점기

    이념의 동족상잔, 한국전쟁

    성장을 위한 개인의 희생, 각자도생

    군주의 거울, 그리스 고전에서 희망을 찾다


    각자도생(各自圖生)의 시대, 우리는 위기를 헤쳐나가기 위해 인문학이 처음 태동했던 고대 그리스로 돌아가려 한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위기보다 훨씬 더 심각한 절체절명의 상황을 ‘막다른 곳에 다다름’이라는 뜻의 아포리아(Aporia)라 명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답을 인문학에서 찾았다. 이때 기록된 책이 크세노폰의 『키루스의 교육』, 헤로도토스의 『역사』,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플라톤의 『국가』다.

    그리고 이들 고전은 기원후 8세기, 카롤링거 왕조(Carolingian Dynasty) 시대에 군주나 봉건 귀족의 자제를 위한 리더십 교육 과정으로 재탄생한다. 새로 탄생한 왕자(Prince)가 마땅히 본받아야 할 거울(Mirror)과도 같다고 해서 그 이름도 ‘군주의 거울(Mirror for Princes)’이라 했다. 혼탁한 세상에 대중의 흐트러진 마음을 다잡고 나라의 미래를 제시할 수 있는 탁월한 리더에 대한 갈망이 이를 태동시킨 것이다.

    지금까지 『마키아벨리』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천재들의 도시 피렌체』로 우리 사회를 탁월하게 통찰해온 김상근 교수가 고대 그리스 고전을 재해석한 이유 또한 고대 그리스와 중세의 시대적 요구와 다르지 않다. 제1부에서는 고전에 기록된 그리스 아포리아 시대의 실감나는 현실을, 제2부에서는 아포리아 시대를 살아가는 리더가 성찰해야 할 가치들을 통해 더 이상 물러설 곳 없는 절망의 시대에 우리에게 필요한 날카로운 대안을 제시한다.

    https://youtu.be/C0Ep-sN3vVU


    서문 - 숙였던 고개를 들고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는 것

    1부 아포리아 시대의 기록
    『역사』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국가』 『키루스의 교육』


    1. 아포리아 시대의 인문학, 군주의 거울
    비극은 왜 반복되는가? | 아포리아 시대의 필독서, 군주의 거울
    군주의 거울이 등장하기까지 | 왜 하필 그리스일까?

    2. 리더의 자질이 없는 자는 척박한 땅에 만족하라
    - 헤로도토스의 『역사』
    그리스의 첫 번째 아포리아, 페르시아 전쟁 | 리디아의 왕 크로이소스
    행복이란 무엇인가? | 페르시아의 왕 크세르크세스 | 아테네의 영웅, 테미스토클레스
    헤로도토스의 결론: 리더의 자질이 없는 자는 척박한 땅에 만족하라

    3. 반복되는 역사 속에 드러나는 인간의 본성
    -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태풍 전의 고요함 | 그리스의 두 번째 아포리아, 펠로폰네소스 전쟁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발발과 전개 과정 | 진정한 군주의 거울, 영웅 페리클레스
    배신의 아이콘, 알키비아데스

    4. 철학으로 아포리아에 맞선 스승과 제자
    - 플라톤의 『국가』
    그리스의 세 번째 아포리아, 소크라테스의 죽음
    그리스의 마지막 아포리아에 맞선 제자, 플라톤 | 아포리아를 극복하는 방법

    5. 그리스의 마지막 군주의 거울
    - 크세노폰의 『키루스의 교육』
    그리스 최고의 군주의 거울을 쓴 사람 | 플라톤과 크세노폰
    왕 중의 왕, 키루스 대왕은 왜 군주의 거울이 되었을까?

    2부 아포리아 시대, 리더의 공부
    『키루스의 교육』


    1. 정의의 수호자가 돼라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 키루스 대왕의 어린 시절 | 군주가 지켜야 할 정의의 원칙

    2. 세월의 변화를 직시하라
    루돌프라는 이름의 슬픈 황제 | 시간의 흐름과 세월의 변화를 읽은 소년 키루스

    3. 불확실성에 의존하지 마라
    키루스, 처음으로 전쟁을 지휘하다 | 불확실성과 포르투나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지혜의 언덕에 오르기 위해

    4. 스스로 고난을 함께 나누라
    지혜를 추구하는 군주 | 자발적인 복종과 수사학 | 지혜와 용기

    5. 군주다움을 끝까지 지켜라
    『햄릿』의 명대사 | 아르메니아와의 전쟁 | 신하 선택의 기준

    6. 군주의 아내도 군주다
    케네디 암살, 그 기록 | 아르메니아 왕실 여인의 기품과 위엄
    수사 왕실 여인의 기품과 위엄

    7. 사람들은 군주의 뒷모습을 본다
    비너스 효과 | 사람들은 지금 당신의 뒷모습을 보고 있다

    8. 승리의 방식
    세계의 화약고로 가다 | 신아시리아, 신바빌로니아 그리고 페르시아의 대결

    9. 인간의 본성을 직시하라
    사이렌의 유혹과 오디세우스 | 아라스파스의 임무 | 아라스파스의 최후

    10. 레거시를 남겨라
    독일의 리더십과 유럽 | 레거시를 남긴 비스마르크와 키루스 대왕
    어떻게 하면 더 잘할 수 있을까?

    11. 초심을 잃지 마라
    바빌론 강가에서 | 키루스 실린더 | 정복 전쟁이 종결된 후 | 키루스의 취임 연설

    12. 제국은 사람이다
    새로운 제국의 수도를 건설하다 | 제국은 건물이 아니라 사람이다
    키루스의 인재등용 방식

    절망의 시대,
    다시 시작하는 인문학


    한때 우리 사회에 몰아닥친 인문학 열풍도 이제는 잠잠해졌다. 혼란한 시대에 내려진 인문학적 진단을 통해서도 여전히 세상은 변하지 않았고 인재(人災)로 인한 비극적인 참사는 지금도 여전히 진행 중이다. 사고 수습은 언제나 후회로 시작해 관련자 처벌로 끝난다. 이처럼 반복되는 절망 속에서 인문학이 주던 희망은 이제 그 빛을 다하고 말았다. 위기 상황의 실질적인 기술을 원하는 사람들이 인문학식 문제풀이 방식에서 답답함을 느끼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크라테스가 교육이란 혼의 지적 기관에 시력을 넣어주는 기술이 아니라고 말했듯이 인문학은 결코 구체적인 답을 주는 학문이 아니다. 바라본다는 행위 자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를 통해 내가 어디에 있으며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지 스스로 인생의 좌표를 찾도록 이끌 뿐이다.

    사실 현재 인문학에 드리워진 위기는 인문학 자체의 문제에서 비롯된 것도 적지 않다. 인문학 열풍에 편승하고자 소위 퇴색된 의미의 가짜 인문학이 판을 친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제 인문학이 처음 태동했던 당시로 돌아가야 한다. 인문학이 탄생했던 당시의 시대적 요구와 본모습을 마주할 때, 끝나지 않는 절망의 시대에도 작별을 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마키아벨리』『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천재들의 도시 피렌체』로 우리 사회를 탁월하게 통찰해온 김상근 교수가 절망의 시대를 위한 인문학인 그리스 고전을 재해석했다.

    아포리아,
    고대 그리스에 시작되다


    지금 우리는 각자도생(各自圖生)의 시대를 살고 있다. 자기 스스로 살아갈 방편을 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막다른 곳에 다다름’이라는 뜻의 아포리아(Aporia)라고 했다. 1200여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그리스는 도서(島嶼) 간 이동이 잦은 만큼 해상 사고의 위험도 빈번했다. 이때 그리스 사람들은 항해 중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아 더 이상 어떻게 할 수 없는, 위기보다 훨씬 더 심각한 상태에 처했을 때를 아포리아라고 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답을 인문학에서 찾았다.

    기원전 5~4세기 고대 그리스에 밀어닥친 전대미문(前代未聞)의 페르시아 전쟁, 펠로폰네소스 전쟁, 소크라테스의 죽음으로 그리스는 아포리아에 처한다. 더 이상 갈 수 없는 ‘길 없음’의 시대가 찾아온 것이다. 특히 같은 민족끼리 창검을 겨누었던 펠로폰네소스 전쟁과 철학을 타살했던 소크라테스의 죽음은 그리스의 아포리아가 외부적 요인을 넘어 자생적으로 발생하기에 이르렀음을 보여준다.

    이때 그리스의 역사가와 철학자는 분연히 펜을 들고 그리스가 왜 이런 위기에 처할 수밖에 없었는지 전후사정을 기록함으로써 반복되는 역사 속에서 아포리아 시대를 헤쳐나가기 위한 방법을 담아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페르시아 전쟁은 헤로도토스의 『역사』로,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로, 소크라테스의 죽음은 플라톤의 『국가』와 크세노폰의 『키루스의 교육』으로 기록된다.

    『키루스의 교육』 『역사』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국가』
    이 시대 최고의 군주의 거울, 『키루스의 교육』


    우리가 지금 고대 그리스의 인문학으로 다시 돌아가는 이유는 기원후 8세기, 카롤링거 왕조(Carolingian Dynasty) 시대의 상황과 다르지 않다. 당시에는 봉건제로 인해 자신의 봉토를 지키기 위한 방편으로 군주나 봉건 귀족의 자제를 탁월한 리더로 양성하기 위한 리더십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었다. 이를 위해 새로 탄생한 왕자(Prince)가 마땅히 본받아야 할 거울(Mirror)이라는 의미의 ‘군주의 거울(Mirror for Princes)’이라는 인문학 교과 과정이 개발되었고, 당시 각국 수도원에서 대대적으로 발굴된 그리스와 로마의 고대 문헌을 리더십 교육에 사용하였다. 『키루스의 교육』 『역사』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국가』는 바로 이때 발굴된 고대 그리스의 고전이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는 고대 그리스 고전으로 돌아가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절망과 비극이 반복되는 한국 사회는 아포리아를 겪던 위기일발의 고대 그리스의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일제에 의한 침입과 동족상잔의 한국전쟁, 그리고 성장 위주의 정책으로 인한 사회적 병폐는 인류의 역사가 시공간을 초월해 반복됨을 보여준다. 탁월한 리더를 향한 중세의 시대적 요구와 정치, 경제, 교육, 종교 등 각 분야의 리더들로부터 희망을 얻지 못한 지금의 시대적 욕망은 정확히 일치한다.

    『역사』의 크로이소스 왕, 크세르크세스 왕, 테미스토클레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의 페리클레스와 알키비아데스를 통해 우리는 자격을 갖추지 못한 인물이 리더의 위치에 오르면 국민이 어떤 고통을 겪게 되는지 알 수 있으며, 플라톤의 『국가』를 리더의 역할이라는 관점으로 다시 해석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키루스의 교육』은 키루스 대왕을 통해 군주가 지녀야 할 자질이 무엇인지, 아포리아 시대를 극복하기 위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리더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 되새기게 한다. 『역사』와 『펠로폰네소스 전쟁사』가 역사 속 인물을 반면교사 삼아 잘못된 리더의 모습을 깨우쳐줬다면 『키루스의 교육』은 여기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리더가 갖추어야 할 자질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또한 『국가』가 삶을 사색적인 시선으로 접근했다면 『키루스의 교육』은 실천적인 시선을 통해 냉혹하고 엄정한 현실을 치밀하게 다룬다. 이것이 이 시대의 리더에게 『키루스의 교육』이 최고의 군주의 거울이 되는 이유다.

    그러나 우리가 이들 고전을 통해 기억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은 오늘날 군주의 거울이 비추어야 할 주된 대상은 비단 지도자뿐만이 아니라 우리는 자신이라는 점이다. 남을 탓하던 그 손가락을 자신에게 돌릴 때 우리는 앞으로 나아갈 길을 찾을 수 있다. 그래야만 기원전 5세기 그리스에 충격과 절망의 아포리아가 훗날 찬란한 문화로 꽃피웠던 것처럼 오늘날 이 땅의 아포리아 또한 희망의 기운을 머금을 것이다.

    2017년 7월 2일 일요일

    The Map of Physics





    Everything we know about physics - and a few things we don't - in a simple map.

    The Map of Chemistry



    The entire field of chemistry summarised in 12mins from simple atoms to the molecules that keep you alive


    The Map of Mathematics



    The entire field of mathematics summarised in a single map! This shows how pure mathematics and applied mathematics relate to each other and all of the sub-topics they are made from.


    Mathematics is the queen of Sciences





    An exploration of mathematics, including where it comes from and why it explains the physical world; and whether it’s a human invention or a hidden language of the universe.
    Aired on 15 Apr 2015, on PBS network's NOVA program series


    The Fantastic Mr Feynman

    "Richard Feynman is one of the most iconic, influential and inspiring scientists of the 20th century. He helped design the atomic bomb, solved the mystery of the Challenger Shuttle catastrophe and won a Nobel Prize. Now, 30 years after his death - in his own words and those of his friends and family - this is the story of the most captivating communicator in the history of science"


    Richard Feynman, The Great Explainer: Great Minds

    Richard Feynman, The Great Explainer: Great Minds


    Don McLean - Vincent ( Starry, Starry Night) With Lyrics


    Vincent Willem van Gogh was a Dutch Post-Impressionist painter who is among the most famous and influential figures in the history of Western art.

    Vincent (Starry, starry night ) Don McLean


     네델란드 화가 빈센트 반 고흐를 아시는지요? 강렬한 색채와 거침없으면서도 섬세한 붓 자국으로 역사상 최고의 화가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히는 사람입니다. 대표작으로 '별이 빛나는 밤', '해바라기', '프로방스의 시골길 야경' 등이 있죠.
    천재지만 불행한 삶을 살았던 화가 빈센트 반 고흐…… 그의 작품과 인생을 기리는 노래가 있는데요. 미국 가수 단 맥클레인 (Don McLean)이 1971년에 발표한 노래 'Vincent'입니다. 여름 밤에 듣기에 참 좋은 노래인데요. 어떤 노래인지 잠시 들어보시죠.



    감미로운 기타 연주와 단 맥클레인의 부드러운 목소리가 잘 어울리는 노래죠? 단 맥클레인은 반 고흐의 전기를 읽고 나서 감명을 받아 이 노래를 썼다고 하는데요. 가사가 매우 서정적입니다. 어떤 가사인지 한 소절씩 해석해 보죠.
    (1절)
    Starry, starry night 
    별이 빛나는 밤
    Paint your palette blue and grey 
    팔레트를 푸른색과 회색으로 칠해요
    ( 여기 푸른색과 회색은 반 고흐가 즐겨 쓰던 색입니다.)
    Look out on a summer's day
    여름날 밖을 내다봐요
    With eyes that know the darkness in my soul. 
    내 영혼의 어둠을 아는 그런 눈으로
    Shadows on the hills 
    언덕 위의 그림자
    Sketch the trees and the daffodils 
    나무와 수선화를 그려요
    Catch the breeze and the winter chills 
    산들바람과 겨울의 냉기를
    In colors on the snowy linen land. 
    흰 화포에 유채색으로 담아요.
     'snowy linen land'는 직역하면 '눈처럼 흰 천의 땅'이라고 할 수 있을 텐데요. 그림을 그리는 캔바스, 즉 화포를 의미합니다.

    네델란드 화가 빈센트 반 고흐를 추모하는 노래 '빈센트', 1절 가사 해석해 봤습니다. 1절에서는 반 고흐의 여러 작품과 함께 화가가 그림을 그리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죠. 첫 구절의 'Starry, starry Night'은 대표작으로 꼽히는 '별이 빛나는 밤'을 의미하고요. 나무와 수선화, 산들바람과 겨울의 냉기 등의 가사는 고흐가 그린 풍경화를 떠올리게 하네요.
    (후렴)
    Now I understand 
    이제 나 이해해요
    What you tried to say to me 
    당신이 내게 무슨 말을 하려고 했는지
    How you suffered for your sanity 
    온전한 정신으로 살기 위해 당신이 얼마나 고통 받았는지
    How you tried to set them free. 
    자유롭게 해주려 얼마나 애썼는지.
    (반 고흐는 작품을 통해 사람들의 영혼을 자유롭게 하려 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반 고흐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하려 했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They would not listen, they did not know how 
    그들은 들으려 하지 않았고, 듣는 법도 몰랐죠
    Perhaps they'll listen now. 
    어쩌면 이제는 들을 지 모르겠네요

    후렴구에서는 반 고흐의 삶을 얘기하고 있죠. 반 고흐는 오랫동안 정신병에 시달렸는데요. 절친한 친구였던 유명 화가 고갱과 다툰 뒤 자신의 귀를 면도칼로 잘라내는 등 광기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당시 사람들은 반 고흐의 천재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정신 나간 사람으로만 취급했는데요. 단 맥클레인은 이 노래에서 사람들이 반 고흐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려 하지 않았고, 이해하는 법도 몰랐다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2절)
    Starry, starry night 
    별이 빛나는 밤
    Flaming flowers that brightly blaze 
    밝게 불타오르는 꽃들
    (이 구절은 반 고흐의 해바라기 그림을 떠올리게 합니다. 밝은 노랑과 주황의 강렬한 색채가 돋보이는 그림이죠.)
    Swirling clouds in violet haze 
    보랏빛으로 흐릿하게 소용돌이치는 구름
    (반 고흐의 대표작 '별이 빛나는 밤' 을 떠올리게 하는 구절입니다. 삼나무를 배경으로 청회색 하늘에 별무리가 반짝이고, 구름이 소용돌이치듯 그려져 있는 작품입니다.)
    Reflecting Vincent's eyes of China blue. 
    빈센트의 푸른 눈이 비치네요.
    (China blue는 푸른 색을 의미하는데요. 하늘색에 가까운 연한 색이죠.)
    Colors changing hue
    색조가 바뀌네요
    Morning fields of amber grain
    호박색 곡식들로 가득 찬 아침 들판
    Weathered faces lined in pain 
    고통으로 파인 시든 얼굴
    Are soothed beneath the artist's loving hand. 
    화가의 다정한 손이 달래주네요.

    2절에서도 역시 반 고흐의 작품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해바라기, 밀밭 등의 작품이 떠오르고요. 고통으로 파인 시든 얼굴은 제 생각에 반 고흐의 그림에 나오는 농민들의 얼굴을 의미하지 않나 싶은데요. 특히 '감자 먹는 사람들'이란 그림이 떠오릅니다. 하지만 자화상에 그려진 반 고흐의 얼굴을 의미한다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연결구)
    For they could not love you 
    사람들이 당신을 사랑할 수 없었지만
    But still your love was true 
    그래도 당신의 사랑은 진실했죠
    And when no hope was left in sight
    아무런 희망도 보이지 않을 때
    On that starry, starry night. 
    그 별이 빛나는 밤에.
    You took your life as lovers often do
    흔히 연인들이 그러듯 당신 스스로 목숨을 끊었죠
    But I could have told you, Vincent 
    하지만 빈센트, 내가 말해줄 수 있었을 텐데요
    This world was never meant for one as beautiful as you. 이 세상은 당신처럼 아름다운 사람이 살 곳이 못 됐다는 걸.
    사람들이 반 고흐를 이해하지 못했던 걸 의미하는 구절입니다.

    (3절)
    Starry, starry night 
    별이 빛나는 밤에
    Portraits hung in empty halls 
    빈 방에 초상화들이 걸려 있죠
    Frameless heads on nameless walls 
    이름 없는 벽에 액자도 없이 걸려 있네요
    With eyes that watch the world and can't forget. 
    세상을 바라보고 절대로 잊지 않는 눈으로 말이에요.
    (여기서 눈은 세상을 관찰한 반 고흐의 눈을 의미하겠죠.)
    Like the strangers that you've met 
    당신이 만난 낯선 사람들처럼
    The ragged men in ragged clothes 
    남루한 옷을 걸친 남루한 사람들
    (반 고흐 그림에 등장하는 가난한 사람들을 의미하겠죠.)
    The silver thorn of a bloody rose 
    핏빛 장미의 은색 가시가
    Lie crushed and broken on the virgin snow. 
    새로 내린 눈 위에 뭉개 부서져 있네요.

    (3절의 이 마지막 두 구절만큼 해석이 분분한 구절도 없을 겁니다. 반 고흐 작품 가운데 이 구절을 떠올리게 하는 그림은 제가 알기로는 없습니다. 가시관을 쓰고 십자가에 못 박혀 피 흘리는 예수를 떠올리게 한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요.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이해하지 못했던 것처럼 반 고흐도 이해하지 못했다는 의미란 것입니다.)

    (후렴)
    Now I think I know 
    이제 나 알 것 같아요
    What you tried to say to me 
    당신이 내게 무슨 말을 하려고 했는지
    How you suffered for your sanity 
    온전한 정신으로 살기 위해 당신이 얼마나 고통 받았는지
    How you tried to set them free. 
    자유롭게 해주려 얼마나 애썼는지.
    They would not listen they're not list'ning still 
    그들은 들으려 하지 않았고, 듣는 법도 몰랐죠
    Perhaps they never will. 
    아마 절대 들으려 하지 않을지도 몰라요.

    천재 화가 빈센트 반 고흐를 추모하는 노래 'Vincent' 끝까지 해석해 봤습니다. 이 노래는 단 맥클레인이 직접 작사, 작곡을 하고 불렀는데요. 1971년에 나온 곡인데, 당시 미국에서는 인기 순위 12위에 그쳤지만, 영국에서는 당당히 1위를 차지했습니다.
    팝스 잉글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