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9월 30일 화요일

“올림피아드 성적 대입 연계해야”…수학계 강력 촉구

세계 청소년들의 과학경시대회인 국제올림피아드 수상 실적을 대학입시에서 원천 배제하는 현 교육 정책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고개를 들고 있다.
서울세계수학자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계기로 세계적인 수학스타 배출에 대한 기대감이 한층 높아진 수학계의 문제의식이 특히 크다.
김명환 대한수학회장(서울대 수학과 교수)은 26일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성적이 대학입시에서 무시되면서 수학의 수월성 교육이 고사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며 “수학계의 의견 수렴을 거쳐 교육부에 정식으로 문제제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형주 서울수학자대회 조직위원장(포스텍 수학과 교수)도 지난 21일 대회를 마무리한 뒤 국가 수학 발전을 위해서는 대규모 수학연구센터 건립과 더불어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성적의 대입 연계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정부 측에 전달했다.
서울 대회에서 수학계의 노벨상이라는 ‘필즈상’을 받은 4명 가운데 3명이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출신으로 밝혀지면서 수학계가 인식하는 올림피아드의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국제올림피아드는 고등부에 수학·물리·화학·정보·생물·천문·지구과학 등 7개 분야가 있으며, 중등부는 중등과학 한 분야에서 대회가 치러진다.
교육부는 2010년 국제올림피아드 등 외부 수상 실적을 대입 평가요소 가운데 하나인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하지 못하도록 한 데 이어 올해 입시부터는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에도 해당 사항을 적을 수 없게 했다. 이를 위반하면 ‘서류전형 0점’ 처리라는 강력한 제재가 뒤따른다.
여기에 과학고·외국어고·국제고 입시에서도 올해부터 국제올림피아드 수상 실적을 자기소개서에 기재할 경우 해당 평가영역에서 최하등급을 주도록 바뀜에 따라 고등·중등부 모두 국제올림피아드의 매력이 크게 떨어진 상태다.
교육부의 이러한 방침은 올림피아드가 또 하나의 사교육 시장을 형성할 것이라는 우려에서 나왔지만 과학계에서는 ‘빈대 잡으려고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한국과학창의재단 관계자는 “외부 수상 실적의 학생부 기재가 금지된 2010년 국제올림피아드 지원자가 1년 전인 2009년 대비 20% 수준으로 급감한 뒤 좀처럼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부터는 올림피아드에 대한 입시 제한이 훨씬 더 엄격해짐에 따라 당장 내년 대회 지원자 수가 얼마나 더 감소할 지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국제올림피아드 성적이야 그해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등락이 있을 수 있지만 지원자 수 자체가 감소세를 보이는 것은 심각하게 받아들여야할 사안이라는 게 과학계의 인식이다.
동기부여가 되지 않다 보니 올림피아드에 참가한 학생들의 대회 몰입도가 떨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작년 1위를 휩쓴 국제화학·수학올림피아드 성적이 올해는 각각 8위, 7위로 크게 후퇴한 것도 이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는다.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한 미래창조과학부가 최근 공식·비공식 루트로 여러 차례 국제올림피아드의 대입 연계 검토를 교육부에 요청했지만 교육부는 아직 구체적으로 검토할 단계가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과학창의재단 관계자는 “교육부 내부에서는 올해 입시를 치른 뒤 학부모·교사·학생들의 의견과 내년도 올림피아드 지원자·성적 등을 모두 고려해 재검토 여부를 정하자는 분위기가 있는 것 같다”며 “당장 가시적인 움직임이 나오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ScienceTimes

원자력과 수학이 없었다면

우주 탄생의 신비를 담고 있는 원자력
문학과 예술에만 ‘아름답다’는 말을 쓰는 것일까?
대학을 다닐 때 물리학 시간에 아인슈타인의 E =mC^2 이라는 방정식을 처음 접하고 정말 멋지고 아름다운 방정식이라고 생각하고 동시에 자연의 오묘한 질서에 놀라워했던 생각이 지금도 생생하다.
그 후 20년이라는 세월이 흐른 후에야, 원자력을 만나 30여 년간의 연구생활을 하면서 원자력의 매력에 푹 빠져버렸다.
그 이유는 방정식에서 보듯이 에너지와 물질이 같으며 서로 변환할 수 있는 것으로 이것이 바로 137억년전에 초 고밀도의 에너지 슾(soup)이 빅뱅(Big Bang)에 의해서 우주 공간으로 확산과 냉각으로 수소와 헬륨 원소를 만든 우주탄생의 비밀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방정식 자체의 변수(variable)가 딱 하나로(질량 m) 너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가 빛의 속도의 자승(C^2)에 비례한다는 사실이 우리를 놀라게 한다.
그 이유는 어느 곳에서나 일정한 빛의 속도(C)는 자연과학에 가장 중요한 상수이고, 만일 빛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다면 우주는 엉망진창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우주의 신비를 풀 꿈도 꾸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주 탄생의 중심에 있는 이 방정식이야 말로 얼마나 아름답고 멋진 방정식인가? 바로 이 방정식이 원자력혁명을 가져 왔다.
특히 원자력은 자연이 수 십 억년 동안 만들어 땅속 깊은 곳에 저장해 두었던 화석에너지를 다 소모한 후 인류가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해 둔 ‘영원히 마르지 않는 유전’이 될 것이다.
우주탄생의 비밀을 가진 이 방정식을 이용해서 인류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니 이보다 매력적일 수 없다.
어느 날 MIT 물리자학 레빈 교수의 저서인 ‘나의 행복한 물리학강의’ 에서 힘이 주어지지 않으면 가속도가 생기지 않는다는 뉴톤의 제2법칙인 F = am을 강의하면서 “이는 노력하지 않으면 항상 제 자리에 머물 수밖에 없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또한 “뉴톤의 법칙이야 말로 고전 물리학에서 가장 아름다운 방정식”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비해서 E = mC^2은 생명체에 필요한 에너지의 근원이고, 우주탄생의 비밀을 담고 있으니 그 아름다움과 신비성은 말할 것도 없다.


에너지의 97% 이상을 해외에 의존하는 에너지 자원빈국인 우리나라는 천연자원이 아니고 우리의 두뇌자원을 이용해서 에너지 자립을 해야 한다. 그래서 원자력이 그 해답이다.
에너지의 97% 이상을 해외에 의존하는 에너지 자원빈국인 우리나라는 천연자원이 아니고 우리의 두뇌자원을 이용해서 에너지 자립을 해야 한다. 그래서 원자력이 그 해답이다.
ⓒ ScienceTimes
 원자력이란 무엇인가?
E = mC^2에서 보듯이 에너지의 크기가 우주에서 가장 빠른 빛의 속도의 자승에 비례한다는 사실은 정말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다. 이는 같은 무게의 화석 에너지 보다 에너지 밀도가 적어도 백만 배나 크다는 사실이다.
원자 안에 존재하는 전자(e)는 eV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고, 핵은 Mev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데, 화석에너지는 전자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이며, 원자력은 초고밀도 원자핵이 가지고 있는 강력에너지이다.
원자의 어느 곳에 이렇게 어마 어마하게 많은 에너지가 숨어있는 것일까? 우주 초기에는 빅뱅에 의해서 수소와 헬륨이 생성 되었으며 시간이 흐르면 거대한 별들 즉 초신성 생겨 폭발하면서 많은 원소들이 탄생했다고 한다.
지금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원소들의 대부분은 초신성의 폭발로 생겨났다고 해서 천문학자들은 우리를 ‘초신성의 후예’라고도 말한다. 우주 초기에 생긴 아주 작은 수소에서 커다란 우라늄까지 92가지의 안전한 원소가 자연에 존재한다.
원자력 수학
표에서 보듯이 원자의 평균 크기는 10^-8cm이고, 원자의 중앙에 있는 핵은 10^-12cm이다. 중요한 것은 원자핵은 원자의 만분의 일 밖에 안되는 반면, 원자무게의 99.98%를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원자는 사실 텅텅 비여 있는 것이다.
이는 커다란 야구장에 야구 공 하나 떠있는 것과 비슷하다, 놀라운 사실은 원자핵의 밀도가 우리가 무겁다고 생각하는 철(밀도 약 8)보다 백조(원자핵밀도 10^14g/cc) 배나 된다는 사실이다.
방정식의 의미는 만 일 초고밀도의 원자핵을 깨뜨리면 약간의 질량 손실이 함께 엄청나게 큰 원자력 에너지가 생산되는 것이다. 문제는 밀도가 겨우 8정도 밖에 안 되는 철도 깨기가 쉽지 않은데, 철보다 밀도가 백조 배나 큰 원자핵을 어떻게 깨뜨릴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상상력은 지식보다 더 중요하다. 지식은 제한되어 있지만 상상력은 우주를 품고도 남는다.
                                                                                                                                                                                - 아인슈타인
 왜 아인슈타인이 이런 말을 남겼을까? 그 우주를 품고도 남은 상상력은 무엇일까?
 수는 만물의 근원
상상력에는 우주의 중심에 있으며 만물의 근원이라는 ‘수’를 사용하는 지혜가 있다는 것이다.
바로 수학이라는 학문이다. 수학은 수와 형태의 조화를 감상하고 기하학적인 우아함을 음미할 줄 아는 상상력을 갖고 있다.
수학은 시간이나 공간적 제한을 받지 않는 자유성이 수학의 가장 큰 특징이다. 인간의 삶에 있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자유라면 수학은 인간으로 하여금 시간과 공간을 초월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중요한 무형의 학문이다.
그래서 혹자는 “수학은 가장 아름다운 학문이고, 수학을 지배하는 나라가 세계를 지배 한다” 했다. 유한한 인간이 무한한 개념을 받아들이는 것 역시 직관력이라 할 수 있는 상상력의 뿌리가 아니겠는가? 바로 무한의 개념이 현대 과학발전에 가장 큰 역할을 한 미분적분학을 탄생시켰다 할 수 있다.
인간은 수를 사용하는 지혜를 통해서 수학을 발달 시켰으며, 이를 통해 과학을 발달시키고 나아가 극미의 초고밀도의 원자핵을 깨뜨리는 방법을 알게 된 것이다. 원
자력은 초고밀도의 원자핵을 붙들고 있는 강력한 힘이 원자핵붕괴와 함께 에너지로 변하여 생성되는 것이다. 지금도 거대한 우주에는 핵분열과 핵융합이라 핵반응을 통해서 수많은 별들이 생성과 소멸을 반복 하면서 찬란한 우주 쇼를 연출하고 있다.
 우주에서 가장 안정한 원소는 철
그리고 핵분열과 핵융합이 계속되는 과정의 종착역에 가장 많이 남는 것은 ‘철’이다. 다시 말하면 우주에서 ‘철’이 핵적으로 가장 안정한 원소라는 것이다(철은 더 이상의 핵분열이나 핵융합이 되지 않는다).
더 놀라운 것은 우리의 생명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원소가 철이라는 사실이다. 우리의 몸에 약 0.004% 존재하면서 우리의 생명을 지키는 ‘철분’이 우주에서 가장 안정한 원소라는 사실이 우연일까? 아니면 하나의 우주의 신비일까?
만일 태양 같은 별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우주 어디에도 생명체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생명체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태양이고, 이는 핵융합이라는 원자력으로 모든 에너지의 뿌리이다.
태양은 지구로부터 1억5000만km 떨어져 있는데, 태양에서 생긴 에너지의 20억분의 1이 지구상에 도달한다. 만일 우리가 지구상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의 1만분의 1이라도 모을 수 있다면 에너지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최초에는 태양을 석탄이 연소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석탄이라고 가정하고 계산을 하니 그 수명이 단지 3000년에 불과했다. 그래서 태양은 수소가 헬륨으로 핵융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수소폭탄의 원리이다.
만일 지구 무게만큼의 석탄을 모두 태우면 태양의 6일분 에너지와 같으며, 지구에 존재했던 모든 석탄을 다 태우면 태양의 천분의 1초에 해당하는 에너지 밖에 안된다고 한다.
원자력은 후손을 위함이다
인간의 삶을 지탱하는 에너지 자립의 중요성은 우리 후손들의 넉넉한 삶의 질을 위해서가 첫째이고 두 번째는 국가안보차원이다.
에너지의 97% 이상을 해외에 의존하는 에너지 자원빈국인 우리나라는 천연자원이 아니고 우리의 두뇌자원을 이용해서 에너지 자립을 해야 한다. 그래서 원자력이 그 해답이다.
특히 원자력은 자연(혹은 신)이 극미의 원자핵에 엄청난 에너지를 숨겨두고, 동시에 인간에게 숫자를 이용(상상력)하는 지혜를 주어서 천연에너지 자원이 다 고갈 되어도 인류가 지구상에서 영원히 살아 갈수 있도록 준비한 청청에너지원이다.
  •  ScienceTimes

높은 수학 점수에 연연하지 말자

문제풀기 요령 대신 진짜 실력 키워야
스스로 수학자가 되겠다는 생각을 할 수 없었다. 대학에 가서도 물리학을 전공하면서 미래 직업에 대해 뚜렷한 행로를 갖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 대학 졸업이 가까워지면서 고급 기하학을 접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험이 그의 인생행로를 완전히 바꾸어놓았다.
황 교수는 이때 “기하학과 자신이 잘 맞는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기하학을 하면 매우 잘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이런 판단을 한 그는 얼마 후 하버드대학 대학원에 입학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별로 인기가 없었던 기하학을 전공한다.
그리고 지금 세계 최고 수학자들이 참가하는 ‘세계수학자대회(ICM)’의 핵심 참가자가 돼 있다. 이날 강연에서 황 교수는 어린 학생들에게 수학 점수에 연연하지 말기를 당부했다. 훌륭한 수학자가 되기 위해 특별히 높은 점수가 필요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황 교수는 “서울대 교수로 재직할 때 대학은 물론 대학원 수학 강의까지 모두 A+를 받은 학생이 있었다“고 말했다. ”나중에 미국의 좋은 대학에서 박사학위까지 받았지만 결국 좋은 연구 성과를 내지 못하고 탈락했다”고 말했다.
“그 친구는 수학점수를 잘 받는 요령은 알았지만 진짜 실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몰랐다”고 지적했다. 황 교수 스스로도 대학 시절 비슷한 경험을 했다. 위상수학의 점수가 매우 높아, 대학원 수강까지 했고, 그곳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러나 미국 유학 시절 박사 코스에 들어가기 위한 자격시험에서 위상수학 때문에 큰 위기를 맞았다. 이 과목이 가장 약해 더 배우고 오라는 주문이었다. 그런 경험을 한 후 점수에 대한 신뢰를 다 버렸다고 말했다.
황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 학교, 학원 등에서는 실제 수학 실력을 끌어올리기보다는 수학 점수를 높이기 위한 요령을 가르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시험성적만을 위한 공부는 아주 위험하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수학자들은 천재 아닌 달인
황 교수는 수학을 스포츠와 비교했다. 둘이 너무 비슷하다는 것이다. “운동선수가 되기 위해 기초 체력을 길러야 하듯이 좋은 수학자가 되려면 인수분해‧수열과 같은 기초적인 것들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수학의 기초체력을 기를 수 있는 방법으로 세 가지를 조언했다.
먼저 ▲자기 수준을 뛰어넘는 문제에 도전하고 ▲자신에게 있어 재미있는 공부 방법을 찾으며 ▲ 문제 푸는 요령보다 진짜 실력을 키울 수 있는 연습을 해나가기를 바랐다.
“높은 수학점수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턱걸이‧달리기를 가장 많이 한 선수가 뛰어난 수영‧피겨선수가 되는 것이 아니듯이, 인수분해‧수열 등을 잘 한다고 해서 좋은 수학자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주장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이 수학 어떤 분야에 맞는지 그것을 찾아내는 일“이라고 말했다. 수학 역시 스포츠처럼 종목이 수십 가지에 이르기 때문에 김연아 선수가 피겨스케이팅을, 장미란 선수가 역도를 하듯이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종목을 찾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행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수학자들과 학생들과의 소통을 위해 특별히 준비한 프로그램이다. 18일부터 21일까지 △필즈상으로 가는 길 △응용수학분야 소개 △수학분야 유망직업군 소개 등 3개 주제로 진행된다.
‘필즈상으로 가는 길’ 세션에서는 고등과학원 황준묵 교수에 이어 오는 20일 2010년 필즈상 수상자인 세드리크 빌라니(Cedric Villani) 교수 등이 강연할 계획이다. 주제는 수학을 공부하는 학생에서 직업 수학자로 성장하는 과정과 필즈상을 타기까지의 노력 등이다.
‘응용수학’ 세션에서는 미국수학회가 운영하는 ‘수학 모멘츠(Mathematical Moments)’ 프로그램을 통해 수학이 인류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공감하는 시간을 갖고,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수학원리응용센터와 연계해 수학과 산업의 융합 방안 등을 제시한다.
‘유망 직업군 소개’ 세션에서는 글로벌금융학회 부회장인 전인태 가톨릭대 교수가 수학 전공자가 진출할 수 있는 유망 분야 중 하나인 금융전문가의 역할과 비전에 대해 제시하고, 금융수학 분야 진로 멘토링을 진행한다.
실무를 주관하고 있는 한국과학창의재단 관계자는 “행사를 통해 과학영재들이 수학에 대해 흥미를 느끼고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ScienceTimes

지금은 고등수학 응용의 시대

헐리웃에 진출한 수학자 스탠리 오셔 교수

4년마다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이하 ICM)’에서는 수학 분야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Fields Medal) 외에 네반린나상(Rolf Nevanlinna Prize), 가우스상(Carl Friedrich Gauss Prize), 첸상(Chern Medal Award)을 수여하고 있다.
이중 가우스 상은 공학, 비즈니스, 실생활 등에 있어 큰 공헌을 한 수학 응용 분야 연구 성과를 표창하는 상이다. ‘2014 ICM’에서 가우스 상 수상자는 스탠리 오셔(Stanley Osher, 72) UCLA 교수다.
그는 영화를 통해 유명해졌다. 그가 개발한 ‘등위집합(Level Set)’ 방식을 통해 드림웍스, 픽사, 디즈니 등 대형 영화사 애니메이션들이 제작됐다.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에서 볼 수 있는 거대한 파도, ‘해리포터’ 영화에 등장하는 용(龍)의 불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수학 응용 분야 무궁무진하다”
오셔 교수는 “내가 개발한 알고리즘이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관심이 많았는데 영화 제작에 활용되고 있는 것을 보고 매우 기뻤다”고 말했다. 그는 또 새로운 초음속 제트기의 디자인을 컴퓨터로 모델링할 수 있는 수학적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2014 세계수학자대회'에서 가우스상을 수상한 스탠리 오셔(Stanley Osher, 72) UCLA 교수.  수학으로 영상의 움직임을 설명할 수 있는  ‘등위집합(Level Set)’ 방식을 개발했다.
’2014 세계수학자대회’에서 가우스상을 수상한 스탠리 오셔(Stanley Osher, 72) UCLA 교수. 수학으로 영상의 움직임을 설명할 수 있는 ‘등위집합(Level Set)’ 방식을 개발했다. ⓒ http://www.icm2014.org/
이 방법은 흥미롭게도 완전히 다른 분야인 흐린 영상을 보정하는 영상처리 문제에도 적용됐다. 얼마 후 오셔 교수는 로켓 과학자인 레니 루딘(Leonid Rudin)과 함께 영상 관련 기업인 코그니테크(Cognitech)란 벤처회사를 설립했다.
1992년 LA폭동 당시 경찰이 헬기로 찍은 흐릿한 사진에서 범인의 문신을 정밀 복원해, 범인 검거에 큰 공을 세운 바 있다. 오셔 교수는 지금 세계 전역에서 경찰들을 통해 이 기술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지금은 MRI(자기공명영상)를 더 빠르고 선명하게 스캔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는 중이다. 오셔 교수는 “조금 더 관심을 기울이면 수학을 응용할 수 있는 분야가 수없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된다”고 말했다. MRI 영상 분석, 컴퓨터 칩 설계 등 응용 분야가 무궁무진하다는 설명이다.
오셔 교수는 자신과 마찬가지로 “과거 수학자들이 순수 연구에 몰두해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상황이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기초 연구 성과를 활용한 응용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자신이 응용 수학을 접할 수 있었던 것에 대해 큰 행운이었다고 말했다. 동료 수학자인 레오니드 루딘(Reonid Rudin)과 미팅을 가졌는데, 그 자리에서 이미지 프로세싱을 처음 접했고, 그 자리에서 그것이 무엇인지도 모르면서 그 매력에 빠져들었다는 것.
그의 연구과정을 기름방울로 설명할 수 있다. 흐르는 물 위에 기름방울이 떠 있다고 하자. 기존에는 기름방울 근처에 줄로 연결된 부표를 설치해 이 기름방울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관찰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부표를 활용해 관찰 결과를 다시 기록하고, 다시 재현했다.
기름방울 분리‧결합 과정 수학으로 기술
그러나 기름방울이 반으로 나누어지거나, 두 개의 기름방울이 하나로 합쳐지는 경우도 있었다. 이럴 경우 부표가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했다. 도저히 세부적인 움직임을 설명할 수 없었다. 오셔와 세씨안은 이런 문제를 고민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완전히 새로운 방식을 제안한다. 기름방울 형태가 어떤 3차원 물체 수평 단면과 일치한다고 가정했다. 그리고 시간 변화에 따른 기름방울 움직임을 기술하기 위해 3차원 물체의 수평단면이 초기 기름방울 모양을 나타내도록 했다.
그리고 물리적 법칙을 3차원 물체 전체에 적용했다. 기름방울이 분리되면 3차원 물체는 두 개의 혹과 같은 모양이 되고, 두 방울이 합쳐지면 물체 속의 두 개의 ‘다리’가 하나로 합쳐지는 방식이다. 이렇게 탄생한 것이 ‘등위집합(Level Set)’ 방식이다.
오셔 교수는 원래 고등 수학자다. 그가 이미지 프로세싱을 보면서 수학 공식을 통해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고등 수학을 이용해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다.
그는 일생동안 수학의 아름다움(the beauty of math)을 사량해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수학의 아름다움을 실생활에 적용하는데 성공했으며, 이 일이 정말 즐겁다고 말했다. 때문에 그동한 사랑해왔던 수학을 더 사랑하게 됐다고 말했다.
18일로 개막 6일째를 맞는 ‘2014 세계수학자대회’는 고차원 학문이라는 높은 담을 허물고 대중과 세대의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응용 수학이 큰 주목을 받고 있는 분위기 속에서 오셔 교수 역시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다.

  •  ScienceTimes

“수학을 문화로 만들어야


수학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문화로 만들어 자기의 강점을 스스로 기를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잉그리드 도브시(벨기에) 국제수학연맹(IMU) 회장은 4일 수학 교육의 지향점에 대해 이같이 말하며 “모두가 창의적인 일을 하는 것에 즐거움을 느끼니 교육이 할 일은 하나의 길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의 강점을 찾아 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IMU 최초의 여성 회장인 도브시 회장은 13∼2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릴 세계수학자대회(ICM)에 참석하기 위해 2일 한국을 찾았다.
도브시 회장은 “훌륭한 한국 수학자들을 많이 안다”며 “한국 수학이 예전보다 많이 발전했고, 지금으로서는 한국 수학자들이 세계 정상으로 가는 데 별다른 장애물이 없는 듯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즐기면서 연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재능있는 아이들이 현장에서 즐겁게 수학 공부를 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 나머지는 걱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도브시 회장은 한국이 아시아에서 일본(1990년)·중국(2002년)·인도(2010년)에 이어 네번째로 이 대회를 개최하는 것이 “한국 수학이 크게 진보했다”는 의미를 갖는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번에 마련한 행사 중 아시아에서 최초로 열릴 수학·예술·과학의 융합 콘퍼런스인 ‘브리지스 서울 2014′가 가장 기대된다”며 “한국 수학사회가 이 행사를 기반으로 기금을 모아 개도국 수학 증진을 도우려 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고 긍정 평가했다.
도브시 회장은 남성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세계 수학계에서 여성 수학자들의 위상이 높아진 것을 대표하는 인물. 그는 “각 나라에서 여성 수학자들을 위해 제도를 마련하는 등 노력하고 있는 만큼 여성 수학자들이 늘어날 것”이라며 “여성 수학자들에 관한 글 등 자료를 모아놓은 웹사이트를 만들었으니 관심을 둬줬으면 한다”고 바랐다.
도브시 회장은 수학이 ‘혼자 하는 학문’이라는 꼬리표를 떼고 ‘협업하는 학문’으로 변해가고 있으며, 또 ‘젊은이들의 학문’이 아닌 다양한 연령층이 기여할 수 있는 학문이라고도 얘기한다.
그는 “수백년 전에도 수학자들은 서로 교류해왔고 최근에는 인터넷의 발달로 발견의 공유 및 협업 연구가 더 활발해졌다”며 “수학은 매우 협조적인 학문이고 어린 수학자들은 함께 모여 연구하는 예도 종종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번 필즈상 수상자도 이런 식의 협업을 많이 한 수학자 중 한명”이라고 귀띔했다.
그는 이러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한꺼번에 설명할 수 있는 예로 수학 최대 난제 중 하나인 ‘쌍둥이 소수’ 문제 해결의 돌파구를 찾은 장이탕(중국) 교수를 얘기했다.
중국계 미국인 수학자인 장 교수는 50대 후반의 나이에 ‘차이가 7천만 이하인 소수들이 무한히 많다’는 것을 증명해냈다. 장 교수의 증명법은 많은 수학자에게 영감을 줬고, ‘폴리 매스’라는 블로그에서 다른 수학자들의 아이디어가 모인 끝에 현재 그 차이가 수백으로 낮춰졌다.
도브시 회장은 “폴리 매스는 문제를 혼자 푸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사람이 아이디어를 내 문제를 해결하는 집단 지성이 수학에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높게 평가했다.
그러면서 “수학은 소수의 천재 덕분에 진보한 것이 아니라 여러 평범한 사람들이 다양한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한 노력의 결과로 발전한 것”이라며 “수학을 위해 노력한 모든 사람의 가치를 알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도브시 회장은 올해 말 4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다시 연구 현장으로 돌아간다.
그는 “다른 이들과 함께 일하고 함께 해결책을 찾는 것은 언제나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든다”며 “그것이 수학이 추구하는바”라고 얘기했다.
  •  ScienceTimes

수학과 뉴스 요약 시스템

바야흐로 수학의 시대이다. 수없이 다양한 분야에서 수학의 맹위는 식지 않고 있다. 매일 우리는 스마트 폰으로 수많은 정보를 읽고 검색한다. 수없이 쏟아져 나오는 방대한 양의 뉴스를 매시간 확인하면서 정보에 뒤쳐지지 않게 우리는 너무나 많은 시간을 낭비하는 것 같다. 이러한 정보를 조금은 간단하게 요약해서 볼 수 없을까? 우리가 매일 보는 뉴스를 한 번 분석해 보자.
뉴스의 구조
뉴스는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을까? 뉴스는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다. 텍스트는 인간의 언어를 문자화한 것으로, 무작위적인 입력에 의해 구성된 내용이 아니다. 이것은 형태소들을 나열한 것으로,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언어가 가진 문장 구성 법칙을 따라 구성한 문장이다. 따라서 뉴스의 구조를 분석하는 것은 이러한 형태소들의 나열에서 어떤 특징을 추출해 내는 것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형태소에는 명사, 보조사 등의 여러 종류가 있고, 이 중 우리가 직접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형태소는 명사이다. 이 명사를 통해 뉴스의 구조를 알아보자.
네트워크 이론
구조를 보는 방법 중 하나는 네트워크 이론을 사용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는 점들을 선으로 연결한 간단한 형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울산에 전봇대가 어떻게 세워져 있는지 그 구조를 알고 싶다고 하자. 전봇대의 위치를 점으로 생각하고 전깃줄을 선으로 생각하여 도식화한다면 쉽게 그 구조를 알 수 있다. 이렇게 어떤 사물을 단순히 점과 선으로 구성하여 보는 것을 네트워크 또는 그래프라고 한다. 네트워크를 분석하기 위해 그 동안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물리학, 생물학, 사회 과학 등에서 중요한 분석도구로 큰 힘을 발휘하고 있다.
울산의 전봇대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자. 전봇대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만들었다면 이것으로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네트워크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점들과 점들이 보다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면 이는 다른 부분보다 전기를 많이 쓰는 부분임을 알 수 있다.
즉, 인구가 많다거나 산업체가 집중된 지역임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에서 선의 연결 개수에 따라 각 점의 중요도가 관계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각 점에서 이어진 선의 개수를 이용하여 점의 중요도를 측정하는 것을 도수 중심성(Degree Centrality)이라 부른다. 도수 중심성이 높을수록 중요한 점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여기서 자연스럽게 떠올려 볼 수 있는 질문은 선의 개수에 대한 것이다. 선이 적게 연결되어 있으면 정말 중요성이 떨어질까?
매개 중심성 (Betweenness Centrality)
1996년 여름, 미국 서부 지역 11개 주에 정전이 발생했다. 전력망 전체에서 하나의 노드가 고장 나자 처리되지 못한 과잉전류가 연쇄적으로 송전선과 발전기에 전달되어 전체 시스템을 마비시켜 버린 것이다.
선의 개수가 작은 점이라도 그 점이 가진 영향력이 네트워크 전체에 영향을 준다면 그 중요성을 선의 개수가 아닌 다른 관점에서도 바라봐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그림 1과 같은 네트워크를 생각해 보자.
그림 1. 네트워크 ⓒ 장봉수
그림 1. 네트워크 ⓒ 장봉수
 그림 1에서 가운데 빨간 점은 연결된 선의 개수는 두 개 뿐이지만 왼쪽 부분의 점들과 오른쪽 부분의 점들을 연결하는 통로로 작용한다. 이 점이 사라지면 양 쪽을 연결하는 유일한 선이 사라지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우리는 그 중요성을 측정해 볼 수 있다.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모든 최단 경로에 대해 각 점이 얼마나 많이 그 경로에 속하는지를 나타낸다. 연결된 선의 개수가 적더라도 이 점이 최단 경로에 많이 속하는 만큼 계산되는 값은 커진다.
그럼 매개 중심성 값이 큰 점은 어떤 역할을 할까? 이런 점은 어떤 정보의 교류를 막을 수도 있고, 정보를 다양한 경로로 퍼뜨릴 수도 있다. 이것을 수학식으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수학뉴스 수식 1여기서 ①는 점 i가 갖는 매개중심성이고, ②는 점 s에서 점 t로 가는 가장 짧은 경로에 점 i가 놓여 있으면 1의 값을 가지고 그렇지 않으면 0을 갖는 변수이다.
뉴스수학 수식 3
이 식에 따라 값을 계산하고, 매개 중심성이 높을수록 붉게 색칠하면 그림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2. 매개 중심성으로 색칠한 네트워크  ⓒ 장봉수
그림 2. 매개 중심성으로 색칠한 네트워크 ⓒ 장봉수
이와 같이 어떤 중심성 계산을 통해 우리는 각 점이 갖는 중요성을 계산하고, 특히 매개 중심성을 통해 구조의 특성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이번에는 각 점이 아닌 네트워크 전체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구조를 살펴보자.
작은 세상 효과와 척도 없는 네트워크
뉴스 본문에서 명사를 점으로 정의하고, 한 문장 안에 나타나는 명사들을 선으로 연결하자. 이것을 한 문장에서 나타나는 단어의 동시 출현성(co-occurrence)이라고 부른다.
이렇게 구성된 네트워크는 크게 두 가지 특성을 가진다. 첫 번째는 작은 세상(small world) 효과이다. 작은 세상은 두 단어 사이의 최단 경로를 모두 구하여 그것을 평균한 값이 매우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는 척도 없는(Scale free) 도수의 분포이다. 2차원 평면에서 x축을 도수 k로 두고, y축을 도수 k를 갖는 노드의 확률 P(k)라 두었을 때, 그 분포가 다음과 같은 식을 따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수학뉴스 수식 2여기서 ③이 2와 3 사이의 값을 가지면 우리는 이 네트워크가 척도 없는 네트워크라고 부른다. 기존 연구된 문헌에 따라 뉴스의 단어 네트워크 역시 이 두 가지 특성을 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우리는 다음의 두 가지 사실을 알 수 있다.
수학뉴스 수식 4
1. 단어들이 높은 확률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2. 도수가 높은 단어가 매우 적게 존재한다.
뉴스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서 명사를 점으로 생각하고 문장 안에 있으면 선으로 연결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구조적인 성질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뉴스를 요약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성질 및 중심도의 활용뿐만 아니라 수학의 다양한 분야(선형 대수학, 퍼지 이론, 확률론 등)을 활용한 연구도 필수적이다. 또한 무엇보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국어가 가지는 여러 가지 특징(문장, 형태소등)의 적용이 매우 중요하다.
  •  ScienceTimes

마술속의 수학원리


교육마술이란?최근 들어 마술의 추세는 관람자로 마술사를 바라보는 수동적인 입장 뿐 아니라 직접 참여하고 내가 연출해보는 능동적인 입장으로 바뀌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이제 마술은 남녀노소 누구나가 좋아하고,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청소년들은 그 어떤 대상들보다도 마술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 이런 관심도를 교육으로 연결하면 집중력 향상과 발표력, 리더십 증진 등의 교육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처럼 수학, 과학의 원리를 이용한 마술, 어떠한 용어나 내용 등을 쉽게 암기할 수 있는 창의적인 기법까지를 연구해서 각 과목과 연결시킬 수 있는 마술 기법으로 하나씩 정리하는 것이 바로 교육마술이다. 이에 교육마술은 학생들이 신나게 마술을 따라하는 그 자체만으로도 교육효과가 상당히 높다.
마술 같은 수학, 수학 같은 마술이러한 교육마술 중에는 수학의 원리를 이용한 것들이 많다. 많은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수학의 원리를 마술로 포장해서 보여주면, 우선 신기한 마술효과에 집중을 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그 안에 숨어있는 수학의 원리에도 관심을 갖게 된다.
복잡한 계산을 빨리한다거나, 문제를 안보고도 답을 맞히는 식으로 학생들이 볼 때는 마술처럼 신기하지만, 그 안에 숨어 있는 원리를 찾게 되면 누구나 따라할 수 있고, 다른 사람에게 자랑하고 싶고, 또한 응용해서 나만의 방식을 찾고 싶은 욕구까지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수학마술이다.
예를 들어 상대방의 나이나 몸무게, 생일 등을 쉽게 알아내는 마술이나 달력의 요일을 알아맞히는 마술, 사칙연산을 빨리해서 암산왕처럼 보이게 하는 마술 등은 신기해 보이지만 그 안에 수학의 원리가 절묘하게 숨어 있는 것이다.
숫자카드 마술 1일반적으로 수학마술 하면 제일 많이 알려진 것이 아래의 2진법 카드다.
1부터 31까지의 숫자가 5장의 카드 안에 어지럽게 적혀있는 것 같지만 나름대로의 규칙을 가지고 있어서 그 규칙만 알면 누구나 상대방이 마음속으로 생각한 숫자를 알아맞힐 수 있는 재미있는 숫자카드 마술이다.
1부터 31까지의 숫자가 5장의 카드 안에 어지럽게 적혀있는 것 같지만 나름대로의 규칙을 가지고 있어서 그 규칙만 알면 누구나 상대방이 마음속으로 생각한 숫자를 알아맞힐 수 있다. ⓒ박근영
1부터 31까지의 숫자가 5장의 카드 안에 어지럽게 적혀있는 것 같지만 나름대로의 규칙을 가지고 있어서 그 규칙만 알면 누구나 상대방이 마음속으로 생각한 숫자를 알아맞힐 수 있다. ⓒ박근영
∘배워봅시다1) 상대방에게 1부터 31까지 숫자 중에서 아무 숫자나 하나만 속으로 생각하게 한다.
2) 아래의 다섯 장의 카드를 한 장씩 보여주면서 생각한 숫자가 그 숫자판에 있는지를 물어본다.
3) 상대방이 생각한 숫자가 있는 숫자판을 따로 모은다.
4) 그 숫자판의 맨 위 왼쪽 첫번째 있는 숫자의 합이 바로 상대가 생각한 숫자가 된다.

숫자카드 마술 2이번엔 숫자카드를 이용한 뺄셈 마술이다. 역시 기본이 되는 숫자를 미리 적어두고, 뺄셈의 원리를 적용하면 상대방이 생각한 숫자를 알아낼 수 있다.
기본이 되는 숫자를 미리 적어두고, 뺄셈의 원리를 적용해서 상대방이 생각한 숫자를 알아낼 수 있다. ⓒ박근영
기본이 되는 숫자를 미리 적어두고, 뺄셈의 원리를 적용해서 상대방이 생각한 숫자를 알아낼 수 있다. ⓒ박근영
 ∘배워봅시다1) 상대방에게 1부터 32까지 숫자 중에서 아무 숫자나 하나만 속으로 생각하게 한다.
2) 아래의 여섯 장의 카드를 순서대로 한 장씩 보여주면서 생각한 숫자가 그 숫자판에 있는지를 물어본다.
3) 상대방이 생각한 숫자가 있다고 한 숫자판을 기억한다.
4) 그 숫자판에 숨어있는 숫자는 첫 번째 카드부터 32, 16, 8, 4, 2, 1이 되고, 상대방이 생각한 숫자가 있다고 한 숫자판에 숨어 있는 숫자들의 차를 구하면 된다.
  •  ScienceTime

돈을 벌려면 수학을 해라


수학자, 최고의 직업으로 등장
기초과학은 돈도 못 벌며, 그렇다고 없앨 수도 없는 하나의 골동품과 같은 과학이다”
기초과학자들 사이에서 때론 이와 같은 볼멘소리를 들을 때가 종종 있다.
우선은 R&D 비용을 포함해 기초과학에 대한 지원이나 투자가 부족하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응용과학과 달리 산업체와 공동연구 기회가 적다는 뜻이다.
물론 모든 국가가 기초과학자에 대한 지원이 인색한 것만은 아니다. 과학 강국치고 기초과학이 홀대 받는 경우는 거의 없다. ‘돈 못 버는 과학’이라는 이야기도 상대적이다.
다만 대중적 관심이라는 차원에서 볼 때 현실과 다소 동떨어진 것은 사실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와는 상당히 달리 기초과학에 대한 지원도 많아졌으며 응용수학, 응용물리학 등 적극적인 과학으로 변하고 있는 사례도 많아졌다.
기초과학이 돈을 못번다는 이야기는 아득한 옛날 이야기다. 2014년 최고 직업은 수학자로 나타났다. 수익면에서는 물론 작업환경 등 최고 수준이다.  고용시장에서 숫자와 데이터를 읽을 줄 아는 능력이 크게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은 수학교수 출신으로 2008년 최대 수익을 올린 헤지 펀드 매니저 제임스 사이먼스. ⓒ hedgethink.com
기초과학이 돈을 못번다는 이야기는 아득한 옛날 이야기다. 2014년 최고 직업은 수학자로 나타났다. 수익면에서는 물론 작업환경 등 최고 수준이다. 고용시장에서 숫자와 데이터를 읽을 줄 아는 능력이 크게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은 수학교수 출신으로 2008년 최대 수익을 올린 헤지 펀드 매니저 제임스 사이먼스. ⓒ hedgethink.com
수학자, 2008년 미국서 최고 수익 기록 
2008년도에 미국에서 가장 많은 돈을 번 사람은 전직 수학교수로 헤지펀드 투자회사인 르네상스 테크놀로지(Renaissance Technologies)의 제임스 사이먼스(James Harris Simons) 대표였다.
수학자이자 헤지 펀드 매니저이기도 한 그는 중국 출신의 미국 수학자 천싱선과 함께 미분기하학과 이론물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천-사이먼스 형식을 발견할 정도로 수학에 조예가 깊었다. 현재 자산이 약 107억 달러에 이르며, 약 150억 달러의 헤지 펀드를 관리하고 있다.
당시 이 신문은 소득조사 전문업체인 알파 서베이(Alpha Survey) 자료를 인용해 사이먼스 대표가 총 25억 달러(약 2조9000억원)의 수입을 올렸다고 전했다. 놀라운 것은 그가 경제나 경영학을 공부한 사람이 아니라 수학자 출신이라는 점이다. 사이먼스 대표는 원래 하버드대 수학교수였다. 그러나 교수직을 그만두고 금융계에 뛰어들어 경이적인 실적을 올렸다.
물론 수학자 출신의 교수가 훌륭한 기업가가 되지 못한다는 법은 없다. 그러나 흥미로운 사실은 사이먼스 대표의 비결이 일반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새로운 경영기법이나 신상품 개발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수학이 있는 곳에 돈이 있다”
그가 이처럼 큰 돈을 벌어 돈방석에 앉을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전공인 수학을 이용해 복잡한 금융 메커니즘을 정확히 예측해 투자했기 때문이다. 그의 일과는 수학에서 시작해서 수학으로 끝난다. 그는 돈을 벌 수 있는 비결은 바로 수학적 계산에서 나온다고 굳게 믿었다. 그리고 그 결실을 만끽했다. “수학이 있는 곳에 돈이 있다”는 것이 그의 종교에 가까운 신념이다.
은행을 비롯한 금융업계에서 퀀트(quants)라는 말은 그리 낯설은 단어가 아니다. 퀀트는 ‘수량으로 잴 수 있는’ 뜻을 가진 영어 단어 quantitative와 분석가를 의미하는 analyst에서 나온 말로 금융업계에서도 아주 중요한 직종이다.
따라서 수학 전공자들이 두각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대표적인 분야다. 수학, 또는 수학이론을 통해 시장을 읽고 금융상품을 만들며 가격을 결정하고, 또 투자를 결정하기 때문에 수학자들이 선호된다.
응용수학 전공자에 대한 기업체 수요 증가
우리나라에서 수학 전공자에 대한 인식은 썩 좋은 편이 아니다. 수학 전공자들은 주로 교사의 길을 걷거나 학원 강사로 나서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최근 수학 전공자들이 금융권에 많이 진출하고 있다. 요즘에는 통계학은 물론 금융수학, 보험수학 등 새로운 분야가 생기면서 기업체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고 수학을 전공하려는 학생들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수학은 순수과학으로 모든 과학의 기초가 되는 학문이다. 우리의 경우 순수과학에 너무나 치우쳐 있다는 지적이 많다. 그러나 응용수학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소극적이었던 수학이 적극적인 수학으로 변할 것으로 보인다.
전 세계적으로 수학자에 대한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  고용시장에서 숫자와 데이터를 읽을 줄 아는 능력이 크게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우도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
“2014년 최고의 직업은 수학자”
WSJ는 취업정보사이트 커리어캐스트닷컴의 보고서를 인용, 2014년 최고의 직업으로 수학자를 꼽았다. 수학자뿐 아니라 통계학자(3위), 보험계리사(4위), 컴퓨터시스템 분석가(8위) 등 데이터 전문가가 모두 선전했다.
수학자 소득의 중간 값(평균치의 개념)은 10만1360달러로 수학 분야는 향후 8년 내에 2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른 고소득 직종으로는 9만3000달러 정도로 보험계리사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등이 있다. 2014년 최고의 직업 순위는 200개 직업을 작업환경(경쟁력 등), 연봉, 전망, 스트레스 요인(출장, 마감 시한 등) 네 개의 카테고리에 따라 점수를 매겨 작성했다.
최악의 직업을 다투는 두 가지는 저널리스트와 벌목꾼이다. 이들은 신기술에 밀린 것으로 보인다. 특히 벌목꾼은 소득 중간 값이 2만4340달러에 불과해 연봉 면에서 저널리스트보다 못했다.
  •  ScienceTimes

수학 성적, 공부 시간에 비례하지 않아

OECD 평균보다 3시간 이상 투자해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적은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학생들보다 수학 성적이 높은 혹은 비슷한 나라를 비교할 때 수학 교육에 투자하는 시간은 지나치게 길다. 즉 수학교육이 비효율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청소년정책연구원이 발간하는 ‘한국청소년연구’를 통해 발표된 장상수 순천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는 한국 학생들의 수학 성적에 대한 내용을 자신의 논문 ‘가족배경과 학습시간, 성적-국제비교의 관점에서 본 한국’을 통해 발표하였다. (원문링크)
장상수 교수는 2003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수집한 ‘국제학생평가’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점수는 542.2점으로 핀란드에 이어 2위로 나타났다.
수학을 잘하고 싶어하는 것은 모든 학생들의 꿈이다. 한국 학생들은 비교적 수학 성적이 높은 편에 속하지만, 학습 방법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수학에 대한 재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 ScienceTimes
수학을 잘하고 싶어하는 것은 모든 학생들의 꿈이다. 한국 학생들은 비교적 수학 성적이 높은 편에 속하지만, 학습 방법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수학에 대한 재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 ScienceTimes
문제는 한국 학생들이 수학에 들이는 시간이 핀란드 학생들의 배 이상이라는 것이다. 핀란드 학생들은 일주일에 4.5시간 동안 수학 공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 학생들은 10.4시간동안 공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핀란드 학생들 보다 약 두 배 이상 공부하는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 학생들은 수학 성적이 3위인 네덜란드(4.9시간)와 4위인 일본(4.9시간)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을 공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평균이었던 7.6시간보다 약 3시간 이상 더 많은 공부를 하는 것이다.
이번 논문을 통해 선진국에서는 학습시간이 짧을수록 성적이 좋은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독일과 영국, 덴마크 등은 학교 수업시간이 길수록 성적이 낮게 나타났으며, 오스트리아와 프랑스에서는 공부하는 시간과 성적이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다면 한국 학생들이 다른 나라 학생들보다 더 많이 수학공부를 하지만, 큰 차이는 없다는 것을 뜻한다. 이는 수학 공부를 하는 방법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짧은 시간동안 효율적인 수학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모두가 고민해 봐야 할 때이다.
유달리 수학과목이 두려운 이유
한국 학생들이 수학과목을 더 많이 공부하는 데에는 수학과목에 대한 ‘두려움’도 있기 때문이다. 다른 과목보다 유달리 수학과목을 어렵게 느끼는 이유는 무엇일까. 최근 이 두려움의 원인이 바로 ‘유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스티븐 페트릴(Stephen A. Petrill)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The Ohio State University) 심리학과 교수와 연구팀은 학술지 ‘아동심리학과 정신 의학’(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을 통해 지역 내 프로젝트에 참여한 쌍둥이 514쌍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원문링크)
연구팀은 오하이오 지역 내에서 진행되는 읽기·쓰기·수리 프로젝트에 참여 중인 9세~15세 사이 일란성 쌍둥이 216쌍, 이란성 쌍둥이 298쌍을 대상으로 수학에 대한 두려움 여부를 심층 인터뷰 하고, 일란성 쌍둥이와 이란성 쌍둥이 사이에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후 연구팀은 무작위로 선별된 쌍둥이 8쌍의 집을 직접 방문해서 가정환경과의 연관성도 연구에 반영하였다. 이 과정에서 쌍둥이들에 대한 심리 변화를 뇌파 측정을 통해 관찰했고, 수학문제를 풀 때의 미세한 변화까지도 모두 기록했다.
그 결과, 수학 공포증을 앓는 요인 중 40퍼센트(%)가 선천적 유전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학교와 가정의 환경이 차지하는 비중도 상당했지만, 유전적 요인이 있을 경우 증세가 더욱 심하게 나타난 것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혹시 어떤 학생이 수학을 특히 어려워 한다면, 선천적인 원인을 감안하고 부드럽게 교육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학을 잘하면 어학엔 약하다?
수학과 관련된 재미있는 속설도 있다. 수학을 잘하는 사람이 어학에는 약한 반면, 어학 등 문과 계통의 과목에 뛰어난 학생들이 수학에 약하다는 이야기이다. 서로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발휘되는 능력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알려진 속설이다.
하지만 영국 옥스퍼드대학교(University of Oxford)와 킹스칼리지런던(King’s College London) 공동연구팀은 어학 능력과 수학적 역량 사이에 유전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 있다고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Journal Nature Communications)를 통해 발표하였다. (원문링크)
연구팀은 쌍둥이 초기발달 연구(The Twins Early Development Study: TEDS)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자료에는 2800가족의 일원인 12살 아이들을 대상으로 수학과 읽기 능력에 대한 유전학적 영향을 연구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었다. 혈연관계가 없는 아이들과 쌍둥이들을 대상으로 영국 공립학교 교육과정에 기초한 읽기 이해력과 유창성, 수학적 기량 등을 평가한 결과이다.
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어학 능력이 연관이 있는 유전적 변형과 수학능력과 관련이 있는 유전적 변형에 공통되는 부분이 발견되었다. 연구팀은 수천 명의 쌍둥이들의 유전적 유사성과 이들의 DNA에서 발견된 수백만 개의 변형을 분석하였고, 그 과정에서 일부 DNA 변형이 읽기와 수학 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물론 수학과 읽기 능력은 유전자 뿐만 아니라 배우고 경험하는 여러 활동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유전자와 교육의 복합적 상호작용에 의해서 아이들의 능력이 결정되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인간의 생물학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활용하는 분석틀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ScienceTimes

축구 골의 비밀이 숨어있는 ‘수학’


4년마다 열리는 월드컵 축구 경기는 거대한 이야기 그 자체이다. 사람들은 축구 경기를 보며 열광하고, 분노하고, 울고, 웃는다.
발로 공을 차 어느 팀이 골을 더 많이 넣는가를 겨루는, 어찌 보면 단순한 경기에 불과해 보이건만 어떤 사람들에게는 수많은 전술을 논할 수 있는 복잡하고도 정교한 경기이다.
어떤 이들에게는 스스로 12번째 선수를 자처하며 선수들과 같은 유니폼을 입고 응원을 할 수 있는 축제이기도 하다.
그런가하면 또 누군가에게는 승리를 예측하고 베팅을 하는 도박이기도 하다.
어찌 되었든 축구는 골로 승패가 가려진다. 손만 아니라면 몸 어디로라도 공을 맞추어 골문 안으로 공을 넣으면 골이 된다. 심지어 상대방이 넣어주어도 된다. 그래서 골을 더 많이 넣은 팀이 승자가 된다.
축구 경기에서의 골이란
그렇다면 어떤 경우가 골로 인정될까? 축구공이 골라인에 닿기만 해도 골로 인정될까? 아니면 골라인을 완전히 통과해야 될까?
축구공의 지름은 대략 22cm, 골라인의 폭은 대략 12cm 정도이다 보니 당연히 논란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FIFA는 ‘골이 골라인을 완전히 넘어가는 경우’를 골로 정의하고 있다.
FIFA는 ‘골이 골라인을 완전히 넘어가는 경우’를 골로 정의하고 있다. ⓒ ScienceTimes
FIFA는 ‘골이 골라인을 완전히 넘어가는 경우’를 골로 정의하고 있다. ⓒ ScienceTimes
완전히 골라인을 넘어간다는 의미를 그림으로 살펴보면 A, B의 경우에는 골로 인정되지 않으며, C에 해당하는 순간부터 골로 인정된다는 의미이다. 수학적으로 말하면 축구 골대 안쪽에서 공이 골라인에 접하는 순간부터 골로 인정한다는 뜻이 된다.
골의 정의만 보면 골을 판정하는 것이 쉬운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실제 경기에서 골인지 아닌지 논란이 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골대를 맞고 골대 안으로 들어갔다가 다시 경기장 쪽으로 튀어나오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런 일은 순식간에 벌어지기 때문에 골이 완전히 골라인을 통과했는지 아닌지를 심판이 정확하게 보고 판단하기 어렵다. 때문에 경기 후에도 두고두고 논란이 되기도 한다.
 골대를 맞추어도 골이 될 수 있다.
골대의 규격은 7.32m(양쪽 골대 사이)×2.44m(높이)정도이다. 사실 경기장에는 골대 말고는 특별한 설치물이 없으므로 공으로 골대를 맞추기 쉽지 않을 것 같다. 하지만 실제 경기 중에는 심심치 않게 일어난다. 골대를 맞추는 팀이 경기에 진다는 속설이 있을 정도이다.
골대를 맞추어도 골이 될 수 있을까? 간단히 생각하기 위해 골대의 단면을 놓고 생각해보자.
물론 공은 회전하지 않고,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으며, 직선으로 공이 날아간다고 가정하자.
ENL 사이(점 E는 제외)를 맞추게 되면 골은 지면을 다시 맞추든 그렇지 않든 골이 된다. ⓒ ScienceTimes
ENL 사이(점 E는 제외)를 맞추게 되면 골은 지면을 다시 맞추든 그렇지 않든 골이 된다. ⓒ ScienceTimes
그림과 같이 한 점 M에서 공을 찰 때 접선과 접선 사이로 공을 차면 골대를 맞출 수 있게 된다.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골이 될지 생각해보자.
그림에서 호 ENL 사이(점 E는 제외)를 맞추게 되면 골은 지면을 다시 맞추든 그렇지 않든 골이 되지만 그 이외의 곳을 맞추게 되면 골이 되지 않는다. 이 때 점 E는 각 MEI가 각 EAN의 2배가 되는 지점이다.
실제 경기에서는 더 복잡한 상황이 벌어진다.
공이 회전하기 때문인데, 선수가 찬 공이 골대 혹은 땅에 맞은 후에 회전 방향 또는 속도가 바뀌는 경우가 생긴다. 골대를 맞은 공이 땅에 맞아 역회전을 하면서 경기장 쪽으로 튀어나오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공의 회전 방향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따라 의외의 상황이 생기는 것이다.
1966년 영국과 독일 (당시 서독)이 맞붙은 월드컵 결승전에서 영국의 제프 허스트(Geoff Hurst) 선수가 넣은 2번째 골이 그 예이다.
그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한 Geoff Hurst가 찬 공이 골대 상단을 맞고 땅에 한 번 튀긴 후 경기장 쪽으로 다시 튀어나온 일이 있었다.
당시 주심은 이것을 골로 선언했다. 공교롭게 2010년 월드컵 16강전에서 만난 영국과 독일의 경기에서 이와 비슷한 경우가 생기게 된다. 영국이 1-2로 뒤지고 있는 상황에서 영국의 프랭크 램파드(Frank Lampard) 선수가 찬 공이 골대 상단을 맞고 골라인 안쪽에 맞고 튀어 올랐는데, 그 볼을 골키퍼가 잡아 차냈다. 이 경기의 주심은 이것을 골로 인정하지 않았다.
 역회전 하면서 튀어나오는 공
왜 이와 같은 일이 생기는 걸까? 그건 바로 공이 골대와 땅에 닿으면서 역회전하기 때문이다.
그림과 같이 공이 골대를 맞으면서 역회전하고 다시 그 공이 땅에 닿아 역회전하는 경우, 이 역회전의 속도가 골의 수평속도보다 충분히 크고, 공이 골라인 근처에 닿은 경우에 공이 골대 쪽으로 들어가지 않고 다시 경기장 쪽으로 튕겨 나오게 되는 일이 발생한다.
역회전하는 속도가 너무 적으면 공이 가던 방향대로 진행하게 되고, 골라인에서 너무 먼 지점에서 공이 땅에 닿으면 거꾸로 튀어 나오더라도 다시 골대에 맞고 안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공의 역회전 속도와 땅에 닿는 지점에 따라 골이 될 수도 안 될 수도 있는 셈이다.
의 역회전 속도와 땅에 닿는 지점에 따라 골이 될 수도 안 될 수도 있다. ⓒ ScienceTimes
의 역회전 속도와 땅에 닿는 지점에 따라 골이 될 수도 안 될 수도 있다. ⓒ ScienceTimes
한 실험에 의하면 공이 골대를 맞는 순간 얻게 되는 회전이 매우 중요한데, 이 회전이 정도에 따라 공이 다시 경기장 쪽으로 튀어나올 수 있는 영역은 골라인 뒤쪽 대략 35cm 정도로 골 지름 22cm보다 그리 크지 않았다고 한다.
공은 둥글고 회전한다. 선수가 찬 공이 골대를 맞고 역회전하면서 골라인 근처에 떨어지게 되면 공이 어느 정도로 역회전하느냐에 따라 골대 안으로 들어갈 수도, 경기장 쪽으로 튀어나올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요즘은 여러 대의 카메라로 경기를 중계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순간을 포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환경에서 골에 대한 판정을 두고 벌어지는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올해 2014년 브라질 월드컵부터 비디오 판독으로 골을 판정하게 되었다.
여러 대의 카메라도 골을 판정하고 그 결과는 심판의 손목시계로 바로 전송된다고 한다. 심판의 판정도 경기의 일부라는 말이 있는데 수학과 과학도 경기의 일부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  ScienceTimes

제트엔진 개발 원리 속 ‘수학’

가스터빈의 구조 ⓒ 위키피디아
가스터빈의 구조 ⓒ 위키피디아
제트엔진의 개발과 유지보수에 있어 수학의 이론과 응용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수학의 발전과 제트엔진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왔으며, 현대 수학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 살펴보고자 한다.
터보제트엔진, 뉴턴 법칙에 의해 만들어져
제트엔진은 제트기류를 분출함으로써 추력을 얻는 기관으로 대부분의 여객기와 전투기는 제트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제트엔진은 광의로 로켓, 스크램제트, 터보제트, 터보팬을 의미하고 협의로 가스터보엔진인 터보제트엔진을 의미한다.
가스터빈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구성요소의 역할을 살펴보기로 한다. 가스터빈의 주요구성요소는 흡입구, 압축기, 연소기, 터빈, 노즐이다.
 가스터빈 주위의 대량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흡입구(Inlet)에 유입이 된다. 유입된 공기는 흡입구의 뒤에 위치한 압축기(Compressor)로 흘러들어 간다. 압축기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가스터빈에 유입되는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만드는 것이 압축기를 구성하고 있는 airfoil 형태의 터빈 날개(turbine blades)로 구성된 팬들(fans)이다. 압축기 뒤에 위치하는 연소기(Combustion Chamber)를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가 터빈(turbine)을 통과한다.
터빈에서 빠져나오는 높은 압력과 온도의 공기는 공기의 흐름을 가속화시키는 배기계통(Exhaust System)인 노즐(Nozzle)을 통과하여 높은 추력이 발생하게 된다.
터보제트엔진의 출력은 뉴턴의 제2법칙(가속도의 법칙)과 제3법칙(작용 반작용의 법칙)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터빈엔진에서의 열효과는 열역학의 법칙에 따른다. 터보제트엔진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는 엔진의 압축기 부분에서 얻어지고 연료가 연소되면서 증가되고 이러한 열에너지는 추력(thrust)으로 변환이 된다.
가스는 터빈을 지나고 냉각이 되면서 노즐을 통하여 배출이 된다. 여기에서 기계적인 에너지, 열에너지, 압력에너지로 변환되면서 에너지의 총합은 불변하며 열역학 제1법칙인 에너지 불변의 법칙이 적용될 수 있다. 터빈엔진의 효율은 소비된 연료량에 대한 추력의 비로 정의된다.
베르누이의 유체역학 이론, 항공기 제작 핵심 원리
다니엘 베르누이(Daniel Bernoulli, 1700.2.8 ~ 1782.3.17)는 1738년 유체역학(Hydrodynamica)라는 출간물에 유체역학이론들을 발표하였다.
Hydrodynamica에는 현대 항공기 제작의 핵심원리인 ‘유체의 속력이 증가하면 압력은 낮아진다’는 베르누이의 원리가 기술되어 있다.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압력이 낮아지고 속도가 감소하면 압력이 높아져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려는 힘(양력)에 의해 비행기가 뜨게 된다.
즉 날개 상부의 공기의 흐름이 빠르고 하부가 느리면 각각 상부의 압력은 하부에 비해 낮아 날개는 압력이 작은 쪽인 상부로 올라가는 힘(양력)이 발생하고 비행기는 그 힘으로 뜰 수가 있게 된다.
오일러 방정식으로 수력터빈 설계
레온하르트 오일러(Leonhard Euler, 1707.04.15 ~ 1783.09.18)는 1749년 출간물 Scientia navalis 에 수력터빈의 기본원리와 그에 대한 응용문제로써 수력터빈을 설계한 것을 발표한다. 여기에는 오늘날 가스터빈 개발에 필수적인 오일러 펌프방정식(Euler’s pump equation), 오일러 터빈 방정식(Euler’s turbine equation) 등이 소개되어 있다.
스위스의 항공우주공학자 야콥 아케레트(Jakob Ackeret, 1898 ~ 1981) 은 1944년에 오일러가 제안한 수력터빈을 제작하였다. 오일러의 아이디어에 의해 탄생한 기계는 71%의 효율성을 갖고 있다. 오늘날의 기술력에 의해 제작되는 터빈이 80%를 조금 넘는 것에 비하면 주목할 만하다.
수치해석, 안정적인 해 도출·검증
수치해석은 편미분방정식의 원리, 수치최적화, 수치선형대수학, 미분 기하학, 확률이론, 전산학 등의 기본원리를 바탕으로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현상을 모델화하고 시뮬레이션하여 안정적인 해를 도출하고 검증하는 과정을 총괄하는 응용 수학의 한 분야이다.
이러한 이유로 터빈엔진의 모든 물리, 화학적인 과정을 디자인하고 제어하기 위해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분야이다. 최근에는 과학계산이라는 보다 더 큰 범주에서 다양한 학문분야와 융합, 교류되고 있다.
편미분방정식 이용해 터빈엔진 소음 제어
터빈엔진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수치해석과 실험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톱니 모양의 노즐(chevron nozzles)을 사용하여 소음을 30%이상 줄일 수 있는데, 롤스로이스사가 개발한 (롤스로이스)Rolls-Royce 1000 와 GE사가 개발한 GEnx-2B67 이 현재 상용화되고 있다.
터빈엔진의 소음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Nonline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인 압축성 나비어-스톡스 방정식(Compressible Navier-Stokes Equations)과 이를 단순화시킨 압축성 오일러 방정식(Compressible Euler Equations) 그리고 음향파동방정식(Acoustic Wave Equations)의 활용이 필수적이다.
아울러 엔진의 부품의 변형 등의 물성을 구현할 수 있는 탄성역학방정식(Elastodynamic Equations)이 필요하다. 음파가 탄성체로써의 엔진부품에 상호작용을 야기하기에 상기 나열한 방정식들을 최종적으로 함께 풀어야 복합소재의 적절한 선택과 소재의 기하학적 형상으로부터 생기는 물리적인 특성을 보다 더 구체적이고 효율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터빈날개 내열성 연구에도 활용
가스터빈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 중의 하나가 터빈날개(turbine blades)인데 손상과 마모를 줄이는 것이 관건이다. 가스터빈기관의 고효율성은 구성요소간의 압력비나 연소기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생기는 터빈날개의 내열성이 문제가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연구를 위해 수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수치시뮬레이션과 실험이 병행되고 있다.

  • ⓒ ScienceTimes

배반에 배반을 거듭한 수학자

역사적으로 볼 때 한나라의 최고 통치자가 과학과 과학자를 사랑하고 관심을 두는 이유는 대충 세가지로 축약된다. 학문에 대한 고매한 인격이나 품성의 발로가 아니다. 대부분 실용적인 측면이 강하다.
통치자는 실용적 차원에서 접근
우선 수리공사를 들 수 있다. 고대 문명의 발상지는 대부분 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치산치수(治山治水)는 농경사회에서 최고 통치자의 가장 중요한 일이다. 댐을 쌓아 가뭄과 홍수에 대비하는 일이야 말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다. 이에 따라 천문학과 기상학도 발전하는 계기가 된다.
세계에서 가장 긴 나일 강의 범람은 이집트문명의 밑거름이었다. 에티오피아의 높은 산들과 동아프리카의 큰 호수에서 발원하는 나일 강에는 봄과 여름에 정기적으로 비가 내린다. 그래서 매년 9월이면 강의 수위가 최고에 달해 홍수가 일어난다.
나폴레옹이 사랑한 수학자 푸리에. 그러나 그는 나폴레옹을 두 번이나 배신했다.  ⓒ 위키피디아
나폴레옹이 사랑한 수학자 푸리에. 그러나 그는 나폴레옹을 두 번이나 배신했다. ⓒ 위키피디아
그러나 나일 강의 홍수는 메소포타미아문명에 큰 피해를 준 유프라테스와 티그리스 강의 홍수와는 달리 비옥한 토양을 제공했다. 따라서 나일 강의 범람은 이집트의 생태에 매우 큰 영향을 주었다.
두 번째는 전쟁무기의 개발이다. 끊임 없이 계속되는 전쟁에서 첨단 무기의 개발은 다른 나라를 제압하고 영토를 뺏는 정복자에게는 매력이 당기는 일임에 틀림이 없다. 또 호전적인 정복야욕이 아니더라도 군비경쟁에서 우월한 고지를 점하는 국가안보에 중요한 기틀이 되기 때문이다.
무기라는 공포스러운 것을 참을성 있게 찬찬히 뜯어보면 첨단과학의 집약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적국에 없는 무적의 신무기를 만들어 내기 위해 과학기술을 고도로 첨예화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쟁이 끝난 후 그러한 기술은 사장되는 것은 아니다. 평화적 이용이다. 원자폭탄제조 기술이 우리에게 무한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원자로로 개발된 경우가 그렇다.
마지막으로는 정복한 국가로부터 고대유물을 약탈하고 발굴해 본국으로 가져오는 일이다. 여기에서 과학자들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리품은 승자에게 있다”는 말이 있다. 전리품 가운데 중요한 것이 피정복지의 고대 유물이다. 역사에서 흔히 쓰이는 고대 통치자들의 ‘동방원정’이 바로 이런 이유에서 시작됐다.
세계적인 유물, 정복자들의 전리품
세계적으로 유명한 영국의 대영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를 비롯해 유럽의 박물관에 소장된 수많은 유물들 가운데 90%이상이 피정복 국가로부터 탈취한 것들이다. 식민지 지배의 유물들은 문화사적 가치만 있는 것이 아니라 강성하고 화려했던 과거의 영광을 그대로 보여주는 징표가 된다.
쿠데타로 집권을 하기 바로 1년 전인 1789년 5월 나폴레옹은 400척의 배에 3만 5000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프랑스 남부의 항구 툴롱을 떠나 이집트로 향했다. 그 가운데에는 나폴레옹이 훗날 원수(元帥)로 삼게 되는 장교 다섯 명도 포함돼 있었다.
나폴레옹은 또한 이 이집트 원정에 167명의 과학자와 건축 기술자로 구성된 학술조사단을 동행시켰다. 그가 사랑했던 수학자이자 끝까지 지조를 잃지 않은 충성스러운 신하 몽주가 학술조사단을 이끈 총책이었다.
박식한 석학들로 구성된 조사단은 이집트에서 약탈하고 발굴한 수많은 보물들을 본국의 루브르 박물관으로 보냈다. 이집트에서 영국과의 전쟁에서 패하기는 했지만 원정의 목적이라는 차원에서 볼 때는 진정한 승리자가 된다.
그들은 이집트의 지형과 산물을 조사하는 외에도 고대 유적을 발견하고 발굴하는데도 앞장섰다. 이집트 조사단의 지식의 정수는 22권으로 된 ‘이집트 저널’라는 책으로 출간되었다. 이는 근동(近東 서아시아)에 대한 유럽의 열정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로제타석, 영국에 빼앗겨    
고대 이집트와 우주의 비밀이 담겨 있다는 로제타석(Rosetta Stone)의 발견은 조사단의 가장 유명한 업적이다. 로제타석은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다음해인 1799년 7월 공병대의 한 장교가 나일강 어귀에 있는 로제타라는 곳에서 발견했다.
이집트 역사상 가잔 강성했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프톨레마이오스 5세의 공적을 찬양한 비석이다. 그야말로 가장 가치 있는 유물이라고 생각한 나폴레옹은 이 비석 발굴에 대한 모든 것을 철저한 비밀에 부쳤다.
나폴레옹은 이 비석의 해석에 착수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본국으로 이송할 준비를 서두르고 있었다. 그러나 군사적인 면에서 폴레옹의 원정은 큰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이집트의 지배계층과의 전투에서는 이겼으나 나일강 전투에서 영국의 넬슨 제독에게 패배하고 말았다. 또한 내륙전투에서도 전염병(학자들은 페스트로 추정한다) 때문에 원정군은 몰살당하고 말았다.
이런 과정속에서 로제타석에 대한 비밀이 새나갔다. 그리고 이 비석이 현재 이집트 어느 곳에 숨겨져 있다는 정보도 영국군이 입수했다. 프랑스와의 전투에서 이긴 영국군이 로제타석을 프랑스에 넘겨줄 리 만무하다. 결국 양국의 평화조약에서 로제타석은 결국 영국이 차지하게 된다.
팔레스타인 출신으로 미국의 영문학자이자 문명비판론자인 에드워드 사이드(Edward W. Said 1935~2003)는 현대 중동연구에서 가장 인정 받고 있는 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는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과 ‘이집트 저널’의 탄생이 유럽의 오리엔탈리즘을 형성한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대표적인 저서 ‘오리엔탈리즘’으로 제국주의에 근거한 서양 위주의 사고방식을 비판하였다.
나폴레옹은 이집트 원정에 얻은 가장 큰 수확은 우주의 비밀이 담겼다는 로제타석의 발굴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영국과의 전투에서 패하자 이 비석은 영국군이 차지했다. ⓒ 위키피디아
나폴레옹은 이집트 원정에 얻은 가장 큰 수확은 우주의 비밀이 담겼다는 로제타석의 발굴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영국과의 전투에서 패하자 이 비석은 영국군이 차지했다. ⓒ 위키피디아
푸리에, 이집트 원정으로 출세가도 달려
나폴레옹이 이끈 이집트 원정대의 학술조사단에는 당시 최고의 수학자이자 최고의 물리학자로 꼽히는 푸리에(Jean Joseph Fourier 1768~1830)에도 포함돼 있었다. 아마 학술조사단을 이끈 몽주가 발탁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푸리에를 가르친 스승이었다.
프랑스 중부 오제르의 한 가난한 양복가게 아들로 태어나 8세 때에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되어 성직자의 양자로 길러졌다. 수학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지만 신분이 낮아 그가 원했던 사관학교에 입학 할  수 없었다.
결국 모든 것을 포기하고 수도사가 되는 길을 택했다. 그러나 그의 마음 속에는 권력에 대한 열망이 항상 도사리고 있었다. 1789의 프랑스 대혁명이라는 대변혁은 그에게는 낮은 신분에서 벗어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수도원을 나와 혁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로 인해 여러 번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을 겪기도 했다.
수학에 재능이 있었던 그는 1794년 파리에 있는 에콜 노르말(Ecole Normale 고등사범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된다. 여기에서 그는 스승이라고 할 수 있는 몽주와 라플라스를 만나게 된다. 이로 인해 이집트 원정의 일원이 될 수 있었다.
이집트 원정에서 영국에 패한 나폴레옹이 1년 만에 프랑스로 환국한 이후에도 11명의 학자들과 함께 카이로에 남아 고대 수학과 고고학을 연구하면서 프랑스가 세운 이집트연구소에 많은 공헌을 했다.
이집트 저널, 성공리에 완성
2년 후에 그가 프랑스로 돌아오자 황제가 된 나폴레옹은 그의 행정 능력을 인정해 프랑스 동부 끝자락에 있는 이제르(Isere)주의 주지사로 임명한다. 그는 여기에서도 탁월한 행정능력을 보여 도로건설을 비롯해 여러 가지 프로젝트를 성공리에 마무리했다.
푸리에의 과학적인 능력과 믿음이 더욱 확실해진 나폴레옹은 다시 그를 다시 파리로 불러들였다. 그리고는 그가 세운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교수직을 선사했다. 고아 신분에서 학자로서는 최고의 신분에 오르게 된 것이다.
여기에서 그는 천재적인 능력을 발휘한다. 각종 수학과 물리학 이론을 발표해 과학자들로부터 존경과 부러움을 산다. 그러나 나폴레옹이 푸리에게 빠져든 것은 이집트원정의 아이콘이라고 할 수 있는 ‘이집트 저널’ 편찬에 그가 보여준 탁월한 능력이었다. 그는 남작에서 백작의 작위를 받는 등 최고의 출세가도를 달렸다.
그는 ‘열역학 이론’과 ‘푸리에 방정식’으로 수학과 물리학에 있어서 후세에 길이 남을 금자탑을 세울 수 있었다. 이 모두 나폴레옹의 배려와 사랑 속에서 탄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는 변절의 유전자를 갖고 있는 학자였다.
두 번이나 배신했지만 나폴레옹은 받아들여   
1815년 영국을 비롯해 프로이센(독일), 러시아, 오스트리아 등 연합국과의 전쟁에서 패해 실각하자 푸리에는 잽싸게 왕정으로 복고한 루이 18세에게 달려가 충성을 맹세해 명예와 권력을 계속 유지한다.
이듬해인 3월 귀양지인 엘바 섬을 탈출해 다시 쿠데타를 일으켜 황제가 된 나폴레옹 군대의 포로가 된다. 그러자 다시 나폴레옹에게 충성을 서약한다. 과학자에 관대했던 나폴레옹은 그를 용서하고 등용해 요직을 맡긴다.
그러나 변절자가 그리 오래 가는 것은 아니다. 영국과의 최후의 일전인 워털루 전투에서 패해 ‘백일천하’로 막을 내리자 푸리에는 다시 루이 18세에 선처를 호소한다. 그러나 결국 루이 18세의 분노를 사 권력의 대열에서 영원히 추방당한다. 비참한 생활을 영위하다 생을 마감한다.
나폴레옹, 수학강국 프랑스의 기틀 마련
레옹의 인재양성 정책은 오늘날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나폴레옹은 어느 누구보다도 정복야욕과 전쟁에 애착을 갖고 있던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그러나 이에 못지 않게 학구열도 불같이 뜨거웠다. 전쟁 중에도 500여권에 이르는 책을 실은 이동도서관을 끌고 다녔다.
또한 전투와는 전혀 관계 없는 학자들을 대동해 타국의 고도화된 문명을 연구하도록 했다. 그리고 그러한 선진문명을 본국으로 수입하려고 노력했다. 그의 유럽전쟁은 분명 정복자의 야심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이집트와 시리아의 동방원정은 영토정복이라기 보다 문명정복이었다.
푸리에의 기술에 따르면 나폴레옹은 수학, 특히 군사적으로 용이한 기하학에 관심이 많았고 상당한 소질도 있었다고 한다. 이탈리아 수학자 마스케로니(Lorezo Mascheroni 1750~1800)로부터 헌정 받은 ‘마스케로니’ 정리를 프랑스 수학계에 전파한 것도 나폴레옹이었다.
프랑스는 과학강국이다. 기초과학도 강하다. 특히 전통적으로 수학이 강하고 이 분야에서 수 많은 인재를 배출하게 된 그 이면에는 수학과 수학자를 조건 없이 사랑했던 나폴레옹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폴레옹은 수학자와 과학자뿐만 아니라 고고학이나 인류학이라는 인문학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의 지식인을 사랑했다. 오늘날 나폴레옹을 역사상 무자비한 정복자, 또는 약탈자와는 다른 눈으로 바라보는 것도 이런 면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  ScienceTimes

최고의 수학자, 최악의 변절자

그 가설은 필요하지 않아!”
이는 수학자 라플라스의 말로 수학·과학계에서 유명한 말이다. 그런데 학문연구에서 필요하지 않은 가설이 있을 수 있을까? 수학자 라플라스가 말한 필요없는 가설은 다름 아닌 신에 대한 가설이다. 그런데 이 답변이 나오기까지 과정이 흥미롭다. 불세출의 영웅 나폴레옹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라플라스와 나폴레옹, 스승과 제자로 만나
당대 최고의 수학자 라플라스와 수학자를 사랑한 전쟁의 천재 혁명가 나폴레옹과의 인연은 생각보다 일찍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라플라스는 젊은 시절 파리 군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정복자 나폴레옹도 제자 가운데 한 명이었다.
나폴레옹은 천재 수학자 라플라스를 사랑했다. 그러나 라플라스는 배신했다.   ⓒ ScienceTimes
나폴레옹은 천재 수학자 라플라스를 사랑했다. 그러나 라플라스는 배신했다. ⓒ ScienceTimes
과학에 대해 어느 통치자보다 관심을 갖고 있던 나폴레옹의 머리 속에는 항상 라플라스의 그림자가 맴돌고 있었다. 나폴레옹이 훗날 황제가 됐을 때다. 천재적인 수학자였지만 권력에 기웃거리던 라플라스는 나폴레옹에게 자신이 쓴 천체물리학 책 하나를 선사했다.
그러지 않아도 한번 만나길 고대하던 나폴레옹에게는 좋은 기회였다. 이미 책 내용에 대한 얘기를 들어 알고 있던 나폴레옹이 라플라스를 궁정으로 초청해 물었다.
“선생께서는 우주에 대해 이렇게 방대한 책을 쓰면서도 어떻게 창조주에 대해서는 한마디 없습니까?”
‘신(神) 가설 무용론’이 튀어나온 것이 바로 그 때다. 그는 기회주의적 학자였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학문적 토론에서는 결코 후퇴가 없었다. 상대가 나폴레옹이건 아니건 알 바 아니었다. 자신의 결정론적 세계관대로 그는 간단명료하게 대답했다.
“제게는 그러한 가설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황제의 위신 따위는 안중에 없는 라플라스의 태도에 나폴레옹도 적잖이 당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 태도에 당황할 사람은 나폴레옹뿐만은 아니다. 타협의 여지를 주지 않는 쾌도난마 식의 답변은 첨단 과학의 시대, 그래서 어찌할 수 없이 유물론을 지니고 사는 현대인들에게도 당혹감을 안긴다.
당시만 해도 무신론은 범죄행위이자 용서받을 수 없는 악마의 이론이었다. 라플라스는 정치에 관심이 많았고 권력을 얻고자 하는 욕망이 강했지만, 자신의 철학을 굽히기를 좋아하지 않았다. 나폴레옹은 역시 불세출의 영웅으로 과학자에게만큼은 대단히 관대한 군주였다.
역시 나폴레옹은 여느 통치자와는 달랐다. 나폴레옹은 대단히 재미있어 하며 그 대답을 당대 최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조제푸르이 라그랑주에게 전해주었다. 그 말을 전해들은 라그랑주는 이렇게 외쳤다.
“아, 이건 대단히 멋진 가설이다. 그것 하나만으로 아주 많은 것이 설명되지 않는가!”
사람들은 나폴레옹이 전투에서는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지만 공부에서는 꼴찌를 면치 못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의 인생역정을 들여다 보면 결코 그렇지가 않다. 1784년, 그의 나이 15세 때 프랑스 왕립 사관학교(Ecole Militaire)에 입학한다.
이 사관학교는 부르봉 왕조의 루이 15세가 파리 시내에 설립한 것으로 오늘날의 사관학교와는 성격이 전혀 달랐다. 정사(政事)에는 관심 없고 놀기만을 좋아했던 루이 15세의 취향을 반영하듯이 한마디로 으리으리하고 호화로운 궁전 같은 곳이었다.
매년 입학생이 겨우 50~60 명 정도로 원래 창립 당시에는 가난한 귀족 자제들을 훌륭한 귀족 장교로 키워내기 위해 만들어진 학교였다. 여기에서는 군사 학문이 전문이 아니라 수학, 문법, 역사, 지리 등이 주된 과목이었다.
또한 군사 훈련보다는 승마, 펜싱, 사교 댄스 등을 배웠다. 루이 15세가 이 사관학교를 창립한 것은 무자비한 전투 장교를 키워내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 황제는 그런 싸움꾼들(?) 외국 용병들을 사서 쓰면 된다고 생각했다.
루이 15세가 필요했던 것은 국왕에 충성하고, 우아한 교양을 쌓은 귀족 장교였다. 이 학교에서 가르치는 군사학은 요새 구축법 강의 정도였다. 이 학교에서 나폴레옹은 1년 만에 졸업했다. 나폴레옹의 졸업 성적은 50여명의 졸업생 중 48등이었다.
아버지의 죽음으로 가장 노릇을 해야 했던 나폴레옹은 어떻게든 빨리 졸업하여 소위 봉급을 받아야 했다. 남들이 3~4년씩 걸리는 졸업 시험 준비를 1년 만에 마쳐야 했던 점을 감안하면 그는 대단한 영재였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나폴레옹은 그가 사랑했던 수학자들 가운데 한 사람인 라플라스를 만나게 된다. 그의 졸업시험을 심사한 교관이 바로 근대확률론의 창시자이자 ‘라플라스의 방정식’으로 유명한 수학자 라플라스였다.
나폴레옹으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아 권력의 대열에 합류하게 된 그는 나폴레옹이 자신에게 베푼 은혜는 아랑곳없이 훗날 이렇게 이야기했다고 전해진다.
“내가 그때 그 코르시카 촌놈을 불합격 시켰으면 유럽의 지도는 많이 달라졌을 거야”
아인슈타인보다 먼저 블랙홀 이론 정립
최고의 수학자이자 최악의 변절자로 낙인 찍혔지만 과학에 대한 그의 안목은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예를 들어 블랙홀의 경우가 그렇다. 지금까지 알려진 일반상식은 아인슈타인이 처음으로 블랙홀 이론을 정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18세기 나폴레옹 시대의 예언자 라플라스가 먼저 정립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물론 치밀하고 면밀한 증거를 제시했다는 차원에서는 아인슈타인의 이론이 더 설득력이 있다. 다만 아인슈타인보다 앞서 설득력 이론을 세운 것은 사실이다.
라플라스의 대표적인 업적은 ‘고전확률론’의 정립이다. 관련 연구결과는 1812년에 출간된 그의 저서 <확률분석론>에 실려 있다. 그의 능력을 높이 인정하는 일부 학자들은 라플라스가 확률론을 완성단계에까지 끌어올린 수학자로 평가하기도 한다.
그는 확률은 이렇게 정의했다. “어떤 시행의 결과로 이루어진 집합 S에서 특정 사건이 일어날 경우, 집합 S에 대한 이 특정 사건이 일어나는 집합 크기의 비율을 ‘확률’이라고 정의한다. 또는 어떤 시행을 n번 반복했을 때 A가 일어날 확률은 PA(Probability of A)로 표현된다.
라플라스는 비단 수학뿐만 고전역학에도 뛰어난 능력의 소유자였다. 그에게는 ‘프랑스의 뉴턴’이라는 명칭이 따라다닌다. 뉴턴이 개척한 고전물리학의 길을 새로운 과학적 방법을 심화시켜 완전한 포장도로로 만들었다는 이유에서다.
임의의 삼각형 각 변에 그 길이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 세개를 덧 그리면, 각 정삼각형의 외접원의 중심을 이어 만들어진 삼각형은 정삼각형이 된다는 것이 나폴레옹의 정리다.   ⓒ위키피디아
임의의 삼각형 각 변에 그 길이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 세개를 덧 그리면, 각 정삼각형의 외접원의 중심을 이어 만들어진 삼각형은 정삼각형이 된다는 것이 나폴레옹의 정리다. ⓒ위키피디아
노르망디의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수학에 뛰어난 재능이 있어 주위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는 점 이외에는 그의 어린 시절에 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18세가 되던 해 그는 궁핍한 환경에서 벗어나고자 파리로 가서 그곳에서 수학을 하겠다고 결심했다.
이 때 그에게 얽힌 재미있는 일화가 전해온다. 혈혈단신으로 파리로 간 그는 살아갈 앞길이 막막했다. 그러나 그는 배짱이 두둑했으며 도전의식도 강했다. 여러 가지 역학 원리에 관한 편지를 수학자 장 달랑베르에게 보냈다. 철학자이기도 한 달랑베르는 당시 프랑스의 수학과 고전역학의 최고봉으로 인정 받고 있던 인물이다.
당시 수학자이자 법률가로 케임브리지 대학의 라우스 볼(Rouse Ball)의 기록에 따르면 라플라스가 소개받아 간 달랑베르는 그를 귀찮아 했다. 그래서 자기에게 자주 오는 걸 막기 위해 두꺼운 수학책을 던져주고는 “이걸 다 읽고 이해하고 나서 날 찾아 오게”라고 말했다고 한다.
흥미로운 것은 라플라스가 며칠 안 돼서 그를 찾아갔다는 것이다. 달랑베르는 더 화를 내며 라플라스가 단 며칠 만에 그 책을 읽었을 리 없다는 생각을 하고는 “거머리 같이 끈질긴 놈”이라며 버럭 화를 냈다.
하지만 몇 차례 책 내용에 대해서 질문을 하고, 대답을 받고 나자 달랑베르는 그의 천재적인 재능과 함께 그가 책을 다 읽었다는 것을 알았다. 달랑베르는 그를 사관학교의 교수로 추천했다. 나폴레옹과 라플라스의 인연이 바로 여기에서 시작됐다.
쿠데타로 집권하자마자 라플라스를 등용  
나폴레옹은 쿠데타로 집권한 1799년 바로 그 해에 라플라스를 등용해 내무장관직을 맡게 했다. 그러나 그의 행적능력은 최악이었다. 6주 만에 장관직에서 물러났다. 학문적으로 타협할 모르는 그의 외고집이 고스란히 나타나 주위 사람들과 어울리지를 못했다. 심지어 부하 직원들에게 미분학을 가르치기도 했다.
행정관으로서는 완전히 낙제생이라고 혹평하면서도 나폴레옹은 그를 상원의원에 임명하고 백작의 작위도 수여했다. 나폴레옹의 든든한 후원을 받은 라플라스는 나폴레옹 집권 기간에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 그를 프랑스 최고의 과학자로 만들어 준 ‘천체 역학이론’을 완성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나폴레옹의 몰락 이후 왕위에 오른 루이 18세에 충성을 맹세해 후작의 지위를 받는 등 부와 명예를 계속 누렸다. 프랑스 혁명기 수학자 가운데 가장 약삭빠르게 처신한 라플라스는 그 덕에 화려하면서도 평온한 말년을 보낼 수 있었지만 그의 변절은 후세 사람들에게 회자되면서 불명예로 남았다.
나폴레옹, 독일 수학자 가우스 마을은 공격하지 않아
원래 통치자는 측근으로 신하를 선택할 때 실력보다 충성심을 더 따진다. 변절과 배신을 가장 증오하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도 마찬 가지다. 그러나 이런 차원에서는 나폴레옹은 달랐다. 나폴레옹은 수학자를 비롯한 과학자들을 우대했다.
충성심 여부에 관계 없이 능력 있는 과학자를 좋아했다. 독일을 침공할 때도 나폴레옹은 당시 19세기의 가장 위대한 수학자로 칭송 받고 있던 가우스(Gauss, 1777-1855)가 사는 마을은 공격하지 말라고 명령을 내렸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 전통이 세워진 것은 아닐까? 세계 1, 2차 대전 기간 동안 서로 앙숙이었던 독일과 영국이 비밀리에 맺은 계약이 있다. 서로 싸우고 폭격은 하되, 영국의 명문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대학, 독일의 명문 뮌헨과 괴팅겐 대학은 건드리지 않기로 말이다. 사실 그 약속은 지켜졌다. 이 명문대학들이 피해를 입었다는 기록은 없다.

  •  ScienceTimes

혁명 속에서 등장한 수학자들

혁명이란 한 국가의 대변혁이다. 과학기술의 흐름도 충분히 변화시킬 수 있다. 혹시 가치와 이념의 판단기준이 결코 될 수 없는 순수기초과학도 변화할 수 있을까.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이지만 프랑스 대혁명은 예외였다.
프랑스 혁명은 수학을 변화시켰다. 프랑스 혁명이라는 렌즈를 통하여 당시 상황을 들여다 보면 사회적 변화가 수학에 어떠한 경로를 통해 어떤 변화를 야기시키게 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혁명은 모든 분야에 새로운 가능성을 불어넣는다.
“위대한 군 지도자 히틀러와 나폴레옹이 자주 비교된다. 그러나 그러한 비교는 허상에 불과하다. 히틀러는 12년 동안 권력을 행사한 뒤 군대를 제외한 분야에서는 독일에 해골과 쓰레기만 산더미처럼 남겼다. 반면 나폴레옹은 단 한 번도 전투에 임하지 않았지만 프랑스에 남긴 행정체제와 시민개혁만으로도 여전히 역사상 가장 위대한 지도자의 하나로 평가될 것이다.”
영국의 역사학자 앨리스테어 혼(Alistair Horne)의 나폴레옹에 대한 평가다. 오늘날까지 영웅의 아이콘인 나폴레옹이라는 인물은 매우 다면적인 사람이다. 정복자로서, 정치인으로서, 군인으로서, 그리고 황제로서 각 방면에 뛰어난 업적을 남겼기 때문이다.
이탈리아 원정을 위해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 그가 타고 있는 것은 말이 아니라 노새로 판명됐다. 그는 역대 어떤 통치자보다 과학과 과학자를 좋아했다. 특히 수학자들을 사랑했다. ⓒ 위키피디아
이탈리아 원정을 위해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 그가 타고 있는 것은 말이 아니라 노새로 판명됐다. 그는 역대 어떤 통치자보다 과학과 과학자를 좋아했다. 특히 수학자들을 사랑했다. ⓒ 위키피디아
포병장교 출신인 나폴레옹, 젊어서부터 수학에 관심 많아
그러나 여기에서 빠진 것이 있다. 그는 세계 역사상 어떤 최고 통치자들보다도 과학과 과학자를 사랑한 인물이다. 포병장교 출신인 나폴레옹은 특히 수학자들을 좋아했다. 유럽의 전쟁은 원래 해전이 아니라 내륙전쟁이었다.
보병보다 포병의 중요성은 말할 필요가 없다. 적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정확한 위치에 포탄이 떨어지도록 포(砲)를 운영하는 작업은 전쟁의 승패를 가늠하는 척도다. 그러면 이러한 이유 때문에 나폴레옹은 수학자들을 좋아한 걸까?
프랑스 혁명을 전후로 왕들과 귀족들 사이에선 수학자들과 사교 모임을 갖는 것이 유행이었다. 실력이 뛰어난 수학자를 데리고 있어야 부강한 나라를 만들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성능 좋은 무기를 개발하고, 최적의 방법으로 군사전략을 짤 수 있는 사람이 수학자라고 여겼다.
수학자들과 친분을 두텁게 하는 것은 물론, 그들을 군사 요직에 앉혀 군사력을 키웠다. 나폴레옹도 예외는 아니었다.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출신의 수학자 가스파르 몽주, 라플라스, 조제프 푸리에, 마스케로니와 친하게 지냈고, 그들과 만나 수학 문제 내는 것을 취미생활로 삼았다.
나폴레옹의 정리, 그리고 에콜 폴리테크니크도 세워
이 과정에서 본인의 이름을 딴 수학정리도 탄생했다. ‘나폴레옹의 정리’가 그렇다. 임의의 삼각형 각 변에 그 길이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 세 개를 덧그리면, 각 정삼각형의 외접원의 중심을 이어 만들어진 삼각형은 정삼각형이 된다는 정리다.
나폴레옹은 수학교육에도 관심이 많았다. 프랑스의 모든 학교의 교육과정에서 수학을 필수과목으로 만들었다. ‘수학은 국력이다’라고 주장한 그는 우수한 수학자 양성을 위해 수학종합교육기관인 ‘에콜 폴리테크니크(Ecole Polytechnique)’를 세웠다.
1794년에 세워진 프랑스에서 가장 명성 높은 대표적인 공학계열 가운데 하나이다. 프랑스 사회에서 흔히 ‘X’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나폴레옹에 의해 설립된 군사학교였으므로, X는 두 대포가 크로스 된 형태를 상징한다.
역사적으로 에콜 폴리테크니크는 나폴레옹이 국가의 고위 기술관료를 양성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프랑스 국방부의 감독하에 운영되면서 입학과 동시에 공무원 신분이 되어 졸업 후에는 정부의 고위 기술관료로 임용되었다. 그래서 지금도 여전히 전통적인 의미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학부 과정에서는 공학 교육 이전에 일정 기간의 군사 교육 기간을 거쳐야 한다.
파리공과대학으로 불리는 이 대학은 오늘날 유럽 대학순위에서 10위 안에 들 정도로 권위 있는 유명한 대학으로 발돋움했다. 프랑스에서 수학을 가장 잘하는 학교로 프랑스 수학의 산실이다. 로랑 슈와르츠, 장 크리스토프 요코즈 등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 수상자들을 배출했다.
나폴레옹이 사랑한 몽주는 화법기하학의 창시자
나폴레옹이 사랑한 과학자들은 많다. 그 가운 그가 짝사랑한 세 명의 수학자가 있다. 화법기하학을 창안한 가스파르 몽주(Gaspard Monge, 1746~1818)도 그 중 한 명이다. 나폴레옹의 몰락과 운명까지도 함께한 그는 진실로 충성스러운 나폴레옹의 신하이자 동반자였다.
화법기하학을 창시한 당대 유명한 수학자 몽주는 나폴레옹이 가장 아끼는 수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 위키피디아
화법기하학을 창시한 당대 유명한 수학자 몽주는 나폴레옹이 가장 아끼는 수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 위키피디아
1746년 본에서 조금 떨어진 시골에서 가난한 행상의 아들로 태어난 몽주는 어려서부터 기하학과 기계조작에 천재적인 재능을 보였다. 어릴 때부터 재능이 뛰어나 소화(消火) 펌프 ·측량기 등을 만들었으며 16세 때 리옹에서 물리학 교사가 되었다.
신분이 낮아 입학할 수 없었는데도 재능을 인정받아 육군 공병학교를 입학할 수 있었다. 그의 아버지가 뜨내기 장사꾼이라는 이유로 장교 프로그램에 참여할 자격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재학 중에 축성(築城)에 관한 문제를 종래의 산술적인 계산으로 풀지 않고 자신이 직접 안출한 기하학적 방법으로 짧은 시간에 풀었다. 이것이 오늘날 ‘화법기하학(Descriptive Geometry)’의 기원이다.
그러나 당시에는 프랑스의 군사기밀로 분류돼 15년 동안이나 공개되지 않았다. 그는 곧 교관으로 발탁되었다. 1780년 파리대학에서 수력학(水力學)을 강의하였고, 1789년 프랑스혁명이 일어난 후 군수품 생산기술과 조직에 진력하였으며, 새로운 도량형의 제정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당시에는 프랑스의 군사기밀로서 1792년 혁명정부의 해군장관이 될 정도로 승승장구했다. 그가 나폴레옹을 공식적으로 만난 것은 1796년의 일이다. 나폴레옹이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거머쥐기 3년 전이었다.
과학에 혜안을 갖고 있었던 나폴레옹은 이미 그의 재능을 이미 간파하고 있었다. 당시 대혁명으로 여파로 분열되고 불안한 사회에 대해 우려하고 식상했던 몽주는 나폴레옹에게 맹성을 약속했다.
두 사람 간에 친구라는 우정이 싹트기 시작했고 동반자 관계로 진전했다. 나폴레옹의 신임과 우대를 받은 그는 이탈리아, 이집트 등의 원정에 참가하였다. 물론 전쟁도 전쟁이었지만 고대 문명의 발상지인 이 지역에서 고대 유물을 발견하고 영국으로 수송시키려는 나폴레옹의 야심도 크게 작용했다.
나폴레옹과 영욕(榮辱)을 같이한 지조 있는 수학자  
사실 오늘날 프랑스가 자랑하는 루브르 박물관이 세계 최대 박물관으로 자리잡기 까지는 나폴레옹의 헌신적인 노력이 크게 작용했다. 그의 이집트 원정은 군사적인 면에서는 실패였지만, 학문과 과학 면에서는 성공이었다.
“우리는 동방으로 가야 한다. 모든 위대한 영광은 그곳에 머무른다” 나폴레옹은 제2의 알렉산더 대왕이 되기를 꿈꾸었다. 근대 유럽의 기술을 도입하고 고대 동방의 지혜를 배워 동양에 제국을 개척하고자 했던 것이다.
나폴레옹은 그를 이탈리아로 보내 그림과 동상을 선택하도록 했다. 이 예술품들의 상당수가 루브르에 보내졌다. 그는 1798년부터 1801년까지 이집트 원정 당시 나폴레옹을 수행했다. 1798년에는 카이로에 프랑스 학술원 형태를 본뜬 학술기관인 이집트 학술원의 설립을 도왔다.
1814년 나폴레옹이 실각한 후 부르봉 왕가는 나폴레옹 지지자라는 이유로 몽주에게서 모든 명예를 박탈하고 1816년에 재구성된 학술원 명부에서 제외시켰다. 물론 처형당한 것은 아니다. 그는 유럽 최고의 정복자 나폴레옹의 운명과 몰락을 같이했다.
새 왕정은 몽주에게 많은 추파를 던졌다. 그러나 그는 황제 나폴레옹의 중추적인 고문 역할을 수행하면서 러시아 원정 및 워털루 전쟁 패전으로 나폴레옹이 완전히 몰락할 때까지 그에 대한 충성심과 지조를 잃지 않았다.
나폴레옹만이 아니다. 어떤 최고의 통치자가 몽주 같은 과학자를 싫어하겠는가. 우리는 역사를 통해 수 많은 배신자들을 목격해 왔다. 영웅인가, 반란의 괴수인가? 나폴레옹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지금도 심판 중에 있다. 몽주는 권력과 위협에 쉽게 굴복하는 그런 지식인이 결코 아니었다.
  •  ScienceTimes

대기와 해양 연구에도 수학이?

대기와 해양에서 일어나는 물리현상에 관한 연구가 학문으로 발전되고 그 중요성을 인정받게 된데는 그 물리현상이 갖고있는 현실적 중요성이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모두 인지하고 있듯이 해양과 대기에서 일어나는 많은 물리현상의 경제적, 산업적 가치는 그 중요성을 지나치게 강조할 수 없다. 그들이 인간의 활동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 또한 다른 어떤 요소와 비교하여도 결코 작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두 학문의 발전에 수학이 절대적 영향을 미치게되는 3개의 전환기가 있었다.
해양과 기상의 복잡한 유체역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학적 방법이 필수적이다. ⓒ Wikipedia
해양과 기상의 복잡한 유체역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학적 방법이 필수적이다. ⓒ Wikipedia
유체역학에 기반한 연구 :  체계적 연구의 확립
유체의 운동을 다루는 기상학과 해양학에서 유체역학은 그 학문과 연구의 뿌리에 해당한다.  ’나비에-스토크스 운동방정식’은 힘이 주어질 때 유체의 입자들이 가속되는 힘과 운동의 연관성을 뉴턴의 제2법칙에 따라 표현했다.  하지만 고전역학의 관점에서 각각의 유체입자들의 운동을 표현하기에는 입자들이 너무 많다.
따라서 각각의 입자를 따라가는 라그랑지 관점이 아니라 주어진 좌표에서 유체의 운동을 표현하는 오일러 관점에서 유체의 운동을 기술하였다.  오일러 관점에서 유체 입자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전미분(total derivative)’ 또는 ‘물질미분(material derivative)’이라 부르며 이는 유체의 운동을 기술하는데 필수적인 개념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유체 속도를 전미분하면 유체의 가속도가 되며 이는 유체에 가해진 힘으로 표현된다. 그중에서도 유체의 특수한 성질에 의하여 ‘질량에 미치는 힘(body force)’과 ‘표면에 미치는 힘(surface force)’의 2가지 힘을 고려해야 한다.  지구 위에서 운동은 비관성좌표계의 운동이기 때문에 지구의 자전으로 인하여 2가지의 중요한 ‘겉보기힘(fictitious force)’이 운동방정식에 나타난다. 그 첫 째는 전향력 또는 코리올리 힘이며 다른 것은 원심력이다.
지구에서 일어나는 큰 규모의 운동을 보면 수평방향으로는 ‘코리올리 힘’과 ‘기압경도력(pressure gradient force)’이 대체로 평형을 이루고 있다.  이를 ‘지균평형(geostrophic balance)’이라고 일컫는다.  수직적으로는 대체로 ‘정역학적 평형(hydrostatic balance)’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대기와 해양에서의 자세한 운동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위에 언급한 평형에서 벗어난 작은 힘들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운동방정식을 지배하는 지균평형의 두 힘을 제거하기 위하여 방정식에 회전(curl)을 취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생산되는 운동방정식을 ‘소용돌이도 방정식(vorticity equation)’이라 한다.  소용돌이도 방정식에서는 기압경도력과 코리올리 힘의 주된 평형이 상쇄되어 더 약한 힘들이 어떻게 평형을 이루는지 볼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운동방정식을 벡터공간에서 표현한 것은 특정한 좌표계와 관계없이 운동을 기술하기 위함이었다.  하지만 실제로 문제를 풀기 위하여 특정 좌표계에서 운동방정식을 기술할 필요가 생겼다.  하지만 여러 좌표계에서 복잡한 운동방정식을 기술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 곡선좌표계에서의 벡터 미적분학이 도입이 되었다.  곡선좌표계에서의 벡터 미적분학의 도입으로 인하여 유쳬의 운동을 여러 좌표계에서 표현하는 것이 한층 용의해진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계산 수학의 도입:  대기/해양 모델
‘네비어-스토크스 운동방정식’은 비선형일 뿐 아니라 복잡한 경계조건이 주어지면 더더욱 해를 구하기 힘들다.  제2차대전의 발발로 인하여 대기와 해양의 물리적 조건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문제는 그 중요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전 지구적 순환장을 예측하기 위하여 기후모델은 필수적이며 기후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계산과학의 도입이 절실해졌다.  지구 위에서 일어나는 해양과 대기의 운동은 구면좌표계에서 가장 잘 표현되며 따라서 처음 시도된 전구모델은 대체로 구면조화함수(spherical harmonics)로 구성된 ‘스펙트럼 모델(spectral model)’이었다.
스펙트럼 모델이란 변수를 구면조화함수의 선형적 합성(linear superposition)으로 나타내며 그 함성꼴을 운동방정식에서 결정하는 모델을 일컫는다.  스펙트럼 모델을 이용하여 극에서 경도선이 다 모여 생기는 특이점(singularity)을 쉽게 해결할 수 있었으나 모델 구축의 어려움, 계산의 병렬화, 및 모델 해상도 증가 등에 있어서 여러 문제점이 노출이 되었다.
계산과학의 발전과 계산 능력의 향상으로 인하여 점차 ‘유한차분법(finite difference method)’에 근거한 모델이 자리를 잡게 되었다.  유한차분법이란 운동방정식의 각 항들을 테일러급수를 이용하여 다항식의 형태로 근사하는 방법을 일컫는다.  유한차분법에 근거한 모델은 사각형 격자 뿐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의 격자를 만들 수 있고 병렬계산에 유리하며 계산의 해상도를 높이는 것도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별히 다중격자를 이용하여 극에서 생기는 특이점을 해결한 것도 유한차분법이 각광을 받게 된 큰 요인이 되었다.
유한차분법 외에도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에 근거한 모델도 구축할 수 있는데 유한요소법은 섬같이 여러가지 복잡한 경계조건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모델을 구축하기에 어려움이 많다는 약점도 있다.  이밖에 ‘유한체적법(finite volume method)’을 이용한 화학수송모델도 종종 볼 수 있다.
지구 위에서의 유체운동을 계산적으로 풀면서 직면하게 된 큰 문제는 수직방향 모델 격자를 어떻게 주어야 지형에 의한 수평방향의 불연속성을 해결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었다.  해양에서는 육지에 의해 해류의 흐름이 막히고 소위 ‘서안경계류(western boundary current)’라는 좁고 빠른 유속을 가진 해류가 해양의 서안에 생성되며 이를 정확히 묘사하기 위하여 고도의 해상도를 가진 모델이 필요하였다.
하지만 대기 운동의 경우 지형이란 수평방향의 경계조건의 역할보다는 수직방향의 경계조건으로서 그 역할이 훨씬 중요하였다.  그리하여 고도에 따라 격자를 나누는 대신 등압력면에서 격자를 정의한 압력좌표계를 탄생시켰다. 압력좌표계 역시 지형에 의하여 생기는 수평방향의 불연속성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여 지형을 따라 정의되는 ‘시그마좌표계’가 도입이 되었다.
시그마좌표계는 표면에서의 압력에 대한 압력의 비례로 층을 나누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지형을 따라 매끄럽게 수직층이 결정되므로 수평방향의 불연속 문제가 크게 해소가 되었다.  하지만 유체가 일반적으로 등압면이나 등밀도면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시그마좌표계의 사용은 모델을 구축하는데 여러가지 복잡한 문제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시그마좌표계와 등압좌표계 또는 시그마좌표계와 등밀도 좌표계를 섞은 ‘혼합좌표계’가 나타나기 이르렀다.
통계 수학의 도입:  자연변동성
비록 대기와 해양의 운동의 기술이 대체적으로 결정적(deterministic)인 방정식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운동방정식의 비선형 항 및 변수들의 추계적(stochastic) 관계에 의하여 모델자료나 관측자료에 나타나는 변동성은 결정적인 서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자연변동성(natural variability)을 표현하기 위하여 통계적인 개념이 도입되었다.  즉 관측자료를 확률변수로 간주하고 자연변동성을 확률적으로 표현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통계 수학의 도입은 기상학에 많은 변화를 가져다 주었다.  순간순간 변화하는 기상장에 근거한 연구와 더불어 긴 자료 안에 있는 여러가지 변화의 양상을 통계적으로 바라보는 연구를 병행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시각은 ‘선험적 직교함수(EOF,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라는 새로운 분석기법을 탄생시켰다.
선험적 직교함수라는 것은 자료로부터 시간에 따라 상관성이 없으며 서로 직교하는 패턴들을 의미한다.  자료를 이러한 선험적직교함수의 선형적 합성으로 표현하고 선험적직교함수의 모양과 그 진폭의 변화로 기후변동의 물리적·통계적 분석을 가능케 한 것이다.  이 직교함수 분석은 기후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지금까지도 많은 연구들이 이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통계의 도입은 다분히 획기적이며 해양과 대기의 기후학적 연구에 큰 획을 긋는 시도였다.  하지만 물리학을 기반으로 하는 해양과 대기의 연구에 있어 통계분석은 다분히 물리적 기작의 불완전한 일부 내지는 부정확한 표출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인 것이 사실이다.
이는 기후변수의 통계적 성질이 시간에 따라 변함에도 불구하고 정상성(stationarity)을 가진 확률변수라 가정했기 때문이다.  해양이나 대기 변수들의 통계적 성질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이런 시간적 변화의 지배적 요인은 해양이나 대기의 대부분 물리적 기작들이 시공간에서 특정한 방향으로의 물리적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후변수의 주기적 정상성(cyclostationarity)을 가정하고 물리적 기작을 표현하기 이르렀다.  그 결과로 ‘주기정상적 선험적직교함수(cyclostationary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란 분석법이 개발되었다.  이 분석법으로 인하여 기후학적인 측면에서 대기와 해양의 운동과 변화에 대한 더 정밀한 분석이 가능케 되었으며 더 정밀한 물리적 기작을 기반으로 더 정확한 알고리즘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자료 분석의 측면 뿐 아니라 관측이나 자료 생산에 있어서 통계수학의 역할은 그 어느 때 보다 더 중요하다.  전 지구를 동시에 관측하는 것은 여러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위성에서 지구를 관측하는 것은 앞으로 지구를 관측하는 주된 방법이 될텐데 위성에서 대기나 해양 변수를 직접 관측하는 것은 극히 드문 일이다.
마이크로파의 산란과 흡수를 이용하여 대기 중에 있는 수분의 양을 측정하고 파의 산란을 측정하여 해수면 고도의 바람을 측정한다.  심지어는 해수면 온도같이 적외선으로 직접 관측할 수 있는 변수도 구름이나 강수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통계적인 기법이 중요하게 쓰일 수 있다.
대기와 해양의 연구에서의 수학의 역할
수학과 통계의 도입은 대기와 해양의 물리적 연구에 큰 기여를 하였다.  하지만 앞으로의 연구에서 더 중요한 것은 수학, 통계와 물리를 자료와 어떻게 연관시키느냐 하는데 있다.  한정된 자료를 기상·기후모델에 접합시키는 자료동화나 기상모델을 관측자료로 초기화 시키는 자료초기화 문제같은 것이 이러한 접목의 좋은 예라고 하겠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 더 나아가 자료동화 기법을 수학적으로 가속화시키는 기법이라든지 모델 격자보다 작은 물리적 기작을 모수화(subscale parameterization)하는 수학·통계적 기법, 위성·레이다 관측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통계·물리·수학 기법의 중요성은 우리가 세계적으로 앞서 나갈 수 있는 좋은 분야이며 대기나 해양의 연구에서 국제적인 주도권을 잡기 위한 필수적인 연구라고 하겠다.
아무리 계산 능력이 빠른 속도로 늘어난다 하더라도 전지구에서의 해양·대기 운동을 100미터 단위 격자에서 풀어내는 것은 가까운 시간 내에 가능한 일이 아닐 것이다.  그래서 더욱 더 물리, 수학, 통계, 계산, 자료를 접목시킬 수 있는 발전된 패러다임이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
  • ScienceTimes

우리나라 수학교육 100년의 교훈


100년 전 교과서로 살펴본 수학교육의 의미

수학은 인류 문명의 발전에 핵심적 밑거름 역할을 해왔다. 세계사를 통해 찬란한 문명을 꽃피웠던 나라들은 대부분 수학의 중요성을 인식해 수학 및 과학의 진흥에 힘썼으며, 오늘날에도 많은 국가들이 경쟁적으로 자국의 수학 발전을 위한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세계가 지식기반사회로 들어서면서 수학 역시 국가 경쟁력의 허브(Hub) 학문으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더구나 현대 수학은 과학기술뿐만 아니라 경제, 금융, 군사, 정치, 사회, 문화 등 많은 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농업중심사회로서 토지 측량 및 거기서 나오는 농산물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해서 산술을 매우 중요시한 조선에 서구식 수학이 도입된 건 1880년대 중반부터였다. 2014년 4월 한국수학사학회에서 펴낸 ‘개화기와 일제강점기 수학교과서 분석 연구’를 참고해 우리나라에 처음 서양 수학을 도입한 수학교과서의 서문들을 비교해보면 당시에는 어떤 목적으로 수학 교육이 행해졌는지를 잘 알 수 있다.
개화기 때 발행된 우리나라 최초의 수학교과서들. ⓒ ScienceTimes
개화기 때 발행된 우리나라 최초의 수학교과서들. ⓒ ScienceTimes
1895년(고종 32년) ‘소학교령’이 제정되면서 학교 교육 속의 수학(또는 산술)은 전면적으로 유럽식으로 개편되었다. 서양식 교육제도의 시작을 알린 소학교령에서는 수학교육의 목표 및 내용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일용계산을 익히고 동시에 사상을 정밀히 하고, 유익한 지식을 주는 것을 요지로 삼는다. 심상과(3년제)에서는 처음에 10 이하의 수에서 시작하여 1만 이내의 범위에서 가감승제와 통상 소수를 교수하는 것이 가하다. 심상과에서는 필산과 주산을 행하지만 그 병용은 지역의 사정에 의해서 정한다.
고등과(2년제)에서는 필산과 주산을 병용하고 주산에 있어서는 가감승제의 연습, 그리고 필산에서는 도량형․화폐․시각에 관한 계산문제로부터 점진하여 간단한 비례문제와 통상의 분수 및 소수를 교수하지만 수업연한에 따라 더 복잡한 비례문제까지 취급하여도 가하다. 산술의 교수는 이해력을 정밀히 하고 운산(運算)에 익숙하여 그것을 자유로이 응용할 수 있도록 힘쓰고, 또 정확한 말로 운산의 방법과 이유를 설명하고, 겸하여 암산에도 숙달하게 함을 요한다.”
1900년부터 수학교과서 간행
한국 수학사상 이때 비로소 필산과 주산이 교육기관을 통해 널리 보급되기 시작한 것이다. 또한 바로 그해 전통적인 유학교육의 중심적 위치에 있었던 성균관도 교육과정의 개편을 단행해 이수과목 중에 산술을 두었다. 당시 설립된 사범학교 및 중학교 등의 근대식 학교에서도 수학을 가르쳤으며, 1900년부터 1911년 사이에 14종의 수학 교과서가 간행됐다.
그중 1900년에 초판이 간행된 ‘정선산학(저자 : 남순희)’은 매우 인기를 끈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에서 간행된 유럽계의 ‘신수학’을 재편집한 이 책은 계산의 사칙부터 기하․삼각법․측량 등을 내용으로 담고 있다.
정선산학의 서문을 보면 “산학을 배우는 목적이 반드시 격물치지(格物致知) 하는 것이니 진실로 격물치지 하려면 산학을 놔두고 무엇을 가지고 하겠는가?”라며 수학을 배우는 목적을 분명히 제시하고 있다. 격물치지란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여 나의 지식을 완전하게 이룬다는 의미로서, 수학이 세상을 이해하는 도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정선산학의 서문에는 “내가 소년시절에 산학 책을 얻어서 매우 열심히 공부하여 스승의 가르침 없이 스스로 깨달을 수 있었다”고 되어 있어 수학 공부의 방법도 제시하고 있다. ‘정선산학’의 편찬자 남순희는 관비 유학생으로 일본에서 공부한 유학파이다.
정선산학과 같은 해인 1900년에 간행된 ‘산술신서(저자 이상설)’는 세로쓰기로 된 정선산학과 달리 수식을 포함해 모두 가로쓰기 형태로 표시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책은 일본인 상야청(上野淸)의 ‘보통교육 근세산술’을 번역한 것이지만, 단순한 번역서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왜냐하면 저자가 삭제할 것은 삭제하고 덧붙인 부분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인 이상설은 고종 황제의 밀사로 네덜란드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다녀온 독립운동가로서, ‘한국 근대 수학의 아버지’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을사늑약이 체결된 이듬해인 1906년 북간도로 옮겨가 근대 민족교육의 요람인 ‘서전서숙’을 세우고 자신이 직접 쓴 ‘산술신서’로 수학을 가르쳤다.
1901년에 간행된 ‘신정산술(저자 이교승)’은 한 권의 책이 아니라 세 권으로 된 시리즈이다. 즉, 1-2권은 1901년에, 3권은 1906년에 간행됐다. 그 이유는 초등과정인 소학교의 심상반 이수과정 3년 동안 각 학년마다 한 권씩 배우게 하는 교과서 용도로 펴냈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인 이교승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는데, ‘대한제국관원 이력서’에 그가 사범학교 교원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을 볼 때 이 책은 본격적인 수학 교사에 의해 저술된 최초의 서양 수학책으로 추정할 수 있다.
수학은 스스로 깊이 공부해야 하는 학문
신정산술의 서문을 보면 “이 책은 지나친 전문성을 추구하지 않고 다각도로 분명하게 알려주고 일깨워준다. (중략) 제자들에게 반드시 이 책이 어떻게 솔직하고 자세하게 또한 간단하고 쉽게 되어 있는지를 전수해야 된다”고 적혀 있어 수학교과서의 역할에 대해 분명히 정의하고 있다. 즉, 수학교과서의 대상이 어린 학생들임을 감안하여 학생들 수준에 맞춰 가능한 간단하고 쉬운 교과서를 제작하고자 노력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높은 곳에 오르려면 반드시 낮은 곳에서 시작하여야 하고 멀리 가려면 반드시 가까운 곳에서 시작하여야 하며 조금씩 쌓아서 많은 것이 된다”라는 문구가 있는 것으로 봐서 수학은 스스로 깊이 있게 생각하며 공부해야 하는 학문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기구를 만드는 기술, 측량의 학문이 도처에서 활약하니 그 도가 크고 빛나니 모두 산학을 싹으로 한다. 국가가 과학과 추산(推算)의 학문을 중시할 때 그것의 최고 경지를 사용하지 않음이 없다”라는 내용도 서문에 적혀 있다. 이는 현대적 의미에서의 융합형 과학기술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수학이 반드시 필요하며, 과학이 최고의 경지에 오르려면 수학의 최고 경지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어 상당히 눈길을 끈다.
미국인 의사이자 선교사였던 필하와(Eva Field)가 편찬해 1902년에 간행된 ‘산술신편’은 당시 조선의 형편과 풍속을 이용한 문제로 생활 수학을 소개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또 한자 사용을 최소한도로 축소하고 한글 가로쓰기를 통해 일반인들도 알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책은 소학교나 중학교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수학을 교육시키려고 배려하는 정신이 깔려 있다고 할 수 있다.
1909년에 간행된 ‘근세산술’은 ‘산술신서’의 저자이면서 독립운동가였던 이상설의 동생인 이상익이 저술한 수학교과서로서, 다른 수학책보다 많은 문제 연습을 통한 실질적인 수학 실력 배양을 내세우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 후 총독부에서 발간한 ‘소학산술’과 ‘고등소학 산술서’ 같은 수학책은 식민지교육 정책의 근간이 되는 교과서로서 친일세력과 식민지형 인간을 양성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한 예로 거리․시간 등의 개념 파악에도 일본 천황의 신궁까지 거리와 소요시간을 다루는 등 민족말살 정책 실시와 더불어 황국신민으로서의 우월감을 고취시키는 방향으로 편집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때 학교교육을 위한 것을 제외하면 별다른 업적을 남기기 못했던 수학은 8․15 광복과 더불어 우리나라 현대 수학의 전개가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ScienceTimes

수학 증명에도 ‘직관력’ 필요하다


논리에 합당한 것만이 수학을 만듭니다. 그래서 수학에서 모든 증명은 논리적으로 완벽하다고 할 수 있지요. 하지만 논리 자체가 그 증명을 찾는 못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지난 23일 ‘분류, 상상, 창조’라는 제목의 초학제 학술대회가 열렸다. 연사로 나서 ‘수학적 상상력’이라는 주제로 발표한 최재경 고등과학원 교수는 “논리가 스스로 자신이 ‘참’임을 증명할 수 없지만 수학적 상상력이 동원되면 이것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19세기 대수학자 앙리 푸앵카레(Henri Poincaré)도 “수학자들이 추론을 통해 바른 증명을 찾아내게 하는 힘이 직관력”이라고 말했다. 이는 증명대상 문제의 전체적인 체계를 파악하고 증명에의 길을 찾는데 수학자들이 직관력을 사용한다는 말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최 교수는 “수학에서의 직관력은 수학적 아름다움을 느끼게도 해 주는 능력”이라면서 “그래서 수학자들은 수와 형태의 조화를 감상하고 기학학적 우아함을 음미할 줄 아는 상상력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등과학원의 최재경박사 ⓒ 고등과학원
최재경 고등과학원 교수 ⓒ 고등과학원
상상 속에 존재하는 허구의 수, 음수와 허수
수학의 역사를 살펴보면 수학자들이 상상력을 어떻게 동원해서 문제를 해결했는지 엿볼 수 있다. 유한한 인간이 무한의 개념을 받아들이는 것 역시 직관력이라고 할 수 있다.
매일 아침마다 뜨는 해를 보면서 과거 사람들은 ‘오늘 뜨는 해는 1, 다음날 뜨는 해는 2, 그 다음날은 3…’ 이렇게 표시했다. 그리고 자신들은 죽지만 이 숫자는 끝이 없이 계속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인간들은 무한집합이 존재한다는 무한공리를 약속했다.
그런데 이 무한공리에 상상력이 보태지면서 수학적 귀납법이라는 증명방법 만들어진다. 수학적 귀납법은 수학에서 어떤 명제가 모든 자연수에 대해 ‘참’임을 증명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도미노 원리와도 같다. 일정하게 배열된 도미노는 첫 번째 패만 차례로 모두 쓰러진다. 생각을 확장시켜 도미노가 무한하다고 가정한다면 무한한 도미노는 시간차를 두면서 모두 쓰러질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수학적 귀납법도 마찬가지다. 먼저 첫 번째 명제가 ‘참’임이 증명되면 다음 명제도 ‘참’이다. 그럼 이것을 이용하여 무한개의 명제를 증명한다고 해보자. 도미노 패가 쓰러지듯 처음 명제가 ‘참’이기만 하면 순서대로 다음 명제도 ‘참’이게 된다. 단지 순서의 차만 있을 뿐 무한대 있는 그 명제들은 모두 ‘참’이 된다.
수학에서 증명 말고도 상상해야 하는 것들이 있다. ‘상상의 수’들이 그것이다. 세상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우리가 인식함으로서 존재하는 수라고 할 수 있다. 최 박사는 ‘음수’를 상상의 수의 첫 번째 예로 들었다.
음수의 개념은 기원 전 2세기 한나라 중국 고대 산술 책인 구장산술에서 처음 나타났다. 이 저서에서는 양수를 빨간 막대기로, 음수를 까만 막대기로 표현했다. 7세기 인도에서도 재산을 나타낼 때는 양수로, 부채를 표시할 때는 음수를 사용했다. 하지만 서양에서는 음수를 ‘허구의 수’라 여겼기 때문에 음수를 받아들이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미적분을 만든 독일의 수학자 라이프니츠마저 음수를 ‘영보다 작은 터무니없는 수’로 여겼을 정도이니까 말이다.
‘허수’ 역시 상상 속에서 존재하는 수라고 봤다. 데카르트도 허수를 ‘농브르 이마지네르(nombre imaginaire)’ 즉 상상의 수라 불렀다. 지금에야 허수가 물리현상을 표현하는 많은 방정식에서 그 위용을 드러내고 있지만 과거에 허수의 존재를 부정하는 일은 어떻게 보면 당연했다고 볼 수 있다. 실수의 특성상, 제곱하면 무조건 0 또는 양수가 되기 때문이다. 수직선에 모든 실수를 하나하나 대응시키면 빈틈없이 채워지는 것으로 볼 때, 우리가 존재한다고 느낄 수 있는 수는 실수 밖에 없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어서라고 할 수 있다.
최 박사도 “서로 만나지 않는 원과 직선의 교점을 표현하는데 허수가 쓰이지만 16세기 사람들은 이런 교점은 존재하지 않다고 봤기 때문에 허수에 대한 그들의 생각은 이해할 만하다”고 말했다.
허수의 실재성을 증명한 사람은 카를 가우스(Carl Gauß)다. 허수를 ‘복소수’로 새로이 파악하고, 복소수를 ‘복소평면’에 그림으로 보여 줌으로써 사람들이 실재성을 깨닫도록 했다. 그런데 이 ‘복소평면’은 가우스의 상상력에서 나온 창의적인 증명 방법이었다. 사실 ‘복소평면’으로 인해 가우는 허수만이 아니라 복소계수의 대수방정식은 복소수 범위에서 반드시 해가 있다’는 이른바 ‘대수학의 기본 정리’를 빈틈없이 증명했다.
 존재하지만 형태를 볼 수 없는 수, 델타함수
존재하기는 하지만 그 구체적 모습을 볼 수 없는 것들도 있다. 수학 역사상 많은 수학자들을 당황시킨 초함수가 대표적이다.
최 박사는 “1930년에 디락이 물리학적 직관력으로 원점에서 무한대이고 그 외의 점에서는 0이며, 적분 값이 1인 함수인 델타함수를 도입했지만 당시 수학자들은 이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며 “함수라는 것이 무한대의 값을 가질 수 없으며 한 점을 뺀 모든 점에서 0인 함수는 적분 값 또한 0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었다”고 언급했다.
분명 당시 수학자들은 델타함수를 조소했지만 물리학자들은 비웃을 수만은 없었었다. 델타함수를 사용하면 항상 옳은 답을 얻어내서였다. 이에 슈바르츠는 다른 함수에 끼치는 델타함수의 영향력에 주목하여 인식론적 접근을 시도했다.
경험론자이자 칸트에게도 커다란 영향을 준 철학자인 버클리는 “물체의 존재란 지각되는 것에 불과하다”고 단언한 적이 있다. 좀 쉽게 풀어보면 우리가 보통 물체라고 부르는 사물은 단지 감각에 의해 우리에 주어진 관념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 관념들을 하나씩 제거하면 나중에 아무것도 남지 않는다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델타함수도 결국에 없지만 우리 관념들로 존재하는 수학이다. 형태가 보이지는 않지만 뭔가 지각되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슈바르츠는 지각된 모든 관념들이 모여 생긴 관념다발이라는 개념으로 기존의 함수를 초함수로 새롭게 정의하며 델타함수를 증명해냈다.
최 박사는 “슈바르츠의 정의는 우리는 물체의 본질에는 다가갈 수 없고 감성에 의해 구성되는 현상으로서의 대상만 인식할 수 있다는 칸트의 철학과도 통한다.”며 “이렇게 인식론적 접근을 통해 슈바르츠는 디락의 직관력을 자신만의 새로운 상상력을 통해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고 말했다.
현재 초함수는 야구공이 타자의 매트에 부딪힐 때 충격을 표시할 수 있게 했다. 뿐만 아니라 초함수의 정의를 이용하면 놀랍게도 초함수의 미분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순간이동도 설명이 되어 진다. 델타함수를 미분한 것만큼 충격을 가하면 이론적으로 야구공이 순간이동도 할 수 있다.
최 박사는 “이외도 수학사에서는 로그도 곱하기를 쉬운 더하기로 풀 방법을 찾던 수학자들의 생각에서 나왔고 유클리드 기하학과 다르지만 모순되지 않는 비유클리드 기하학도 이를 증명하는데 수학자들의 직관이 중요했다”며 “이때 동원됐던 수학자들의 직관력은 다른 분야에서 말하는 상상력과 다르지 않다”고 주장했다.
  •  ScienceTimes

수학은 자연을 그린 추상화

실제로 국제사회는 21세기에 들어 수학과 기초과학을 더욱 중시하는 분위기이다. 올해 초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최고의 직업으로 ‘수학자’를 꼽았다. 취업정보사이트 커리어캐스트닷컴은 WSJ와의 인터뷰에서 “수학 스킬은 기회의 장을 열어주는 열쇠나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이미 오래 전에 국제수학연맹(IMU)은 2000년을 ‘세계 수학의 해’로 선포하였고 유네스코도 당시 세계 수학의 해 관련 행사를 위하여 2만 달러를 지원하였다. 특히 미국에서는 21세기를 맞이하며 ‘클레이 수학연구소(Clay Mathematics Institute)’가 설립되었고 21세기에 연구해야할 수학 문제로 각각 백만 불의 상금이 걸린 7개의 밀레니엄 문제들을 내걸었다. 미국 정부는 또한 수학, 과학, 기술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STEM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칼라비-야우 공간과 거울 대칭

2000년 봄, 클레이 수학 연구소는 ‘거울 대칭(mirror symmetry)’을 주제로 한 봄 학교를 개최하였다. 그 결과 하버드대 물리학교수 바파(Vafa) 등을 위시한 8명의 당시 강연자는 40여개 장으로 구성된 930여 쪽에 이르는 수학과 물리학을 넘나드는 방대한 강의노트를 남겼다.

거울 대칭이란 ‘끈 이론(string theory)’에서 다루어지는 개념으로 서로 다른 물리체계가 어떤 특별한 방법에 의해 동형(isomorphic)이 될 때 나타나는 물리 현상을 말한다. 그런데 여기에 수학이 강력하게 개입된다.

1970년대, 기하학자 칼라비(Eugenio Calabi)는 어떤 공간은 ‘초대칭(supersymmetry)’이라 불리는 일종의 내재적 대칭성을 갖는다는 추측을 한다. 그는 사실 캘러 다양체(Kähler manifold), 리치 곡률(Ricci curvature) 등의 어려운 수학 용어를 사용하였고 그래서 그의 추측은 피상적으로는 물리학과 무관해 보였다.

그리고 하버드대 수학교수 야우(Shing-Tung Yau)는 수십 년에 걸친 연구로 칼라비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공간을 만드는 방법을 찾아내었다. 그 방법으로 만들어진 공간이 ‘칼라비-야우 공간(Calabi-Yau space)’이다.

6차원 칼라비-야우 공간의 2차원 단면 ⓒ 위키피디아
6차원 칼라비-야우 공간의 2차원 단면 ⓒ 위키피디아

끈 이론은, 세상 만물을 구성하는 입자를 구성하는 기본 입자가 아주 작은 끈과 같은 진동하는 공간으로 만들어졌다고 생각하는 물리학 이론이다. 그런데 이 이론이 양자역학과 어우러지기 위해서는 ‘시공간(spacetime)’이 초대칭과 같은 대칭성을 가져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시공간을 10차원 공간으로 가정한다. 이때 우리가 살고 있는 시공간은 4차원이고 그 4차원의 공간을 구성하는 기본입자인 끈에 해당하는 공간이 6차원의 칼라비-야우 공간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럴 경우, 칼라비-야우 공간의 쌍대성(duality)이 거울 대칭을 설명한다. 자세한 내용은 야우와 나디스(Nadis)의 책 ‘심연의 공간의 모습(The Shape of Inner Space)’(Basic Books, 2010년)를 참조한다. 이렇게 21세기에 최첨단 수학과 물리학이 조우하게 된다. 그리고 이런 수학과 물리학의 조우는 인류 문명의 발전을 일으키는 동력으로 작용할 기세이다.

수학은 자연을 그린 추상화  

수학사 또는 과학사를 읽어보면 수학과 물리학은 불가분의 관계이면서도, 헤어졌다가 만나기를 반복한다. 사실 19세기 이전까지는 수학과 물리학의 구분조차도 명확하지 않았다. 그러나 1900년대에는 이들 두 분야가 독자적으로 발전하여 각자의 길을 걸었던 것이다.

그러나 최근 입자물리학에서의 양-밀즈 게이지 이론과 수학의 번들이론이 연계되며 다시금 수학과 물리학이 만나게 되었다. 칼라비-야우 공간과 거울 대칭이 그러한 예이다.

수학은 과학의 언어라고 한다. 우리는 언어를 가지고 상황을 기술하기도 하고 마음을 그려내는 시를 쓰기도 한다. 수학도 자연 현상을 기술하기도 하고 그를 인식하는 우리의 생각과 방법을 시처럼 그려내기도 한다. 그런데 그림 중에는 화가의 마음 내지는 핵심내용만을 상징적으로 그려낸 추상화가 있듯이 수학도 자연 현상의 핵심을 기술하는 추상화의 기능을 지녔다.

수학은 언어 기능만이 아니라 인류의 문명을 창조해내는 사고능력과 창의력을 이끌어내는 기능도 지녔다. 수학은 그렇게 인류 문명과 문화를 창조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세상을 바꾸는 수학

인류 문명과 문화의 바탕에 수학이 내재하였듯이 수학은 세상을 바꾼다. 수학은 마치 배추 같은 원재료와 같아 그것에 어떠한 양념을 입히고 어떻게 조리하느냐에 따라 맛깔스런 김치가 되기도 하고 보기에 좋은 김치가 되기도 한다. 수학에 어떻게 옷을 입히느냐에 따라 의미와 형상이 결정되는 것이다. 그래서 좋은 수학은 세상을 좋은 세상으로 바꾸어 준다. 그러한 이야기들은 이미 출판되어 있는 책들로부터 읽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상을 뒤흔든 일곱 가지 생각(Seven Ideas That Shook The Universe, 1985)’, ‘천재들과의 여행(Journey through Genius, 1990)’, ‘세상을 바꾼 다섯 개의 방정식(Five Equations That Changed the World, 1995)’, ‘미지의 세계를 찾아: 세상을 바꾼 열일곱 개의 방정식(In Pursuit of the Unknown: 17 Equations That Changed the World, 2012)’ 등의 책들이 그러하다. 또한 ‘세상을 바꾼 방정식 이야기(The Universe with Zero Words, 2012)’라는 책도 올 여름쯤 번역‧발간될 예정이다.

21세기는 ‘정보화 사회’라고 한다. 이는 인터넷의 발달과 컴퓨터의 보급 때문이라고 생각되기는 하지만, 사실 그 기저에는 수학이 자리한다. 에디슨과 먼 친척인 섀논(Claude Shanon)은 1877년부터 1984년까지 미국의 전화 산업을 주도하던 벨(Bell) 회사의 벨 연구소(Bell Labs) 소속 엔지니어였다. 그는 1945년 벨 연구소 내부 논문 ‘통신 수학 이론(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을 썼고 1948년 논문으로 출판하여 외부에 그 내용을 공개하였다.

논문의 주요 쟁점은 노이즈가 있는 통신 채널을 통해서 원하는 만큼 정확한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가하는 문제였다. 그는 통신 채널이 수용할 수 있는 정보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방정식을 제시함으로써 정보화 시대를 활짝 열었다. 그러한 방정식은 코딩이론의 기초가 되었고, 효과적인 코딩방법의 개발은 정보 산업을 급격이 발전시켜 30년 전과는 전혀 다른 현재의 일상생활을 만들어주었다.

정보이론을 상징하는 방정식 Ian Stewart, 「In Pursuit of the Unknown: 17 equations that changed the world」, Basic Books, 2012, Chapter 15, 265쪽
정보이론을 상징하는 방정식. 출처: Ian Stewart, 「In Pursuit of the Unknown: 17 equations that changed the world」, Basic Books, 2012, Chapter 15, 265쪽

수학은 이와 같이 물리학이나 컴퓨터과학, 정보과학과 같은 다른 학문이나 산업과 만나 의미와 모습을 갖추면 강력한 힘을 발휘하며 인류의 문명과 문화를 바꾸고 결국 세상을 바꾼다.

수학 발전은 수학의 대중화부터

우리는 수학을 서양 문물로 여기며 그들을 따라 하기에 급급하였다. 하지만 우리는 이제 ICM의 개최국으로 국제수준에 걸맞은 수학의 학문수준을 갖추게 되었다. 우리나라도 앞으로는 우리의 수학문화를 만들어가며 세계 문명의 발전을 주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내 수학자들이 더욱 분발하여야 하겠지만 국가의 지원도 필요하고 국민의 응원도 필요할 것 같다.

특히 국민의 응원이 힘이 될 수 있는데, 그것이 수학의 대중화이다. 수학이 대중화되면 차츰 수학의 교육이 정상화될 수 있고 국가 산업의 발전을 위한 길도 열릴 것이며, 21세기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들도 자연스럽게 양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에 이번 서울 국제수학자대회 개최를 기회로 삼아 국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수학에 좀 더 관심을 기울여볼 일이다.

그러면서 수학의 주어진 조건에 따른 결과를 받아들이는 일종의 인과론과 원칙주의의 성향을 배워, 사회 구성원 각자가 본분을 지키고 서로를 배려하는, 그렇게 사회질서가 지켜지는 훌륭한 선진 사회로 발돋움하여, 모든 사람들이 행복하고 건강하게 살 수 있기를 기원한다.

 ScienceTimes

공부벌레 안뽑아요 … 하버드대 선발 기준에 나눔이 우선순위인 까닭

해외 명문대들 됨됨이 중시 '인성 엘리트' 뽑아
봉사활동·배려심 등 가산점 졸업때까지 지속적 나눔 활동
빌 게이츠·마크 주커버그 등 아름다운 기부천사 키워내

중앙일보



대학의 문화는 그 사회의 질적 수준을 대변한다. 대학이 무엇을 가르치고 어떤 인재를 키워내는지는 사회의 경쟁력과 직결된다. 급격한 성장기를 거쳐온 한국에서 대학은 산업 인력을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맡아왔다. 쉴 틈 없이 달려오는 동안 취업과 스펙 같은 학생 개인의 능력을 키우기 위해 애를 썼다. 하지만 최근 대학에선 남과 나눌 줄 아는 인재, 사회의 고민을 공유할 자세가 돼 있는 인재를 기르기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사회 구성원간 갈등 양상이 첨예해 지고 있는 상황에 대한 해답을 지성의 전당인 대학이 제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학이 나눔과 봉사를 강조하면 사회 구성원들이 함께 더불어 사는 성숙함을 가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세계 최고 명문으로 꼽히는 미국 하버드대의 사례에서 찾아본다.

지난 1월 경기도 가평군 한 수련원에 하버드대 재학생 12명과 전국에서 온 고교생 100명이 모였다. 이곳에선 한인 유학생을 포함한 하버드대 학생 봉사 동아리 ‘날개나눔(WingSharers)’이 3박4일간 리더십 캠프를 열었다. 이들은 2012년부터 매년 초 한국을 찾아 고교생들에게 글로벌 리더십 강의와 토론 등을 통해 열정을 심어주고 있다. 재능 기부에 나선 언니 오빠들과의 만남은 고교생들에게 미래에 대한 꿈을 심어주고 있다. 하버드대 니콜라스 하크니스 인류학과 교수 등도 재능기부에 동참해 명강의를 펼쳤다. 백소현(하버드대 응용수학과 3년) 날개나눔 대표는 “하버드에서 누린 혜택과 경험을 후배들과 공유하고 싶다”며 “청소년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하버드대 학생들은 전 세계로 나가 다양한 봉사를 하고 있다. 2011년 서울 은평천사원에 편지가 날아왔다. 하버드대 봉사 동아리인 ‘고아들을 위한 하버드 동화(Harvard College Stories for Orphans·HCSO)‘에서 원생 17명을 주인공으로 동화를 만들어 주겠다는 제안이 담겨있었다. HCSO는 원생들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취미와 장래 꿈은 어떤 것인지 상세하게 적어줄 것을 부탁했다. 몇 달 후인 2012년 1월 HCSO 소속 대학생 5명이 천사원을 찾아왔다. 이들은 원생 한 명 한 명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세상에 단 하나뿐인 동화를 만들어 가져왔다. 2008년 만들어진 HCSO는 페루를 시작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 탄자니아, 에티오피아, 중국 등 10여 개 나라를 방문해 고아원 아이들을 위한 동화를 만들며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고 있다.

‘나눔’을 중시하는 교육 철학을 가진 하버드대 안에서 학생들은 남과 더불어 살며 어려운 이들을 도울 수 있는 인재로 커 나간다. 하버드대 학생들이 주로 다니는 출입구인 덱스터 게이트(Dexter Gate)에는 두 개의 문구가 쓰여 있다. 밖에서 안으로 들어올 때는 ‘enter to grow in wisdom’, 나갈 때는 ‘depart to serve better thy country and thy kind’라는 문구가 보인다. 대학에 와서는 지혜를 배우고 졸업한 뒤에는 더 나은 세상과 인류를 위해 봉사하라는 뜻이다. 하버드대는 이 같은 원칙에 따라 학생을 선발한다. 입학사정관들은 우선 세상을 더 아름다운 곳으로 만들려는 강한 열정과 의지를 가졌는지를 본다. 다음으로 남과 더불어 살 줄 아는 바른 인품과 뛰어난 리더십 역량을 갖췄는지를 평가한다. 조우석 전 케네디스쿨 입학사정위원은 “하버드는 세상을 위해 봉사할 줄 아는 인재를 중요시 한다”고 말했다.

봉사를 강조하는 대학의 철학은 사회의 나눔 문화를 이끈다. 하버드대 출신인 빌 게이츠가 전 재산의 99%를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다짐한 것도 대학 시절 나눔에 관대한 문화적 토양 아래 청년 시절을 보냈기에 가능했다는 평이 많다. 하버드대 재학 시절 ‘페이스북’을 개발해 억만장자가 된 마크 주커버그도 매년 수억 달러를 기부하며 남을 돕는 일에 앞장선다. 미국 프린스턴대는 2009년 신입생의 10% 가량을 선발해 1년간 해외봉사를 하는 프로그램에 참여시켰다. 셜리 틸먼 당시 프린스턴대 총장은 뉴욕타임스와 인터뷰에서 ”봉사활동을 통해 청소년의 틀을 벗고 인생을 재구성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학생들이 좀더 성숙하고 국제적인 시야를 가진 인재가 되도록 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사회에 진출하기 전 익힌 자세 덕분인지 미국 시민들의 나눔 의식은 매우 높다. 2013년 12월 영국의 자선구호재단(CAF)이 135개국을 대상으로 세계자선지수(World Giving Index)를 조사해보니 미국이 1등이었다. 여론조사기관 갤럽(Gallup)을 통해 각국의 자원봉사 시간, 기부 액수, 타인을 돕는 빈도 등을 조사했다. 미국은 봉사시간 1위, 타인을 돕는 빈도 2위, 기부액 13위를 기록했다. 2013년 조사에서 제외됐던 한국은 2012년 조사 대상이었는데 45위에 그쳤다. 개발도상국인 캄보디아·케냐(40위)에도 미치지 못했다.

국내 대학들도 이제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작업에 나서고 있다. 경희대 지은림 교육대학원장은 “지식 전달과 스펙 쌓기에만 열중할 게 아니라 학생들이 사회적으로 성숙한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게 봉사활동과 같은 인성교육을 체계화 하는 것이 대학의 중요한 역할로 대두되고 있다”고 말했다.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정책연구소 고주애 박사는 “남을 돕는 봉사를 통해 결국 나 자신도 성장하게 된다”며 “대학이 가진 훌륭한 자원을 어려운 이들과 나눌 수 있다면 사회가 한층 밝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2015학년도 교육청 영재교육원 대비법


2015학년도 전국 영재교육원 교육 대상자 선발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교육청 영재교육원 교육 대상자 선발은 지역에 따라 영재성 검사를 치르는 곳도 있지만 집중관찰로 학생을 추천한 후 일정한 평가를 거쳐 선발하는 관찰·추천제가 확대되는 추세다. 서울시교육청 영재교육원의 경우 총 5단계 전형을 거쳐 교육 대상자를 선발한다. 이번 달 말까지 학교별로 집중관찰 대상자를 선발하는 1단계 전형을 마친다. 서울시교육청 영재교육원 최종 합격자는 12월 31일 발표된다.

융합형 문제 대비할 것

영재교육원 교육 대상자 선발 2단계 전형에서는 각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선발전형(3단계)에 응시할 학교 대표를 뽑는 평가가 이뤄진다. 2단계 전형은 지필평가, 탐구활동 등 학교 재량에 따라 진행된다.

지필평가 문항으로는 수학, 과학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요구하는 문항과 실생활 등과 연관된 일반적인 창의성을 요구하는 문항 등이 나온다. 지난해에는 수학과 과학, 과학과 미술 등 두 가지 이상의 과목이 접목된 융합형 문항이 다수 출제됐다.

3단계 전형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평가한다. 초등학교 2, 3학년은 수학과 과학 공통 문항을 제시하고, 초등학교 4, 5학년은 공통 문항과 함께 응시분야(수학, 과학, 융합정보)별 문항이 추가로 제시된다.

지난해의 경우 엘리베이터에서 수의 규칙을 발견하는 것처럼 생활과 연관된 문제가 나온 것이 특징. 핵심적이고 의미 있는 답을 적었는지,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냈는지가 변별력을 주는 중요한 평가 요소로 작용했다.

4단계 전형에서는 인성·심층 면접을 통해 창의성과 과제집착력 등 응시생의 특성을 파악한다. 지난해 역시 인성과 직업, 인성과 과제집착력을 융합한 문제 등이 출제됐다. 지식을 묻기보다는 생활 속 수학·과학의 활용을 묻는 방향으로 출제 경향이 바뀌고 있으므로 염두에 두자. 마지막 5단계 선정심사위원회 심의 과정까지 마치면 영재교육원에 최종 합격한다(서울시교육청 영재교육원 기준).

창의적 문제해결력 중요해

점차 융합형 인재를 중시하는 영재교육원 평가에 대비하려면 독서를 통해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교과서 속 소재나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고 생각해볼 수 있는 소재가 담긴 책을 읽으면 도움이 된다. 수학, 과학을 주제로 한 책은 물론이고 역사, 문화를 주제로 한 책과 추리소설도 효과적이다.

영재교육원 대비라고 해서 처음부터 지나치게 고난도 문제만으로 연습하는 것은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어떤 문제라도 논리적으로 생각하며 해결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더 중요하다. 어느 수준에 맞춰 공부를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전문적인 융합교육 수업이나 사고력 수업을 활용할 수 있다.

2, 3단계 전형은 매년 문제유형이 바뀌므로 기출문제로만 대비해서는 안 된다. 수학, 과학, 창의성과 관련된 다양한 문항을 해결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많은 문제를 풀기보단 한 문제라도 정확히 해결하는 연습을 하자.
동아일보

AMC 8/10/12 

SCAT SSAT PSAT SATmath ACT



국제학교영어원서 강의 수학과학올림피아드

수학과학경시대회 성대 KMC 상담 환영합니다

 교육청영재원 교대영재원 경대영재원 준비반 모집


053-765-8233 011-549-5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