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7월 29일 금요일

L'elisir D'amore 사랑의 묘약 DONIZETTI (영어자막)




L'ELISIR D'AMORE - GAETANO DONIZETTI

L'elisir d'amore Donizetti. 사랑의 묘약

L'elisir d'amore (The Elixir of Love, pronounced [leliˈzir daˈmoːre]) is a comic opera (melodramma giocoso) in two acts by the Italian composer Gaetano Donizetti.

Adina - Anna Netrebko
Nemorino - Rolando Villazon
Dulcamara - Ildebrando d' Arcangelo
Belcore - Leo Nucci
Giannetta - Inna Los

Conductor - Alfred Eschwe
Orchestra - Wiener Staatsoper
Chorus - Wiener Staatsoper



Place: A small village in the Basque Country
Time: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ct 1

Nemorino, a poor peasant, is in love with Adina, a beautiful landowner, who torments him with her indifference. When Nemorino hears Adina reading to her workers the story of Tristan and Isolde, he is convinced that a magic potion will help him to gain Adina's love. The self-important Sergeant Belcore appears with his regiment and immediately sets about courting Adina in front of everyone. Nemorino becomes anxious (although, Adina meanwhile secretly derides Belcore's complacency) and, alone with Adina, reveals his love for her. Yet Adina rebuffs him, saying she wants a different lover every day and following her example would do Nemorino better. Nemorino declares that his feelings will never change. The travelling quack doctor, Dulcamara (the self-proclaimed Dr. Encyclopedia), arrives, selling his bottled cure-all to the townspeople. Nemorino innocently asks Dulcamara if he has any of Isolde's love potion. Despite failing to recognise the name 'Isolde', Dulcamara's commercial talents nevertheless enable him to sell a bottle of the cure-all - in reality only cheap Bordeaux wine - to Nemorino, withdrawing all his savings.

"Dr. Dulcamara" (Andrew Foldi), an itinerant quack and purveyor of "elixirs" and other tonics, gestures to "Cochise" (Bruce Cooper), his sly trumpet playing assistant, to call together the townspeople as he sings his Act 1 (Scene 2) aria "Udite, udite, o rustici" ("Hear me, hear me, o peasants") in a performance of the Cincinnati Opera's noted 1968 "Wild West" production of L'Elisir d'Amore in which the 1832 opera's setting was moved from a village in the Basque country to 1870s Texas.
To make a safe escape, Dulcamara tells Nemorino the potion needs 24 hours to take effect — by which time, the doctor will be long gone. Nemorino drinks the potion in a haste in order to watch the effect tomorrow. Emboldened by the "elixir" (in fact, drunk), Nemorino feigns indifference when he encounters Adina, as he expects that the elixir will facilitate his conquest of Adina the following day. She becomes increasingly annoyed; perhaps she has feelings for Nemorino after all? Belcore returns and proposes marriage to Adina. Still riled by Nemorino and wishing to give him a lesson, Adina falsely promises to marry Belcore in six days' time. Yet Nemorino only laughs in response: such confidence is sustained in the belief in the magic potion. However, when Belcore learns that his regiment must leave the next morning, Adina promises to marry him before his departure. This of course panics Nemorino, who cries out for Dr. Dulcamara to come to his aid. Adina, meanwhile, invites everyone to the wedding.

Act 2

Adina and Belcore's wedding party is in full swing. Dr. Dulcamara encourages Adina to sing a duet with him to entertain the guests. The notary arrives to make the marriage official. Adina is annoyed to see that Nemorino has not appeared, for the whole deal has been intended only to punish him. While everyone goes to witness the signing of the wedding contract, Dulcamara stays behind, helping himself to food and drink. Having seen the notary, Nemorino appears, depressed, as he believes that he has lost Adina. He sees Dulcamara and frantically begs him for a more powerful, faster-acting elixir. Although Dulcamara is proud to boast of his philanthropy, upon discovering that Nemorino now has no money he changes his tune and marches off, refusing to supply him anything. Belcore emerges, musing about why Adina has suddenly put off the wedding and signing of the contract. He spots Nemorino and asks his rival why he is depressed. When Nemorino says he needs cash, Belcore suggests joining the army, as he'll receive funds on the spot. Belcore tries to excite Nemorino with tales of military life, while Nemorino only thinks of getting the potion and thus winning Adina, if only for a day before departure. Belcore produces a contract, which Nemorino signs in return for the money. Nemorino privately vows to rush and buy more potion, while Belcore muses about how sending Nemorino off to war has so easily dispatched his rival.
After the two men have left, Giannetta gossips with the women of the village. Swearing them all to secrecy, she reveals that Nemorino's uncle has just died and left his nephew a large fortune. However, neither Nemorino nor Adina is yet aware of this. Nemorino enters, having spent his military signing bonus on - and consumed - a large amount of the fake elixir from Dr. Dulcamara. Hoping to share his fortune, the women approach Nemorino with overly friendly greetings. So out of character is this that Nemorino takes it as proof of the elixir's efficacy. Adina sees Nemorino with the women, is rattled by his newfound popularity, and asks Dr. Dulcamara for an explanation. Unaware that Adina is the object of Nemorino's affection, Dulcamara explains that Nemorino spent his last penny on the elixir and joined the army for money to get more, so desperate was he to win the love of some unnamed cruel beauty. Adina immediately recognises Nemorino's sincerity, regrets her behaviour and realises that she has loved Nemorino all along. Although Dulcamara seizes the opportunity to try to sell her some of his potion to win back Nemorino, Adina declares that she has full confidence in her own powers of attraction.
Nemorino appears alone, pensive, reflecting on a tear he saw in Adina's eye when he was ignoring her earlier. Solely based on that, he convinces himself that Adina loves him. She enters and asks why he has chosen to join the army and leave the village. When Nemorino explains that he was seeking a better life, Adina responds that he is loved and that she has purchased back his military contract from Sergeant Belcore. She offers the cancelled contract to Nemorino and reassures him that, if he stays, he will be happy. As he takes the contract, Adina turns to leave. Nemorino believes she is abandoning him and flies into a desperate fit, vowing that if he is not loved he might as well go off and die a soldier. Deeply moved by his fidelity, Adina finally declares that she will love Nemorino forever. Nemorino is ecstatic. Adina begs him to forgive her, which he does with a kiss. Belcore returns to see Nemorino and Adina in an embrace. When Adina explains that she loves Nemorino, the Sergeant takes the news in stride, noting that there are plenty of other women in the world. Adina and Nemorino learn about the inheritance from his uncle. Dulcamara returns and boasts of the success of his elixir: Nemorino is now not only loved but also rich. He exults in the boost this will bring to the sales of his product. As he prepares to leave, everyone queues up to buy the elixir and hails Dulcamara as a great physician

. Wikipedia

2016년 7월 28일 목요일

The Best of Piano



Beethoven - Bagatella In La Minore "Per Elisa"
Mozart - Sonata In La Maggiore Kv331 "Rondò Alla Turca", 3° Mov. ( 3:04 )
Bach - Minuetto In Sol Maggiore "Piccolo Libro Di Anna Magdalena" ( 5:24 )
Beethoven - Sonata Per Pianoforte N. 21 In Do Maggiore Op. 53 "Aurora" ( 6:28 )
Liszt - Notturno In Lab Maggiore N. 3 "Sogno D'amore" ( 15:52 )
Debussy - Suite Bergamasque, 3° Mov. "Claire De Lune" ( 20:19 )
Schubert - Scherzo N.1 "Allegretto" ( 22:51 )
Schumann - Album Per La Gioventù Op. 68 N. 8 "Cavaliere Selvaggio" ( 26:57 )
Mozart - Sonata Per Pianoforte N. 15 In Fa Maggiore, 1° Mov. ( 27:32 )
Bach - Clavicembalo Ben Temperato, Fuga N.2 In Do Minore ( 30:34 )
Bach - Invenzione N.13 In La Minore ( 32:13 )
Liszt - Studio Da Concerto "Mormorii Della Foresta" ( 33:25 )
Mozart - Sonata Per Pianoforte In Si Bemolle Maggiore K. 333 ( 38:08 )
Beethoven - Sonata Per Pianoforte N.14 In Do Diesis Minore "Al Chiaro Di Luna", 1° Mov. ( 43:55 )
Bach - Concerto Italiano In Fa Maggiore, 1° Mov. ( 49:58 )
Chopin - Notturno In Mi Bemolle Maggiore Op. 9 N. 2 ( 54:22 )
Chopin - Valzer In Re Bemolle Maggiore Op. 64 N. 1 ( 58:48 )
Anonimo - Piano Sonata ( 1:00:34 )
Chopin - Valzer In Do Diesis Minore Op. 64 N. 2 ( 1:03:09 )
Chopin - Notturno In Si Bemolle Minore Op. 9 N. 1 ( 1:06:45 )
Chopin - Gran Valzer Brillante In Mi Bemolle Op. 18 N. 1 ( 1:12:09 )
Chopin - Notturno In Si Maggiore Op. 32 N. 1 ( 1:14:10 )
Chopin - Valzer In La Bemolle Maggiore Op. 69 N. 1 ( 1:18:07 )
Chopin - Mazurka In Do Diesis Minore Op. 63 N. 1 ( 1:22:58 )
Chopin - Notturno In Do Minore Op. 48 N. 1 ( 1:24:54 )
Chopin - Polacca In Do Diesis Minore Op. 26 N. 1 ( 1:31:22 )
Liszt - Concerto Per Pianoforte E Orchestra N. 1 In Mi Bemolle Minore ( 1:43:48 )
Beethoven - Concerto Per Pianoforte E Orchestra N. 5 Op. 73 "Imperatore" : Allegro ( 2:02:34 ) Adagio Un Poco Mosso ( 2:22:42 ) Rondò: Allegro ( 2:30:46 )

The Best of Beethoven

Ludwig Van Beethoven - The Best of Beethoven
Best of Classical Music
Tracklist:
01. Symphony No 3 - Allegro con brio
02. Symphony No 5 - Allegro con brio ( 13:46 )
03. Symphony No 6 - Allegro ( 21:02 )
04. Symphony No 6 - Allegretto ( 26:04 )
05. Symphony No 7 - Allegretto ( 35:34 )
06. Symphony No 7 - Presto ( 38:56 )
07. Symphony No 9 "Ode to Joy" ( 42:24 )
08. Moonlight Sonata (Sonata al chiaro di luna) ( 1:07:38 )
09. Fur Elise (Per Elisa) ( 1:11:47 )
10. Rondò a Capriccio in G Major ( 1:14:24 )
11. Minuet in G ( 1:21:53 )
12. Duo for Clarinet and Bassoon ( 1:24:24 )
13. Piano Concerto No 5 Emperor movt. 2 ( 1:28:17 )
14. Piano Sonata Op. 13 Movement 2 Adagio ( 1:35:06 )
15. Concerto for Violin and Orchestra in D major ( 1:40:16 )

The Best of Tchaikovsky

The Best of Tchaikovsky - best of Classical Music
Tracklist:
1. Piano Concerto No. 1 in B-Flat Minor Op. 23 - Allegro non troppo
2. Eugene Onegin Act III -- Polonaise ( 8:56 )
3. Symphony No. 6 in B Minor Pathetique - 1 mov. ( 14:00 )
4. Violin Concert in D Major Op. 35 - Andante ( 33:15 )
5. Slavonich March, in B-Flat Minor, Op. 31 ( 40:06 )
6. 1812 - Overture ( 50:50 )
7. The Nutcracker, Op. 71 -- Overture ( 1:06:46 )
8. The Nutcracker Op. 71 - Sugar Plum Fairies ( 1:10:13 )
9. The Nutcracker Op. 71 - Waltz of the Flowers ( 1:12:04 )
10. The Sleeping Beauty Op. 66 -- Overture ( 1:18:43 )
11. Swan Lake - Dances of the Swans ( 1:21:31 )
12. Swan Lake - Valse in A Major ( 1:30:17 )
13. Swan Lake - Scene from Act 2 ( 1:37:51 )

2017학년도 수시 지원 전략

지원 가능한 전형 유형과 목표 대학부터 정하라!


오는 9월 12일부터 시작되는 2017학년도 수시 모집 입학원서 접수에 앞서 수험생들이 생각해야 할 부분이 있다. 우선, 수시 모집에 합격하면 이후에 진행되는 정시 모집과 추가 모집에 지원할 수 없다는 점이고, 다음으로 수시 모집 시기가 수능시험 마무리 학습 시기와 겹친다는 점이다.
이에 수시 모집 지원은 기회가 주어졌으니까 한다는 생각으로 지원하기보다는 정시 모집을 포함한 전체적인 대학입시의 지원 전략 안에서 자신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수험생 개개인의 적성과 진로 등을 고려하고 이에 해당하는 학과와 전공을 선정한 다음, 학생부 교과 성적과 비교과 활동 및 수능 모의평가 성적 등을 바탕으로 목표 대학들을 정리하면서 구체적인 수시 모집 지원 전략을 세웠으면 한다.
아울러 수시 모집 지원에 앞서 알아두어야 할 사항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그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은 자기 점검과 목표 설정이다. 웬만한 수험생이라면 지금쯤 목표 대학을 어느 정도 정했을 것이다. 하지만, 아직 목표 대학을 정하지 못한 수험생이라면 무조건 입시 정보를 찾아 헤매기보다는 자신의 적성과 진로를 차분히 살펴보고 지원 학과와 대학을 정하는 일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다음은 수시 모집 지원 전략을 세울 때 잊지 말아야 할 사항들이다. 수험생들은 이들 내용을 바탕으로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2017학년도 수시 모집 지원 전략으로 희망 대학에 합격했으면 한다.
첫째, 내게 맞는 전형 유형과 전형부터 정하라.
적성과 진로에 따른 목표 대학과 학과를 어느 정도 정한 다음에는 어떤 전형으로 지원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해야 한다. 학생부교과 전형으로 지원할 것인지, 학생부종합 전형으로 지원할 것인지, 논술 전형으로 지원할 것인지, 실기(특기) 전형으로 지원할 것인지, 아니면 이들 전형에 두세 가지 전형으로 지원할 것인지 등을.
하지만, 이런 전형 유형과 함께 지원 자격에 따른 전형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지원 가능 여부를 살펴봐야 한다. 왜냐하면 수시 모집에는 보편적인 학생들이 지원하는 일반 전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특별 전형도 실시되기 때문이다. 특별 전형에는 보편적인 학생들이 갖추기 어려운 재능을 요구하는 특기자 및 재능 우수자 특별 전형 등도 있지만, 학교장 및 교사 추천자, 교과 성적 우수자, 학교생활 및 봉사 활동에 따른 특별 전형과 지역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특별 전형 등은 특별한 수상 경력이나 재능을 갖추지 않은 수험생들도 관심을 가져볼만 하다. 학생부 성적과 학교생활 및 다양한 활동 실적 등을 꼼꼼히 따져보고 유리한 전형 이 있는지 찾아봤으면 한다.
특히 확대 실시되고 있는 학생부종합 전형에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2017학년도 수시 모집에서 전체 모집 인원(246,891명)의 29.5%에 해당하는 72,767명을 선발한다. 그리고 학생부교과 전형으로 138,995명, 논술 전형으로 14,689명, 실기(특기) 전형으로 17,593명을 선발한다.
둘째, 대학별 학생 선발 전형 자료와 요소별 반영 비율을 숙지하라.
목표 대학과 학과, 그리고 지원할 전형 유형과 전형을 정했다면, 이제부터는 그에 따른 학생 선발 전형 자료(학생부 교과/비교과, 서류평가, 논술고사, 면접고사, 적성고사 등)와 전형 요소별 반영 비율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다. 그러면서 대학별, 전형 유형별 특징을 파악하고 자신에게 유리한 대학과 전형을 정리한다. 또한 이때 수시 모집에서 가장 많이 반영하는 학생부의 반영 방법, 즉 반영 교과목과 교과 및 비교과 등 요소별 반영 방법, 학년별 반영 비율, 등급별 점수, 과년도 합격자의 교과 성적 결과 등도 함께 정리한다. 이는 지원 가능 여부를 검증하는 첫 기준이 되어줄 뿐만 아니라,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대비하면 좋을지를 가늠케 해주는 기준이 되어줄 것이다.
셋째, 대학별 당락의 비중이 높은 전형 요소와 자신의 실력을 검증하라.
수시 모집에서는 수능시험 성적이 직접적으로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학생부 성적 이외에 논술고사, 면접고사, 적성고사 등 대학별고사가 합격 당락을 결정하는 주요 전형 요소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들 전형 요소는 어느 정도해야 잘하는 것인지 객관적으로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목표 대학이 논․구술 등 대학별고사를 실시한다면 자신의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 논․구술 등 대학별고사 실력에 대한 검증은 개인적으로 가늠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대학별고사에 대한 견해가 깊은 선생님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본다. 아울러 대학에서 실시하는 모의시험 등을 통해서도 검증해볼 수 있다.
한편, 지원 대학을 선정할 때에는 대학별고사의 출제 경향이 비슷한 대학들을 하나로 묶어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이는 대학별고사를 보다 효율적으로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더불어 기출이나 예상 문제는 반드시 챙기고 풀어봐야 한다. 특히 매년 대학별로 발표한 내용들은 반드시 숙지하고 그에 맞추어 대비한다.
넷째, 수능시험 최저 학력 기준을 정확히 숙지하라.
수시 모집에서 수능시험 성적은 직접 반영되지 않지만, 많은 대학들이 최저 학력 기준으로 활용한다. 학생부 성적이 월등하고 논․구술 등 대학별고사도 우수한 성적으로 통과했다고 하더라도 수능시험 최저 학력 기준을 넘지 못하면 불합격이라는 탈락의 고배를 마실 수밖에 없다. 따라서 목표 대학이 수능시험 최저 학력 기준을 적용하는지, 적용한다면 어느 정도의 수준을 요구하는지를 반드시 확인한다. 그러면서 그 이상의 성적을 얻을 수 있도록 수능시험 대비에 최선을 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입학원서 접수 마감일과 대학별 전형일을 확인하라.
지원 희망 대학을 어느 정도 결정했다면, 그 다음은 이들 대학의 원서 접수 마감일과 전형일을 확인한다. 2017학년도 수시 모집의 경우 입학원서 접수가 9월 12일부터 9월 21일 사이에 대학별로 기간을 정해서 실시하지만, 대학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희망 대학들의 입학원서 접수 기간을 정확히 숙지해둘 필요가 있다. 더불어 전형일인 대학별고사 시험일도 확인해둔다. 이는 논․구술 등 대학별고사 대비 계획을 세우는 데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대학별고사 전형일이 수능시험 마무리 학습 기간과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하루하루의 학습 계획이 곧 입시 전략의 승패를 좌우할 수도 있어 대학별고사와 수능시험 대비 시간을 잘 안배할 필요가 있다. 대학별고사 대비 계획은 자신의 준비 정도를 점검하고, 희망 대학 중 전형일이 가장 빠른 대학을 기준으로 짜는 것이 가장 좋다.
2017학년도 수시 모집의 입학원서 접수 마감일은 살펴보면 9월 19일부터 21일까지 사흘간이다. 9월 19일에는 부산교대․서울대․연세대․전주교대․포항공대․홍익대 등 6개 대학이 마감을 하고, 9월 20일에는 서울과학기술대․서울신대․서울여대․세종대․인천대․진주교대․청주교대․한국체대 등 8개 대학이 마감을 한다. 그리고 나머지 대학들은 모두 9월 21일에 마감을 한다. 아울러 2017학년도 대학별 논술고사와 적성고사, 면접고사의 전형일도 확인해야 하는데 논술고사와 적성고사 시험일은 아래 도표와 같다(면접고사일은 대학별로 다양하므로 희망 대학 수시 모집요강을 참조 바람).
여섯째, 희망 대학의 지원 방법을 정확히 숙지하라.
수시 모집의 지원 기회가 6회로 제한됨에 따라 수험생들은 6번의 입학원서를 어떻게 작성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고민이 많을 것이다. 아래에 논술고사 응시자의 6회 지원 방법을 예시로 들었지만, 이와 함께 희망 대학이 수시 모집 지원 방법을 어떻게 적용하는지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예컨대 서울대의 경우 한 개의 전형에 한 개의 모집단위에만 지원이 가능하다. 즉, 한 장의 입학원서만을 접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비해 연세대는 지원 자격을 충족할 경우 복수 지원이 가능하다. 따라서 희망 대학들이 수시 모집 지원 방법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모집요강을 통해 정확히 숙지하고, 효율적인 입학원서 접수를 여러 방향으로 구성해 보았으면 한다. 특히 안정․소신․상향 등의 지원 방식을 고려했으면 한다.
 조선일보 

'꿈과 꿈 너머 꿈'이 담겨진 자기소개서를 작성하자

어딜가나 수험생들의 대입 수시, 자기소개서 작성은 필수이다. 하지만 생각보다 자기소개서가 잘 써지지 않는다. 왜일까? 그건 바로, 자신의 가슴을 두근거리게 하는 꿈과 꿈너머 꿈이 아직 확실치 않기 때문이다. 그럼 꿈이란 무엇인가? 사전적 의미는 꿈을 ‘실현하고 싶은 희망이나 이상’이라는 뜻이다. 그럼 꿈 너머 꿈이란 무엇인가? 고도원의 아침편지로 유명한 고도원 작가의 『꿈 너머 꿈』이라는 책에 보면 '꿈을 이룬 다음의 꿈'이라고 표현한다. 무슨 말일까? 꿈 그 자체에 머물기 보다는 그 꿈을 통하여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더 큰 꿈을 의미한다. 꿈이 ‘의사’인 친구의 꿈 너머 꿈은 ‘질병으로부터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을 치료해서 그들이 보다 행복한 삶을 살도록 도와주고 싶다’로 표현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나는 왜 의사가 되고자 하는가?”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성찰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자기 자신을 설득하지 못하는 자기소개서는 남도 설득하지 못한다. 꿈과 꿈 너머 꿈이 명확해 질 때 자신에게는 물론 자기소개서를 평가하는 입학사정관에게도 진정성과 설득력이 있는 자기소개서로 보일 것이다.
자기소개서 입력기간이 보통 9.19.(월)~9.22(목) 이므로 그때까지 7주라는 시간이 주어진다. 급한 마음에 모래 위에 성을 쌓기 보다는, 반석 위에 성을 쌓는 즉, 꿈과 꿈 너머 꿈이 확고히 다져진 가운데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그럼 자신의 꿈과 꿈 너머 꿈을 찾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첫째, “나는 어떤 일을 하면서 살 때 가장 행복하고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해 보는 것이다.
스티브잡스가 스텐포드 대학의 졸업식 연설(2005)에서 아래와 같이 이야기를 했다. “여러분이 원대하다고 믿는 그 일을 할 때만 진정한 만족을 얻고, 여러분이 사랑하는 일을 할 때만이 위대한 일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그 일을 아직 찾지 못했다면, 계속 찾으십시오. 쉽게 안주하지 마십시오. 온 힘을 다해서 찾아내면 그 때는 알게 될 것입니다.” 누구에게나 가장 중요한 질문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둘째, 자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평소 나는 어떤 생각을 많이 하는지, 주로 뭐하면서 노는지, 좋아하거나 잘하는 과목, 열정적으로 했던 일, 칭찬 받았던 일 등을 되돌아 보는 것과 커리어넷, 워크넷, 서울진로진학정보센터의 흥미 및 적성 관련 검사를 받는 것, 직업 및 학과 카드를 활용하는 방법들이 있다.
또한 자신이 원하는 삶의 모습을 꿈의 목록을 통해서 써 보는 것이다. 가고 싶은 대학과 학과, 하고 싶은 직업, 갖고 싶은 것, 가고 싶은 곳, 만나고 싶은 사람, 해 보고 싶은 일, 사회를 위해 봉사하고 싶은 일 등을 글로 쓰는 것이다.
셋째, 관심분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관심분야 관련 책, 신문과 잡지, 대학별 모집요강과 합격수기집을 참고하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관련 학회 및 대학 학과 홈페이지와 커리어넷과 워크넷의 학과 직업 검색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그리고 요즘은 분야별 전문가들의 영상 자료들이 EBS, K-MOOC, 유튜브, TED, KOCW등에 많이 제공되어 있다.
넷째, 현장을 직접 찾는 것이다.
겉에서 보는 것과 실제로 경험하는 것은 많은 차이가 있다. 즉, 교내외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1365자원봉사포털), 진로직업 체험활동(크레존, 유스네비, e-청소년, 한국잡월드), 여행, 대학 탐방 및 전공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다. 또한 관련 전문가를 만나서 인터뷰를 하는 것도 매우 유용하다. 현장에 종사하는 분, 책의 저자, 대학교 교수 등 분야별 전문가에게 미리 이메일과 편지를 보내 인터뷰를 요청을 하는 것은 필수이다. 끝으로 진로상담 선생님과 전문가에게 개인 상담을 받는 것은 더욱더 큰 도움이 된다.
위의 모든 과정과 내용을 글로 써서 종합적으로 되돌아 보면 자신과 읽는 이의 가슴을 뛰게 하는 자신만의 꿈과 꿈 너머 꿈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이는 학생부종합전형의 자기소개서 뿐만 아니라 면접에 있어서도 합격으로 가는 가장 바른 방법이 아닐까 한다.
 조선일보 

따라 하면서 배운다⋯ 부모는 아이에게 무엇을 물려줘야 하는가?

인공지능 로봇 ‘알파고’에 대한 논란이 한창일 때 신문의 사회면을 장식한 또 다른 인공지능 이야기가 있었다.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한 채팅 로봇 ‘테이’의 이야기였다. 테이는 사람의 언어 사용에 대한 연구를 위해 개발된 인공지능 프로그램으로, 알파고와 마찬가지로 사람의 뇌를 모방한 신경망 구조를 가지고 있다. 더 많이 사용하거나 칭찬과 격려를 받은 일들이 망(network)연결로 강화되어 생각의 길(path)이 만들어 지는 것이 신경망 구조의 특징이다. 그런데 테이는 심각한 오류로 사용 첫날 가동이 중지됐다. 인공지능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개되었던 테이에게 극우 성향을 가진 사용자들이 인종차별과 관련된 대화를 집중적으로 훈련시켰고, 결국 테이가 ‘인종차별적 언어’들을 쏟아냈기 때문이다.
테이에게 의도적으로 나쁜 말을 가르친 사람들이 사용한 수법은 ‘따라 해봐’ 였다. 같은 말을 반복해서 따라 했던 테이는 결국 ‘제노사이드(학살)를 찬성’하고 ‘홀로코스트(2차 대전 중 유대인 학살)는 거짓’이며, ‘멕시코인에 대한 인종차별’은 당연하다고 말하게 되었다.
역설적이지만 인공지능의 신경망 구조에 의한 초보적인 학습은 우리의 뇌가 뉴런 간의 연결을 어떻게 강화시키는지 그 단서를 제공한다. 바로 ‘모델링(Modeling)’이라고 부르는 따라 하기 학습 결과를 말이다. 모델링은 주로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에서 일어나는데 의도하지 않고 지시적이지 않아도 부모의 행동을 보고 아이가 따라 하게 되는 학습 방법을 말한다. 모델링은 눈에 보이는 행동뿐만 아니라 부모의 가치관과 지식 습득에 대한 방법까지 아이에게 스며들게 만든다.
최근 입시의 핵심은 성적을 통한 줄 세우기가 아니라 어느 정도 정해진 수준을 넘어가면, 교과와 비교과를 함께 평가해 면접으로 합격 여부를 가리는 방식이다. 특히 기숙사 생활을 해야 하는 특목·자사고 학생들은 면접을 통해 ‘인성’ 부분을 평가 받는다. 이때 중요한 요소는 ‘다른 사람과 문제없이 살 수 있는지’다. 특히, 인성 면접 중 강조되는 ‘상황 판단’ 관련 문제의 핵심은 ‘배려’하는 방법이다. 갈등 관계에 놓인 상황에서 학생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학생은 프로젝트 수업의 팀 리더다. 프로젝트 수업 중 참여도가 낮은 학생이 마지막 시간에 같은 점수를 받게 해달라고 부탁할 때 어떻게 해야 하겠는가?’라던지, ‘반 대항 축구 대표를 뽑을 때 실력이 떨어진 친구에게 어떻게 이야기하여 팀에서 빠질 것을 부탁할 것인지?’ 등과 같이 일상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일에 대한 질문이 주어진다.
자신이 맡은 책임과 권한 내에서 갈등을 정당하게 해결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선 상대방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것이 중요하다. 갈등은 주로 한쪽의 이야기만 듣고 생겨난 오해와 불신 때문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프로젝트에 불참한 학생이 있을 경우, 정당한 이유가 있는지를 듣고 교사에게 불참 사실과 그 이유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공평한 평가를 받게 하는 것이 팀 리더의 역할이다. (대부분 학생들은 불참한 학생의 사정을 들어보려 하지 않고 ‘안 된다’라고 답변 한다.)
이런 균형 있는 사고방식은 어떻게 배울 수 있을까? 논리적인 연습을 통해 훈련할 수 있지만 대부분 가정에서 배울 수 있다. 인간의 사고는 일정한 경험과 지식이 쌓이면 ‘자동화(Automaticity)’ 되어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갈등 해결과 배려하는 방법을 가장 가까운 곳에서 반복 학습할 수 있다면, 빠르고 정확하게 올바른 길을 찾아갈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밥상머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연구 결과가 있어 소개한다. 하버드 대학의 ‘캐서린 스노우’ 교수의 연구에 의하면 아이들은 책을 읽을 때보다 10배가 넘는 어휘를 가족과의 식사 중에 익히게 된다고 한다. 또한 컬럼비아대학교 약물오남용 예방센터(CASA)에서도 비슷한 연구 결과(2009)를 발표했다. A, B학점을 받는 학생의 가족간 주당 식사 비율이 C학점을 받는 학생보다 현저하게 높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학부모는 아이가 초등학교 고학년이 넘어가면 직접 공부를 지도하기 힘들어 한다. 그러나 학부모가 꼭 가르쳐 줘야 할 것이 있다면 그건 바로 ‘남을 배려하는 마음’일 것이다. 지하철 혹은 공원에서 다른 사람을 밀치고 나가는 것이 아니라 ‘먼저 지나가겠습니다’, ‘실례합니다’ 라는 한마디가 학생의 미래를 바꿀 수 있다. 과학영재학교 3차 캠프 면접, 과학고·자사고 인성 면접, 대입 수시 학생부 종합전형의 심층 면접에서 학생의 능력을 더욱 빛나게 해줄 수 있는 것이다.
 조선일보 

시험전 벼락치기 공부도 배고플 때 하는 게 효과적?

배부를 때보다 배고플 때 하는 공부가 더 효과적이라는 상식(?)을 뒷받침하는 연구결과가 일본에서 나왔다.
28일 아사히(朝日)신문에 따르면 도쿄도(東京都) 의학종합연구소는 최근 요코하마(橫浜)에서 열린 일본 신경과학대회에서 파리를 대상으로 공복시와 만복 시의 학습효과를 비교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파리에게 2종류의 냄새를 맡도록 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한 종류는 냄새와 함께 전기충격을 주는 '위험한 냄새'이고 다른 하나는 전기충격을 주지 않는 '안전한 냄새'였다.


이어 2종류의 냄새를 동시에 맡게 한 후 위험한 냄새를 피하면 정답으로 처리했다. 학습시간이 길수록 정답률이 높아져 1분 정도에 90% 이상이 위험한 냄새를 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에는 16시간 동안 먹이를 주지 않은 공복 상태의 파리를 대상으로 같은 실험을 실시했다.
그러자 불과 10초 만에 절반가량이 위험한 냄새를 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굶기지 않은 보통 파리의 정답률은 30%였다
연구팀은 이 실험에서 공복 상태의 파리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 분비량이 증가해 학습능력이 높아지는 사실을 발견했다.
도파민 분비가 증가하는 구조는 규명하지 못했지만, 공복시에 먹이가 있는 곳을 빨리 학습하면 할수록 살아남을 기회도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나가노 신타로 도쿄도 의학종합연구소 주임연구원은 "시험 전에 하는 벼락공부도 공복 상태에서 하는 게 좋을지 모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2017년도 대학 수시모집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2017학년도 4년제 대학 수시모집에서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위주 전형으로 선발하는 인원은 21만1762명으로 전체 수시모집 인원(24만6891명)의 85.8%에 달한다. 2016학년도에 학생부 위주 전형으로 85.2%(20만5285명)를 뽑아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올해는 그 비중이 더욱 커졌다. 또 논술전형 모집인원은 508명, 적성전형 모집인원은 113명 감소했다. 대입에서 수시모집 비중이 해마다 커지는 가운데 학생부 위주 전형이 대입의 핵심으로 확실히 자리 잡았다.
학생부 위주 전형 중 학생부 교과전형으로 13만8995명,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7만2767명을 선발한다. 학생부 교과전형의 비중이 학생부 종합전형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높은 것. 하지만 학생부 종합전형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학생부 교과전형의 비중은 2016학년도 57.3%에서 2017학년도 56.3%로 줄었지만 학생부 종합전형의 비중은 같은 기간 27.9%에서 29.5%로 늘어났다. 특히 수험생들은 상위권 대학으로 갈수록 학생부 종합전형의 비중이 높아진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상위권 대학들은 교과 내신만 보는 것이 아니라 고교 시절의 종합적인 성취도를 판단하려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1차 관문 서류 준비에 공 들여야학생부 종합전형은 학생부의 교과와 비교과, 자기소개서 등을 1차로 평가한 뒤 2차에서 면접을 거쳐 최종 합격자가 결정된다. 다른 전형에 비해 정성적 요소의 비중이 높지만 학생부 종합전형에서도 교과 영역은 매우 중요한 평가 요소다.
학교장 추천을 받아야 지원할 수 있는 전형은 고교에서 내신 성적에 따라 추천을 해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교과 성적 관리는 중요하다. 또 학생부 종합전형에서는 학생부 항목 중 ‘교과학습발달상황’을 중심으로 한 정성적 평가가 이뤄지기 때문에 학년이 올라가면서 성적이 좋아진 학생들에게 유리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진학을 희망하는 학과와 관련된 과목에 꾸준히 신경을 써 왔다면 좋은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학생부 종합전형에서 기본이 되는 것은 학생부다. 따라서 자기소개서를 쓸 때도 학생부를 항상 염두에 두고 써야 한다. 자기소개서는 주어진 항목에 대해 자유롭게 적을 수 있고, 기재 사항에 대한 증명 서류를 별도로 제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평가자들은 학생부를 통해 자기소개서가 믿을 수 있는 내용으로 채워졌는지 점검할 수밖에 없다.
학생부와 어긋나지 않도록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는 학생부를 충분히 숙지한 상태에서 써야 한다. 또 목표로 하는 대학의 인재상과 합격생 수기 등을 살펴보면 어떤 내용을 써야 할지 힌트를 얻을 수 있다. 대학마다 선발하려는 인재상이 다른 만큼 이를 치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경희대 학생부 종합전형의 기본 선발 방향은 ‘다양성’이다. 김현 경희대 입학처장은 “소득, 지역, 고교 등 ‘사회적 배경의 다양성’과 대학 인재상을 반영한 ‘개인 역량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숭실대의 인재상은 ‘통일 시대의 창의적 지도자’다. 이상은 숭실대 입학처장은 “‘나를 따르라’가 아닌 ‘나도 어느 조직에서든 조직의 일원으로 나의 역할을 찾아가야 한다’는 생각으로 조화와 화합을 이끌어내는 리더십을 강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능 최저학력기준 폐지·완화 추세
학생부 종합전형에서 올해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거나 완화하는 학교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지원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전형이 간소화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
서울여대는 2017학년도부터 일반학생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폐지했다. 이로써 서울여대의 모든 학생부 위주 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적용되지 않는다. 또 기독교지도자, 고른기회Ⅰ·Ⅱ·Ⅲ 전형의 면접을 수능 시험 이후인 12월 3일에 실시해 수험생의 부담을 낮췄다.
서울과기대도 논술전형을 포함한 모든 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다만 평생학습자전형을 제외한 정원 내 전형은 수능 한국사 응시를 지원 자격으로 두고 있다.
원광대는 지난해에 비해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완화했다. 한의예과의 경우 2016학년도에는 국어 수학 영어 영역의 등급의 합이 5 이내였지만 2017학년도에는 국어 수학 영어 탐구(상위 1과목) 영역 중 상위 3개 영역 등급 합이 5 이내로 변경해 수험생들의 부담을 덜었다.
서류평가 이후 실시하는 면접 평가에서 한국외대는 제출 서류를 바탕으로 인·적성 면접을 실시한다. 전공 적합성과 논리적 사고력, 인성 등을 평가한다. 면접관들이 하는 개별질문은 지원자가 제출한 서류를 바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면접 대상자는 제출한 서류를 꼼꼼히 확인하고 평가에 임해야 한다.
세종대 창의인재전형에서는 심층 면접을 실시한다. 면접 질문에 대해 지원자가 답변을 준비하고 발표 자료를 작성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지고, 이후 면접장에서 10분간 면접이 진행되는 방식이다.
 동아일보

여학생이 영어 성취도 더 높아..연령·거주지 무관

여학생의 영어 과목 성취도가 연령대와 거주지역에 상관없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 영어교육업체가 회원 5만 2천여 명을 대상으로 상반기 영어 자기주도학습지수를 분석했더니, 여학생의 평균 점수가 62.4점으로 남학생보다 3.9점 높았습니다.

여학생과 남학생의 점수 차는 미취학 아동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모든 학년에서 나타났고, 지역별로도 여학생의 영어 성취도가 남학생보다 더 좋았습니다.

EBS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방법..'밥상머리'교육으로

자녀들의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학부모님들 고민이
많으실 텐데요. 학부모들이 자녀에게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올바로 쓰도록 가르치는 ‘밥상머리 인터넷 윤리교육’이
열렸습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초등학교.

학부모 100여 명이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독의
위험성에 대한 강의를 듣습니다.

중독 위험에 노출된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 습관을 고치기 위해
가정에서 지켜야 할 실천계획도 직접 적어봅니다.

인터뷰: 윤은정 학부모 / 서울 이문동
"오늘 강연을 듣고 나서 아이들에게 스마트폰을 쥐어줄 때
윤리교육도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어요."

방송통신위원회가 전국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밥상머리 인터넷 윤리교육'.
가족이 함께 모이는 식사시간에
자녀들에게 스마트폰을 바르게 사용하는 법과
인터넷 윤리의식을 가르치자는 운동입니다.
1차적으로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교육하고,
가정에서 자녀와 함께 교육내용을 실천하게 됩니다.

실천 노트에는
가족 모두 일정 시간만 사용하겠다는 서약서를 작성합니다.

아이들은 사용시간을 스스로 점검하고,
2주 뒤 변화를 관찰해
이용 습관을 쉽게 고칠 수 있습니다.

"밥상머리에서 어른들이 아이들한테 가르침을 주셨고,
그것이 생활 속에서 습관으로 배일 수 있도록
가족들과 함께 하는 겁니다. 아이들한테만 하라고 하는 것이 아니고
엄마도 아빠도 아이도 한 번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의 씀씀이를
뒤돌아보자(는 취지입니다.)"

여름방학을 시작으로 전국의 유치원과 초등학교 학부모
5만 명을 대상으로 진행될 이번 교육은
가정 내 인터넷 윤리교육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 계획입니다.
EBS

우리나라 청소년, 세계시민의식 점수는?

최근 인성 교육이 중시되면서, 배려와 나눔의 가치를 가르치는
세계시민교육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우리나라 청소년의 절반
이상은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학교에서
이러한 교육을 받아본 적이 있다는 학생은 10명 가운데
3명도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리포트]

최근 인성 교육이 강조되면서,
나눔이나 배려, 공동체 의식 등을 키워주는
이른바 '세계시민교육'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이러한
세계시민교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요. 
한국청소년연맹이 전국의 초·중·고등학생
412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절반이 넘는 학생(50.2%)들이
세계시민교육은 꼭 필요하다고 응답했습니다.

특히, 세계시민의식 가운데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로는
'봉사와 나눔, 배려' 의식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50%로 가장 많았고,
평화와 인권 같은 '인류 보편적인 가치'(29.6%)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하지만 정작 학교 현장에서의
세계시민교육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었는데요.

학교에서 세계시민교육을
받아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71.4%의 학생들이 아예 없거나
기억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학교에서 세계시민교육이
잘 이뤄지지 못하는 이유로는
'학생들의 무관심'과 '교육의 빈도수'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는데,
'어른들의 무관심'과 '다문화에 대한
부족한 이해' 때문이라는 응답도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청소년들이 세계시민의식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라고 꼽은
'나눔'에 대해서는 어떻게 실천하고 있을까요. 
한국청소년연맹이 청소년 4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나눔 의식조사에 따르면,
최근 1년 이내에 어려운 이웃에
'나눔'을 한 적이 있다는 질문에
68.4%의 학생들이 있다고 응답했는데요.

청소년 차원에서 할 수 있는
'나눔'으로는 매월 일정 금액을 기부하거나
쓰지 않는 물건을 기부하는 경우가
67.6%로 가장 많았고,
'재능기부'나 '봉사시간 기부'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나눔'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절반이 넘는 59.6%의 학생들이
'마음이 따뜻해지는 일'이라고 응답했습니다.

이렇게 많은 청소년들은
나눔과 배려를 근간으로 하는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입시 위주의 학교 현실에서
충분한 교육이 이뤄지지 못하다보니
세계시민으로서의 덕목을 배울 수 있는
다양한 체험 활동이나
체계적인 교육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EBS

'한국형 그랑제콜' 학부·석사 통합 전문대학원 허용

이르면 올 하반기 실시되는 2017학년도 대학 입시부터, 학부와 석사과정이 통합된 전문대학원이 문을 열 것으로 보입니다.
교육부는‘대학원 제도개선 방안’을 발표하고, 현재 일반대학원에만 있는 학·석사 통합과정 제도를 전문대학원까지 확대 적용하고, 각 대학이 자율로 이 같은 전문대학원을 설치해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고 밝혔습니다.

교육부는 다만 별도 관리 중인 법학전문대학원과 의·치·한의학전문대학원은 제도 개선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명시했습니다.
EBS

브렉시트로 영국유학 선호 '뚝'..英대학 유학생 학비 6조원 기록

영국의 유럽연합(EU) 이탈(브렉시트·Brexit) 결정이 영국 유학에 대한 선호를 급격히 떨어뜨린 것으로 나타났다.
컨설팅업체 홉슨스가 지난달 세계 1천14명의 학생들을 상대로 벌인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30%가 영국 유학을 할 것 같지 않다고 답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또 6%는 영국 유학을 하지 않을 게 확실하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에 응답한 83%는 EU 이외 지역에 사는 학생들이다.
비자 승인과 졸업후 취업이 지금보다 더 어려울 것이라는 인식이 이런 결과로 나타났다.
3분의 2에 가까운 응답자가 비자를 얻는 게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느꼈고 절반 가까운 응답자는 졸업 이후 영국에서 일자리를 얻는 게 더 어려워질 것으로 생각했다.
다만 영국에 유학할 것 같다고 대답한 학생들 사이에서는 43%가 파운드화 가치 하락으로 학비가 저렴해진 점을 이유로 들었다.
영국 대학들은 자국민 학생들보다 많게는 두 배 가까이 등록금을 더 많이 내는 유학생들에 대한 의존이 높다.
영국 고등교육기금협의회 자료에 따르면 영국 대학들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낸 학비 수입이 올 가을 시작하는 회계연도에 42억파운드(약 6조2천300억원), 다음 회계연도에 46억파운드(6조8천300억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학생들 가운데 일부는 국민투표 이후 외국인을 덜 환영하는 환경과 증오 범죄 급증을 지적하기도 했다.
한 학생은 "영국에서 인종차별주의와 외국인 혐오가 급증했다는 얘기를 들었다. 어떤 형태든 그런 것들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말했고, 다른 학생은 "사람들이 인종차별적으로 변하고 있고 환경들도 그렇게 돼가고 있다. 영국에서 안전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국민투표 일주일 전인 지난달 16일부터 2주간 경찰에 접수된 증오 범죄 사건은 3천192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0% 증가했다. 이후 2주일 동안에도 3천1건이 접수됐다.
국민투표 이틀 뒤인 지난달 25일에는 하루 동안 무려 259건이 발생했다.
영국 정부는 순이민자(유입-유출)수를 연간 10만명 수준으로 낮추려는 이민 억제 노력의 하나로 학생 비자 제도를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무부에 따르면 외국 학생 5명 가운데 한 명 꼴로 학업이 끝난 후에도 영국에 장기 체류하기 위해 비자 기한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2016년 7월 27일 수요일

문 열린 2017학년도 과학고 입시, 자기소개서는 이렇게 작성하자!

중학교 생활을 열심히 하며 내신과 본인만의 스토리를 만들었다. 이제 과학고 전형을 앞두고 자기소개서에 중학 생활을 담아야 한다. 학교별로 조금씩 다르나 지원자는 작년과 동일하게 자기주도학습 영역(꿈과 끼 영역)과 인성영역을 통합하여 3,000자 범위 내에서 자신을 보여줘야 한다. 주요 항목별 작성 전략을 알아본다.
1. 지원동기 및 진로계획
과학고가 본인의 진로와 같은 방향인지 생각해야 한다. 단지 수학, 과학을 잘해서 지원했는지 아니면 이공계 인재가 되는 꿈을 안고 지원을 했는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봐야 한다. 그리고 작성할 때는 학생부에 기재된 본인의 진로 목표와 비교하여 최대한 명쾌하게 기재해야 한다. 또한, 자기주도학습 과정 혹은 수학·과학 학습 과정에 대한 질문과 글자수를 같이 묶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급적 짧게 표현하는 영리함이 필요하다.
2. 자기주도학습 과정과 탐구·체험
과학고 자기소개서의 핵심이다. 2017학년도 세종과학고등학교 자기소개서는 수학 1,200자, 과학 1,200자를 더해 총 2,400자를 이 부분에 할당하였다. 중요한 만큼 학생들의 고민도 많은 부분이다. 작성 전, 검토해야 될 부분들을 짚어보자.
하나, 수학·과학에 흥미를 느끼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자기소개서에는 중학교 과정을 쓰게 되어 있으나, 초등학교 때부터 스토리가 이어 온다면 표현할 수 있다.) 학교에서는 이를 스토리에 대한 진정성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반드시 자기소개서에 기재하고 그 감동을 면접장까지 가져가는 것이 좋다.
둘, 경시 또는 대회에서 jump-up한 경험이 있는가? 독특한 학습 이력 중 본인의 성장 경험 또는 창의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사건이 있었는지 생각해 보자. 이를 통해 R&E와 대회 경험을 간접적으로 어필 할 수 있다. 다만, 입상 내용을 적거나 점수 기재는 안 된다는 사실을 잊지 않아야 한다.
셋, 수행평가 등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된 좋은 사건이 있는가?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된 학습 활동 관련 칭찬은 학교에서 인정해 준 것이므로 신뢰도가 높은 데이터다. 단, 학교생활기록부와 중복된 내용을 담지 말고 본인의 시선으로 사건을 바라보거나 당시 상황을 자세하게 기재하는 것이 좋다.
넷,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되지는 않았지만 증명 가능한 개인적 연구활동이 있는가? 초등학교 3학년부터 5년 간 천문과 관련된 활동 및 뉴스 스크랩을 블로그에 담아 온 학생을 봤다. 꿈이 천문학자였던 학생이었는데, 진로와 관련된 꾸준한 자기주도학습으로 학습 이력에 신뢰도를 높여 입학담당관들의 마음을 당길 수 있었다.
3. 독서활동
독서활동은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만드는 중요한 영역이다. 입학사정관은 학생이 작성한 독서활동 내역을 통해 학생의 인성과 태도, 학업적 관심도를 깊이 있게 평가한다. 이러한 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로 계획과 부합하면서도 인상 깊었던 책을 신중하게 선택·기재해야 한다.
4. 봉사활동 및 핵심인성요소 관련활동
2017학년도 과학고 자기주도학습전형 매뉴얼에는 배려, 나눔, 협력, 타인 존중, 규칙 준수 등을 핵심인성요소로 표기했다. 봉사활동을 통해 나의 어떤 장점을 이웃과 나눌 수 있었는지 드러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학교에서 진행한 팀 프로젝트 활동 중에 다른 친구들과 협력하고 의견을 존중하며 주어진 규칙을 잘 지켰는지 여부도 핵심인성을 보여주는 방법임을 기억해야 한다.
마무리 하자면 지원자는 자기소개서에서 수학, 과학 탐구활동 사례와 자기주도학습 사례를 통해 과학고 수업에서 필요한 핵심역량인 탐구 역량과 학습 우수성을 보여줘야 한다. 학교의 일원으로서 성실하게 생활할 수 있는 인성도 덧붙여 드러내야 한다. 이를 가장 효과적으로 어필하기 위해서는 사실에 입각해 활동 과정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작성한 자기소개서가 필요하다. 자기소개서를 작성하기 전에 학교생활기록부와 학습 이력을 적어 놓고 주요 키워드를 뽑아 볼 것을 추천한다. 자신의 역량을 일관성 있게 정리하고, 이를 주요 항목마다 적절히 배분하는 시야를 갖게 될 것이다.
 조선일보

초등생들 "뛰어놀 시간, 공간 필요해요"

요즘 초등학생들 학원과 과외, 시험과 숙제로 시달리느라
방과후에도 놀이터에서 노는 학생들 찾아보기 힘들죠. 한창
마음껏 뛰놀고 싶은 아이들, 볼멘소리 하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학교에서만이라도 정해진 놀이 시간을
보장해 달라는 아이들의 이야기 한번 들어보시죠.
황대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아이들이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은
학교라는 울타리입니다.

하지만, 학교 안 놀이 시간이나 공간은
턱없이 부족하기만 합니다.

인터뷰: 정예인 6학년 / 서울영화초등학교
"이동수업 때문에 쉬는 시간이 많이 못 지켜져서
놀 시간이 많이 없는 것 같아요."

인터뷰: 김진우 6학년 / 서울탑산초등학교
"강당이나 체육관, 과학실 같은 데는 문이 잠겨서
저희가 놀 수가 없어요."

우리나라 18세미만 청소년 열 명 가운데 세 명은
일주일에 하루도 운동을 하지 못합니다. 
아동들의 삶의 만족도는,
벌써 7년째, 경제개발협력기구 국가 가운데
최하위권을 맴돌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아이들이 직접 나섰습니다.
서울 각지에서 모인 47명의 초등학생들은
뛰어놀 시간을 만들기 위한 열띤 토론을 벌였습니다.

‘시간표에 ‘놀이시간’을 넣자’,
‘운동장을 학년별로 구분해서 사용하자’등,
1분이라도 더 놀고 싶은 아이들만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가 쏟아졌습니다. 
인터뷰: 최윤나 6학년 / 서울후암초등학교
"운동장을 오르락내리락 할 때 걸리는 시간을 합해서
재봤더니 4분 정도가 나왔습니다.
옥상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면 오르락내리락 할 때
약 1분 정도가 걸려서 훨씬 더 많고 재미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 같다.)"

아이들은 아이디어를 8가지 정책제안으로 다듬어
서울시교육청에 전달했습니다.


"아이들이 직접 자신들의 이야기를 이야기하고,
어떤 정책결정권자들에게 전달이 됨으로써
사회가 바뀌는 경험을 해보는 것은 아이들에게 성장에 있어서도
굉장히 큰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서울교육청은 초등학생들의 숙제와 시험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다음 학기까지 내놓겠다고 답했습니다.

아이들의 ‘놀이 정책제안’은
전북과 부산시교육청에도 전달될 예정이어서
마음껏 뛰어놀고 싶은 아이들의 바람이
교육현장에 어떻게, 어느 정도 반영될지 주목됩니다.
EBS 뉴스 

돈 조바니 Kiri Te Kanawa - Don Giovanni (English subtitles)



The 1988 Royal Opera House, Covent Gardon production conducted by Colin Davis.

Don Giovanni: Thomas Allen
Donna Elvira: Kiri Te Kanawa
Leporello: Stafford Dean
Donna Anna: Makvala Kasrashvili
Il commendatore: Gwynne Howell
Don Ottavio: Stuart Burrows

Zerlina: Joan Rodgers
Masetto: Gordon Sandison

The Marriage of Figaro 모차르트 오페라<피가로의 결혼>




The 1976 Jean-Pierre Ponnelle film with Hermann Prey, Mirella Freni, Dietrich Fischer-Dieskau, Kiri Te Kanawa & Maria Ewing. Conducted by Karl Böhm with the Wiener Philharmoniker ·

Giacomo Puccini "Madama Butterfly"

Mirella Freni · Plácido Domingo · Christa Ludwig
Robert Kerns · Michel Sénéchal
Wiener Philharmoniker
Herbert von Karajan

Madame Butterfly (1995) 나비부인 English subtitle



O aclamado cineasta Martin Scorsese apresenta: Madame Butterfly, a comovente história de uma bela jovem gueixa que põe em jogo sua família, religião e até a própria vida por seu marido americano. Numa inovação cinematográfica, o diretor Frédéric Mitterrand escala para esta adorada ópera de Puccini um elenco de primeira, que reúne astros asiáticos e ocidentais, o que dá ao filme um realismo impressionante somente visto antes nos palcos. A soprano Ying Huang estrela no papel de Butterfly, a jovem noiva, e o tenor americano Richard Troxell aparece na pele do tenente Pinkerton. O militar compra o amor de Butterfly enquanto serve no Japão, onde ele pretende continuar vivendo e não mais voltar para os Estados Unidos. Espetacularmente musicada e de uma beleza inesquecível, a produção de Madame Butterfly está destinada a se transformar num grande clássico.

2016년 7월 26일 화요일

"뚜렷한 목표가 원동력… 계획대로 움직이다보면 도착"… 행정고시, 사법·회계사 시험 '최연소 합격' 이뤄낸 비결은

다양한 독서·경험 통해 목표 발견
방대한 학습량, 개념 이해가 우선
조급함은 금물… 자신과 경쟁해야

남보다 한 발 앞선 이들에겐 어떤 비결이 있을까. 지난해 행정고시·사법시험·공인회계사 시험 등에서 최연소로 합격한 학생들에게 자신만의 합격 노하우를 들어봤다. 남보다 빨리 성과를 낼 수 있었던 이유 중에는 뚜렷한 목표 설정, 체계적인 계획 등 그들만의 방법이 있었다. 다만, '빠르다'에 대한 강박은 금물이라고 한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긍정을 마음에 새기고 성과에 대한 조급함을 버렸다. LTE급 세상에 자기만의 속도로 최연소 타이틀을 거머쥔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목표설정과 동기부여

5인은 남보다 빠른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요인이 뚜렷한 목표 설정이라고 입을 모았다. 구체적으로 목표를 정하고 나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을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 비교적 오랜 시간을 공부하는 동안에도 꾸준히 공부할 수 있게 이끄는 원동력이 된다.

20세의 나이로 행정고시에 합격한 송동원(21)씨는 어려서부터 일을 하면서 느낄 수 있는 가치를 중요한 직업 선택 기준으로 뒀다. 평생 가져야할 직업이기 때문에 그 일을 하면서 남을 돕고 자신은 행복할 수 있는지를 중히 여겼다. 송씨는 경제학과에 진학하면서 사회 문제의 근본 원인이 경제에 있다고 생각했다. 경제 정책을 만들어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무원이 되겠다고 다짐한 계기다. 그는 "공직에 있지 않으면 이루기 어려운 꿈이기에 시험 응시 동기가 뚜렷했고 절실하게 공부할 수 있었다"고 했다.

홍광범(23)씨는 지난해 최연소로 사법시험을 통과했다. 서울대 자유전공학부에서 여러 전공과목을 공부하던 중 법과 관련한 과목을 듣고 흥미를 느꼈다. 법조인이 되고 싶다는 확신은 사법시험에 도전하는 순간부터 합격할 때까지 내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법시험이 곧 폐지된다는 사실을 알고도 도전하고, 수험 생활 동안 마음이 약해질 때마다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던 건 법조인이 되겠다는 뚜렷한 목표 의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왼쪽부터) 김동현(연세대 경영학과 3), 노건우(KIST 선임연구원), 송동원(서울대 경제학부 3), 양경민(한국과학영재학교 1), 홍광범(서울대 자유전공학부 4).
(왼쪽부터) 김동현(연세대 경영학과 3), 노건우(KIST 선임연구원), 송동원(서울대 경제학부 3), 양경민(한국과학영재학교 1), 홍광범(서울대 자유전공학부 4).
◇개념 이해와 암기는 상호보완적 관계
암기와 개념 이해는 학습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그러면서도 개념을 먼저 이해해야 암기가 수월하다는 데에는 5인 모두가 동의했다.

2015년 최연소 공인회계사인 김동현(22)씨는 "시험에 합격하려면 방대한 학습 내용을 기억해야 한다"며 "개념 이해가 선행돼야 더 효율적으로 암기할 수 있다"고 했다. "각 과목의 중요한 논리를 이해하고 세부사항을 공부해야 기억에 오래 남습니다. 자연스럽게 응용력도 생기고요. 개념 이해를 완벽히 했다면 여러 번 반복하며 암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홍씨 역시 암기의 중요성과 함께 개념 이해가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언급했다. 사법시험에 합격하려면 한정된 시간 안에 자신이 알고 있는 점을 논리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홍씨는 이 때문에 "암기가 필수적"이라면서도 "개념을 전반적으로 이해해야 무작정 암기하는 것보다 효과가 높고 어떤 문제에 특정 쟁점(개념)을 적용할지 판단할 수 있다"고 했다.

일부는 경험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노건우(27) 연구원은 지난 5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 연구원에 임명됐다. 노 연구원은 카이스트에서 1학년을 마칠 때 연구실 생활을 체험했다. 보통 한 연구실만 경험하는 평범한 학생들과 달리 서로 다른 연구실 네 군데를 찾았다. 그는 "MIT 석사 첫 학기 때 연구실을 둘러보고 다양한 논문을 살펴보면서 무엇을 연구할지 정하기만 했다"며 "경험을 통해 내가 원하는 것을 알아보면 뚜렷한 목표 설정이 가능하다"고 했다.

양경민(13)군은 중 1이던 지난해 18.5대 1의 경쟁률을 뚫고 한국과학영재학교에 합격했다. 양군은 초 1 때 500여 권의 책을 읽을 정도로 독서를 많이 했다. 양군은 "독서를 하면서 내가 수학을 좋아한다는 점을 깨달았다"며 "학원은 다니지 않았지만 물건을 살 때 방정식 개념을 배우는 등 좋아하는 수학에 푹 빠져 살았다"고 전했다.

◇성과에 대한 과도한 집착을 버려라

김씨는 수험 생활 내내 자신감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신감을 잃고 불안해하면 결국 시험 결과 또한 부정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공부할 양이 매우 많은 시험의 특성상 시간이 지날수록 잊어버리는 내용이 많고 이때 자신감을 잃으면 악순환이 이어진다. 김씨는 "자신감이 부족하면 공부할 의욕도 떨어지고 긴 수험생활을 견디기 힘들어진다"며 "시험장에서 어려운 문제를 만날 때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을 가져야 본 실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노 연구원은 "조급함을 버리라"고 조언했다. "처음에 MIT에 갔을 때 천재들을 몇 명 봤어요. 이들을 보면서 열등감도 들었는데 지나고 보니 그런 학생들은 전체의 1% 정도에 그치더라고요. 연구하면서 실패를 거듭할 때도 부정적인 생각을 떨쳐 버리려 노력했어요. 성공하기까지는 분명히 실패를 몇 번씩 거쳐야 한다고 생각했죠. 이렇게 연구를 계속하다 보니 새로운 이론을 정립 할 수 있었습니다."
양군은 '남과의 경쟁'보다 '자기 자신과의 싸움'을 주문했다. 남과 비교하고 경쟁심을 가지면 스트레스를 받고 효율이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남보다 잘하려는 것보다 자기 자신의 성장 등을 목표로 삼고 즐겨야 꾸준하게 공부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는 "즐기면서 공부하려 노력했다"며 "덕분에 보람도 느끼고 즐겁게 공부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코딩 공부법

쉬운 책부터 도전해 난도 높여가야… 부모와 함께하면 효과 커"

교육 현장에 코딩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코딩이란 컴퓨터 언어로 프로그램을 짜는 작업을 말한다. 요즘 유행하는 '포켓몬 고'를 비롯해 컴퓨터,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각종 소프트웨어가 이 코딩을 통해 만들어진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은 코딩밖에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이에 사교육은 물론이고 공교육에서도 코딩 배우기에 열심이다. 2000년부터 초등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코딩 교육을 한 김종훈(50) 제주교대 초등컴퓨터교육전공 교수는 이러한 관심을 가장 극적으로 체감하는 인물. 우리나라 최고의 코딩 교육 전문가로 꼽히는 그가 가장 추천하는 접근법은 "시중에 나온 코딩 책 중 가장 쉬운 것부터 골라 따라 해보고 고민해보면서 점점 난도가 높은 것으로 확장해 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코딩 입문서 '슈퍼 코딩'(길벗어린이)을 번역하고 각색해서 펴낸 것도 이 때문이라는 김 교수를 만나 조언을 들어봤다.

◇코딩은 어려운 것, 선입견 버려야그는 최근의 코딩 열풍이 반가우면서도 한편으로는 우려스럽다. 시류에 휩쓸려 정확한 목표 없이 코딩을 접하는 경우를 자주 봤기 때문이다.

"몇 년 전부터 초등생을 대상으로 코딩을 무료로 알려주는 '창의력 컴퓨터 교실'을 운영하고 있는데, 선발 공고가 뜨면 1분 내에 마감될 정도로 인기가 높아요. 이전에는 수학·과학 영재들이 참가자 대다수였다면 이제는 일반 학생들로까지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일단 긍정적입니다. 하지만 시중의 교육 대부분이 흥미 위주로만 머무는 경우가 많아 아쉬워요. 아직도 이공계로 진학할 학생들을 위한 교육이라는 선입견도 있고요."

그는 강연할 때마다 '코딩 교육을 어떻게 시작하면 좋으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그가 교육 기부 형태로 운영하는 블로그(cafe.naver.com/scratchprogramming)에도 똑같은 질문이 매일 올라온다. 그의 대답은 간결하면서도 한결같다. 일단 한 번이라도 직접 경험해보라는 것이다. 이 때문에 그는 코딩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초등 저학년 사이에서 많이 활용하는 언플러그드 컴퓨팅(Unplugged Computing)은 한계가 있다고 주장한다. 언플러그드 컴퓨팅은 컴퓨터 없이 컴퓨터 과학을 학습할 수 있는 놀이활동이다.

"언플러그드 컴퓨팅은 실제 무언가를 제작하는 과정까지 나아가지 않기 때문에 다룰 수 있는 주제가 제한적이죠. 저는 코딩의 가장 큰 목표를 사고력의 확장이라고 봐요.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처리과정을 고민하고, 또 그것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명령어를 생각하면서 사고력이 높아지죠."

최근 코딩 입문서 '슈퍼 코딩: 코딩이 쉬워지는 10가지'를 낸 김종훈 교수가 비트브릭을 활용해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작동하고 있다.
최근 코딩 입문서 '슈퍼 코딩: 코딩이 쉬워지는 10가지'를 낸 김종훈 교수가 비트브릭을 활용해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작동하고 있다./이신영 기자
김 교수는 코딩을 잘하고 싶다면 만드는 재미를 느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교육용 코딩 프로그램인 '스크래치'로 연습해볼 것을 추천한다. 스크래치는 2007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어린이들을 위해 교육용으로 만든 코딩 도구다. 기존 컴퓨터 언어는 동작 하나를 만들기 위해 5줄 이상의 명령어를 입력해야 했지만, 스크래치는 동작 명령어가 저장돼 버튼 하나만 누르면 쉽게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어 쉽게 활용할 수 있다.

이때 부모가 함께하면 효과가 배가 된다. 시중에 나온 스크래치 등을 쉽게 풀어주는 책을 부모가 먼저 살펴보고 아이와 함께 따라 해보라는 것이다. 사전에 '코딩은 어려울 것'이라는 선입견을 버리라고 조언한다.

"제가 이번에 '슈퍼 코딩'이란 책을 낸 이유도 부모와 함께 공부하기를 바라서예요. '슈퍼 코딩' 같은 입문서는 누구나 쉽게 따라 해볼 수 있죠. 책을 보고 자녀와 함께 따라 하면서 관심을 이끄는 것이 좋아요. 아이에게만 코딩 교육을 맡길 경우, 게임에만 머물거나 흥미 이상으로 넘어가기 어렵거든요. 이때 중요한 것은 정답을 강요하지 않는 거예요. 알고리즘을 푸는 방법에는 정해진 답이 없기 때문에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어요. 그리고 예제나 응용문제를 반드시 혼자 풀어보도록 권해보세요."

◇부모와 아이 함께 공부하면 좋아김 교수는 세 자녀에게 초등 저학년 때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을 했다. 첫째 현경(15)양이 초등 3학년 때 코딩을 접한 이후로 수학과 과학에 흥미가 높아진 경험을 한 뒤, 지금까지 실천해오고 있다. 그중 둘째 동건(12)군은 2013년 공개소프트웨어개발자대회에서 초등부 1등을 수상해 미국 실리콘밸리로 연수를 다녀오기도 했다. 지난해에는 한국정보올림피아드에서 장려상도 받았다. 현경양은 초등 6학년 때 정보처리기능사 자격증까지 땄다.

그는 주말을 활용해 2~3시간에 걸쳐 아이들에게 코딩을 익히도록 했다. 옆에 함께 있었지만 절대 만드는 방법을 일방적으로 가르쳐주지 않았다. 난관에 부딪혔을 때만 방향을 제시해주는 정도였다. 또 아이가 한 가지 개념을 배우고 나면 그 원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응용문제를 던줬다. 기본적인 내용을 숙지하고 나서 응용해서 확장해 가다 보면 좀 더 거시적인 수학·과학적 원리를 알 수 있을 것이란 믿음 때문이었다.
 그렇게 주어진 과제를 혼자서 해결하다 보니 아이들의 프로그래밍 실력은 몰라보게 높아졌다.

코딩 교육에 답답해하는 학부모를 위해 김 교수는 "물론 저처럼 똑같이 하라고는 말씀드릴 수는 없겠지만, 아이의 코딩 교육에 소극적이어서는 안 된다"며 "아이가 코딩 책을 놓고 열심히 고민할 수 있도록 여유 시간을 꼭 많이 줘라"고 덧붙였다.
 조선일보

일부 지방선 '비교과=노는 활동'… 학종 준비는 먼 얘기

입시 변화에도 꿈쩍 않는 지방 일반고
입시 정보 부족, 비교과는 부실… 스스로 준비해도 "괜한 짓" 치부
내신 좋아도 스펙 약해 '불합격'… 학교·교사의 인식 변화 시급해

최근 대학 입시는 '학생부종합전형(이하 학종)'을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올해 수시모집에서는 전체 모집인원의 20.3%(7만2101명)를, 내년엔 23.6% (8만3231명)을 학종으로 선발해 그 비중이 계속 커질 전망이다. 특히 수험생 관심이 집중되는 서울권 주요 대학은 학종 선발 비율이 더 높다. 2017학년도 전형만 살펴봐도 서울대 76.8%, 서강대 40.5%, 경희대 40.1%, 한양대 37.6% 등이다. 하지만 이런 현실에도 교육 방식이나 프로그램을 바꾸지 않는 일반고가 적지 않다. 지방에 있는 학교일수록 상황은 더 심각하다. 지방 학부모들은 "입시 정보를 얻기도 어려운데 학교마저 비교과 활동 등에 신경을 안 써주니 학종을 준비할 길이 없다"며 발을 동동 구른다. 입시 변화에도 꼼짝 않는 지방 일반고 문제는 없는지 짚어봤다.

◇"동아리 활동 왜 하느냐"며 때리기도

지방 일반고에 다니는 학생·학부모의 가장 큰 불만은 '부실한 비교과 활동'이다. 학종이 도입되면서 지방 일반고들도 발 빠르게 다양한 교내 대회와 비교과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 학교도 많다. 지방에서 고 3 자녀의 대입 준비를 돕고 있는 학부모 A씨 역시 요즘 수시 원서 접수를 앞두고 걱정이 많다. 딸의 내신성적은 주요 과목에서 한 번 2등급을 받은 것을 빼곤 전부 1등급으로 좋은 편이지만, 비교과 활동 실적이 턱없이 적기 때문이다. 교내경시대회에 빠짐없이 참가해 수상 실적을 챙겼지만, 그 외에는 교내 동아리 활동 2개가 전부다. A씨는 "학교생활을 열심히 했지만 아이 학생부에 적힌 스펙은 '(누구나 하는) 기본 수준'에도 못 미친다. 작년 수시 때 내신이 1점대 초반인 3학년 대부분이 1단계에서 떨어졌는데도, 학교 교육 방식엔 변함이 없더라. 그렇다고 해서 수능 준비를 똑부러지게 시키는 것도 아니고, 자습에만 의존한다"고 말했다.

학생이 자기 관심 분야를 찾아 동아리활동을 하려 해도 "쓸데없는 짓 하지 마라"며 교사가 막기도 한다. 지난해 지방 일반고에서 학종으로 고려대에 합격한 B군은 그야말로 '처절하게' 동아리 활동을 했다. B군은 "고등학교 때 과학 실험 동아리에서 활동했다. (실험 과정에서) 아침마다 과학실에 가서 식물이 얼마나 자랐는지 확인해야 했는데, 담임선생님이 '동아리 활동을 왜 하느냐'며 매일 때렸다. 결국 선생님 몰래 과학실에 다니며 실험을 계속했지만, 자꾸 매를 맞다 보니 '학종을 준비하는 게 정말 잘못인가' 의문이 들더라"고 전했다.

◇시설·지원 열악… 교내 활동도 학생·교사 사비로 해

지방 일반고 3학년에 재학 중인 C군의 상황도 비슷하다. C군의 학교에서는 정규 수업부터 방과후 수업, 밤 11시까지 이어지는 야간 자율학습이 사실상 '의무 참여'다. 토요일에도 학교에서 자습하게 돼 있고, 3학년은 일요일에도 오후부터 자습한다. 이를 지키려면 자율동아리 활동 등이 거의 불가능하다. C군은 "선생님들이 '동아리 모임 한답시고 몇 명이 들락날락하면 분위기만 흐린다'거나 '일부만 그런 활동을 하게 허용하면 불공평하지 않느냐'는 등의 이유를 들며 의무적으로 자습에 참여하게 한다. 학교에서는 동아리나 봉사활동을 할 시간이 없어서 일요일에 짬을 내 겨우 한다. 동아리를 '공부하기 싫어서 하는 활동'으로 생각하는 선생님도 있다. '교사 생활하면서 공부하다 죽은 사람 못 봤으니, 죽을 각오로 공부나 하라'는 얘기만 들었다"고 말했다.
일러스트=나소연
비교과 활동에 대한 관심이 없다 보니 이에 대한 학교 측 지원도 전무(全無)한 경우가 많다. 지방 일반고에서 근무하는 교사 D씨는 "지방 일반고 중에는 시설·환경이 열악한 곳이 많다. 동아리 운영비 지원도 거의 없어 학생·교사의 사비로 활동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학교에 건의하면 '대학 가는 데 도움도 안 되는 것을 왜 하느냐'고 한다"고 토로했다.

학생부 기록에 대한 불만도 크다. 비교과 활동 자체가 부실한데, 그나마 제대로 기록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다. 지방 일반고 3학년인 E군은 "지난해 동아리 활동 내용을 적어 선생님께 제출했는데, 3학년에 올라와서 보니 같은 동아리 친구와 글자 하나까지 똑같이 적혔더라. 그 친구와 성적도 비슷한데, (학생부 기록이 똑같으니) 같은 대학에 지원해도 될지 걱정된다"고 했다. 지방 일반고 2학년인 F군 역시 "1학년 때 담임선생님이 학생부에 전혀 신경을 안 썼다. 학생부를 보여 달라고 해도 '안 된다'고 해서 내용도 확인 못했다. 2학년 올라와서 열람해 보니 장래 희망도 잘못 적히고, 어떤 칸은 글이 중간에 잘려 있더라. 3학년 선배들도 '내 학생부가 몇 장인지조차 몰랐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입시 정보 부족… 진학 지도도 잘 안 돼

입시 지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점도 문제다. 3학년 G양은 "3학년에 올라온 후 '(모의고사 성적을 보니) 올해 정시는 망했다. 너희는 수시 아니면 대학 못 가니 수시에 목숨 걸어라'는 얘길 몇 번이나 들었다. 1학년 때부터 학교가 비교과 활동이나 논술을 준비시킨 적이 없는데, 어떻게 수시로 대학에 가라는 건지 모르겠다"고 했다. 서울에서 대입 컨설팅을 하고 있는 강사 H씨는 "지방 학생을 만나 보면, 모의고사 성적도 좋지 않은데 내신·비교과·논술 등 뭐 하나 제대로 준비된 게 없는 경우가 많다. 3학년인데도 지금까지 전형조차 이해를 못 하더라"고 했다.

한편 지방 일반고의 변화가 더딘 것은 학교·지역 특성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다. 서울의 한 대학 입학사정관 J씨는 "지방 학생들은 소수의 상위권을 제외하면, 지역거점국립대나 (해당 지역에 있는) 지방대에 더 관심이 많다. 지방 대학은 아직까지 학종보다 '학생부교과' 등이 더 강세다. 그래서 고교가 비교과 활동보다 교과 학습에 치중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게다가 '농어촌특별전형'으로 대입 실적을 내는 학교의 경우에는 다른 전형에 별 관심이 없다. 교사 K씨는 "지방 학생 중에는 수시에서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못 넘어 불합격하는 사례가 많다. 학교 입장에서는 '결국 수능 때문에 떨어지는데 비교과 실적을 쌓아서 무엇 하느냐'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그러니 아침부터 밤까지 공부만 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방 일반고가 달라지려면 학교·교사의 인식 변화가 시급하다. 송준식 경북 무학고 교사는 "지금도 아이들이 문제집을 풀고 있지 않으면 '논다고 여기는 교사가 많다. (입시가 변한) 최근 몇 년간 학생들과 실험하고 논문을 작성하거나, 실험 체험 부스를 마련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해왔는데, 그 과정에서 아이들이 꿈을 찾고 학교생활을 즐기는 모습을 봤다. 그랬더니 학종은 저절로 준비되더라. 대입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죽어가는 일반고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이러한 인식 변화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선일보

전국 초등생 국토사랑 글짓기대회 개최… 학교 단체·개인 신청하세요

소년조선일보·국토연구원이 주최하고 교육부·국토교통부가 후원하는 '제21회 전국 초등학생 국토사랑 글짓기대회'가 열린다. 참가비는 없다.

●응모 기간: 9월 9일(금)까지

●주제: ①국내외 친구나 동생 등에게 소개하고 싶은 아름다운 우리 국토 ②내가 살게 될 미래 마을(고장) ③내가 만나 본 우리 고장과 나라를 위해 일하는 사람들 모습(국·공립공원 관리원, 환경미화원 등)


●원고 형식: 산문(생활문·경험담·기행문 등)을 손 글씨로 쓴 것만 가능

●원고 분량: 200자 원고지 10장 내외

●보낼 곳: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구관 3층 조선에듀케이션(국토사랑 글짓기대회 운영사무국)

●문의: (02)724-7831 www.krihs.re.kr

서울대 왔던 외국인 교수들, 줄줄이 떠난다

국제 경쟁력 높인다더니… 외국 경쟁대학에 석학들 빼앗겨

母國 봉사하고자 서울대 택했던 입양아 출신 소렌슨 교수 홍콩行
"처우도 연구환경도 열악해 실망" 한 교수는 연봉 3배 받고 가기도
한국미술 좋아 연봉 절반에 왔던 랠프 샌더 교수도 4년만에 英복귀
"나도 같이 도태될까봐 두려웠다"

엘리 박 소렌슨, 랠프 샌더 사진
엘리 박 소렌슨, 랠프 샌더
한국 입양아 출신으로 첫 서울대 교수로 임용돼 화제를 모았던 엘리 박 소렌슨(37) 교수가 4년 만에 홍콩중문대로 이직한 것으로 25일 확인됐다. 생후 8개월 때 덴마크로 입양된 소렌슨 교수는 런던대학교에서 영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명문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연구교수로 근무하다 2011년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임용됐다. 서울대 관계자는 "소렌슨 교수가 모국(母國)에 봉사하고자 한국행을 택했지만, 외국 대학에 비해 열악한 서울대의 연봉과 연구 환경 등에 실망을 느끼고 조건이 좋은 홍콩 대학으로 떠났다"고 말했다.

서울대가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영입했던 외국인 교수들의 이탈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서울대가 새누리당 이종배 의원에게 제출한 '2016년도 서울대학교 운영 성과 자체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서울대 외국인 전임교원 비율은 5.5%로 2013년(5.5%)과 2014년(5.4%)에 이어 3년째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서울대의 외국인 교원 비율은 10~20%대인 도쿄대·홍콩대·싱가포르국립대 같은 아시아권 대학은 물론 연세대(7.6%)와 고려대(7.0%), 성균관대(6.6%) 등 국내 명문 사립대보다 낮은 수준이다. 이종배 의원은 "서울대가 매년 신규 교수 채용의 10%를 외국인으로 충원하는데도 외국인 비율이 늘지 않는 것은 새로 뽑은 수만큼 그만두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외국인 교수가 서울대를 등지는 이유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적은 월급 때문이다. 서울대 건축학과에서 4년간 근무했던 피터 페레토(44) 교수는 지난해 홍콩중문대로 이직했다. 그는 서울대 봉급의 3배를 보장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대 공대의 한 교수는 "한국인은 서울대 교수라는 명예와 사회적 지위 때문에 연봉이 낮아도 참는 경우가 많다"면서 "그러나 서울대를 큰 영광으로 여기지 않는 외국인 교수는 외국 대학의 높은 연봉 제의를 거절할 이유가 없을 것"이라고 했다. 실제 서울대 교수의 연봉은 주요 사립대보다 낮다. 서울대 평의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대 정교수의 평균 연봉은 1억500만원으로 연세대(1억6200만원)의 65%, 성균관대(1억3400만원)의 80% 수준이었다.
서울대 외국인 전임교원 수 추이 그래프
국제 무대에서 서울대의 순위가 떨어지는 것도 이유다. 랠프 샌더(53) 전 서울대 미대 교수는 원래 몸담고 있던 영국 얼스터 대학의 절반 정도 연봉을 제의받고 서울대에 부임했었다. "연봉에 관계없이 한국 미술을 꼭 경험해보고 싶었다"는 이유였다. 그러나 샌더 교수는 불과 4년 만에 원래 있던 얼스터대학으로 복귀했다. 그는 서울대를 떠나며 "한국과 서울대가 정말 마음에 들지만, 한국 학계가 너무 낙후돼 있어서 나도 같이 도태될까봐 견디기 어려웠다"고 했다고 한다. 지난달 발표된 '2016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 평가'에 따르면 서울대의 '교원당 논문 수'는 1년 만에 21위에서 52위로 떨어졌다. 중국 칭화대(30위)와 일본 도쿄대(36위)는 물론 인도 IIT봄베이(37위), 대만 국립청궁대(45위)보다도 낮은 순위다. 또 교수들이 얼마나 영향력 있는 논문을 썼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인 '논문당 피인용 수'에서도 서울대는 지난해 18위에서 올해 24위로 떨어졌다.
언어 장벽 때문에 자신의 연구를 도와줄대학원생을 구하지 못해 떠나는 교수도 있다. 서울대가 지난해 8월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지난해 3월까지 임용된 외국인 교수 80명은 1인당 평균 4.2명의 대학원생을 지도했다. 서울대 교수가 평균 7~8명의 대학원생을 지도하는 것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이 중 24명(30%)은 한 명의 대학원생도 지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일보

돈 조바니 Don Giovanni, Furtwängler, Salzburg 1954 (English subtitles)


Don Giovanni - Cesare Siepi
Leporello - Otto Edelmann
Donna Anna - Elisabeth Grümmer
Don Ottavio - Anton Dermota
Donna Elvira - Lisa della Casa
Zerlina - Erna Berger
Masetto - Walter Berry
Il commendatore - Dezső Ernster

Conductor - Wilhelm Furtwängler

Carlos Kleiber: La Boheme (Puccini) - La Scala 1979

Milan , La Scala
30 March , 1979 ; Live Recordings
La Scala Milan Orchestra & Chorus

Mimi : Ileana Cotrubas
Rodolfo : Luciano Pavarotti
Marcello : Lorenzo Saccomani
Musseta : Lucia Popp
Schaunard : Giorgio Giorgetti
Colline : Evghenij Nesterenko
Parpignol : Saverio Porzano
Benoit : Claudio Giombi
Alcindore : Alfredo Giacomotti
Sergente dei Doganieri : Carlo Meliciani
Un Doganiere : Giuseppe Morresi
Un Venditore : Regolo Romani

Puccini: La Bohème 라 보엠



Giacomo Puccini: La Bohème -- A Film by Robert Dornhelm -- Anna Netrebko, Rolando Villazón English subtitles

Anna Netrebko, Mimì
Rolando Villazón, Rodolfo
Nicole Cabell, Musetta
Adrian Eröd, Schaunard
Ioan Holender, Alcindoro
Vitalij Kowaljow, Colline
George Von Bergen, Marcello

La Traviata 라트라비아타(English subtitles)



Anna Moffo sings "Follie! ...Sempre libera" (Guiseppe Verdi)
 La Traviata
Anna Moffo in 1968 film with Franco Bonisolli, Gino Bechi; Orchestra and Chorus of the Rome Opera House led by Giuseppe Patanè.
In Italian with optional English subtitles.

토스카 Best Tosca Ever - Kabaivanska Domingo Milnes - Full Movie

Tosca - Giacomo Puccini
Floria Tosca : Raina Kabaivanska
Mario Cavardossi : Placido Domingo
Barone Scarpia : Sherril Milnes
Ambrosian Singers
New Philharmonia Orchestra
Conductor : Bruno Bartoletti
Direction : Gianfranco de Bosio
1976
English subtitle - Full Movie

2016년 7월 21일 목요일

외국인 학교에서 운동과 공부 줄타기

제출기한에 쫒겨 밤새 혹사해가며 과제물을 끝내거나 한 강의실에서 다른 강의실로 허겁지겁 옮겨 다니는 일이 어쩌면 고등학생들에겐 가장 적극적인 운동인지도 모른다.
어마어마한 학습량에 짓눌린 학생들에게 교과 성적과 운동의 균형을 잡는 건 신체적·정신적인 도전 과제다. 하지만 학교 스포츠를 중시하는 미국식 교육이 이뤄지는 외국인학교에서는 누구나 맞닥뜨려야 하는 일이다. 공부와 운동 각각 뛰어난 성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시간을 들여야 하기에 '도전'이라는 말로 밖엔 설명할 수 없다.서울외국인학교를 졸업하고 페퍼다인대 진학 예정인 하사라(18)양은 12학년 때 학교 배구, 농구와 축구 여자 대표팀의 주장이었다. 학과성적을 유지하며 사회생활과 스포츠 활동의 균형을 잡느라 곡예를 했다. 고교 시절의 가장 중요한 마지막 두 학기에는 공부에 올인을 하느라 스포츠에 집중할 기회가 별로 없었다. 사라양은 "4년 전 고등학교 대표팀의 선수로 뽑히는 바람에 운동을 과도하게 많이 했고, 중학교 공부와는 차원이 다른 고등학교 공부에 적응하기가 더 힘들었다"고 이야기하곤 했다. 나이가 들수록 'scholar athlete'(성적을 유지하는 동시에 운동도 잘하는 학생)이란 무엇을 뜻하는지 차츰 알게됐다고 한다. 그는 "나에겐 운동 보다는 학교 공부가 결국 최우선"이라고 말했다.이번 학기 서울외국인학교 11학년이 되는 채김지산양도 지난 학년 학교 배구, 농구와 축구 여자 대표팀의 선수로 활약했다. 지산양은 매일 방과후 두 시간씩 운동부 연습에 할애한다. 산술적으로는 일주일에 10시간의 귀한 공부 시간을 잃는 셈이다. 하지만 그의 생각은 달랐다. "집에 도착하자마자 숙제를 바로 시작하고 점심시간 마다 학교 도서관에 가서 못 끝낸 숙제를 마저 해요. 매 학기 운동을 함으로써 오히려 시간 관리 능력이 많이 좋아졌다고 생각합니다."지산양의 말대로 스포츠로 인해 잃는 것보다 얻는 게 더 많다는 게 전문가의 견해다. 영국의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이 발행하는 학술지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History of Sport'에 따르면, 운동 선수들은 어떤 순간에도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게 훈련 받는다. 어려운 시기가 찾아와도 인내심을 잃지 않고 포기하지 않는다. 특히 팀 운동을 하는 학생들은 협동을 통해 성공하는 법을 배우고, 깊이 인내하는 법도 배운다. 게다가 운동을 열심히 하는 학생들은 상당히 조직적이고 체계적이라고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밖에도 여러 연구가 학교생활에서 공부만 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도 정기적으로 하는 것이 학생들에겐 큰 이득이 될 것이라고 증언하고 있다.나 역시 서울외국인학교 농구 2군팀의 주장으로 뛰었다. 쉬운 일은 아니었다. 내 몸을 챙기고 학교 성적을 유지하는 것에도 많은 노력이 들었지만 그게 끝이 아니었다. 동료 선수들의 농구 실력을 키우고 물, 간식 등을 챙기느라 많은 시간을 빼앗겼다. 하지만 수고한 보람이 있었다. 연습과 시합을 통해 귀한 시간을 함께 보내며 같이 울고 웃는 귀중한 친구들을 사귄 것이다. 또한 농구공을 잡을 때마다 스트레스가 풀려 속이 시원해지는 느낌이었다.
결론적으로, 스포츠는 귀한 시간과 정력이 투자되는 활동이지만, 놀랍게도 그 때문에 학교 성적이나 과제물의 질이 떨어지지는 않았다. 운동은 봉사 정신을 키우고, 스트레스를 푸는데도 도움이 되며, 학교에 대한 소속감도 키우는 장점도 있음을 강조하고 싶다.


중앙일보

한국 vs 미국 고교생 삶은 하늘과 땅 차이

미국에서 보내는 교환학생 이야기 (학교편)

2016년의 첫날은 미국에서 시작했다. 교환학생 제도를 이용해 작년 여름 미국에 왔기 때문이다. 8월에 시작한 1학기가 끝나고 지난 1월에 2학기가 시작됐다. 언어도 문화도 다르지만 늘 새로운 것들을 보고 만나고 배워가는 재미가 크다. 가까운 나라이기도 하고 먼나라이기도 한 이웃나라 미국. 미국의 고등학교는 어떤지 살펴보자.

미국 고교의 구성, 시간표
T.F. Riggs High School의 외관 [사진=T.F. Riggs High School 홍보영상 캡처]
먼저 미국 고교의 학년 구분은 9학년부터 12학년으로 구분되며 학년별로 프레시맨·소포모어·주니어·시니어라 불린다. 나는 현재 약 850명 가량의 학생이 있는 티에프 릭스 하이스쿨(T.F. Riggs High School)에 다니고 있다.

등교시간은 수업시작시간이기도 한 오전 8시 15분. 학교가 끝나는 시간은 오후 3시 2분이다. 수업시간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50분이다. 하루 일과는 7교시로 구성되어 있다.

쉬는 시간은 단 4분이다. 이동수업이지만 거리가 길지 않아 4분이면 적당하고 만약 화장실이나 락커에 가야하는데 쉬는 시간이 끝났다면 현재 수업 담당 선생님께 복도 통행증를 받거나 구두허락을 받아야 한다.

점심시간은 25분이다. 특이하게도 우리학교는 A·B·C 런치로 나뉘어 있는데 4교시가 3개로 25분씩 나누어져 있다. 예를 들어 점심이 A런치면 3교시가 끝난후 25분 동안 점심을 먹으러 가고 남은 B, C 런치 시간에 4교시 수업을 들으러 가는 것이다. 점심은 유료로 제공되는 급식을 이용하기도 하고 도시락을 싸오거나 외부에서 먹어도 된다.

미국의 고등학교는 학교 등교시간·쉬는시간·점심시간·하교시간 등이 학교별로 모두 다르다. 학생의 수, 스쿨버스 운행의 여부, 학교 접근성 등 여러가지를 고려하기 때문이다.

미국 고교의 수업
수업 중인 교실 [사진=T.F. Riggs High School 홍보영상 캡처]
수업은 대학교처럼 자유선택이다. 기초 수업과 심화 수업을 포함해 총 100개의 수업을 선택할 수 있는데, 크게 수학·과학·국어와 함께 비즈니스·컴퓨터·외국어·연극·영양학·인문학·미술·공예·밴드·사회과학 그리고 기술학으로 나뉜다. 이것들은 다시 상세하게 나뉘는데, 사회과학의 경우 세계사·미국사·경제학·원주민학·사회학·정부수업·심리학·최신 사회 소식 수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2학기의 시간표. 1학기에 수학2·미국사·도예·미술 소묘·영어 말하기·밴드 기초수업을 수강했다. 2학기엔 콘서트 밴드·미국사·수학2·애니메이션·콘서트 합창·영어 쓰기+문학을 수강한다. 일주일에 1~2회 하교 전 재즈밴드 연주를 하고, 방과후 운동 경기가 있는 날에는 학교 팹밴드와 함께 연주를 한다. (팹밴드: 스포츠 경기에서 연주하는 학교 악단)

학교 성적은 1분기 성적 40%·2분기 성적 40%·학기시험(기말고사) 20%로 구성된다. 성적은 숙제·퀴즈·테스트 등으로 평가한다. 퀴즈와 테스트는 단원평가 같은 것인데 일주일에 한 번씩 본다. 현재 점수가 낮다면 선생님께 직접 찾아가 추가 숙제를 받거나 봉사활동 등으로 약간이나마 올릴 수도 있다.

성적은 3일 내에 반영된다. 학교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관리 사이트를 통해 오늘 제출 한 숙제, 오늘 친 퀴즈나 테스트의 결과를 금방 알 수 있다. 선생님마다 다르지만 원하면 퀴즈나 테스트를 선생님의 동의하에 미룰 수도 있다.

한가지 놀라운 점은 '치치페이퍼(Cheat-Cheat Paper)'라 불리는 컨닝페이퍼가 허용이 된다는 점이다. 오픈북과 비슷한 것 같지만, 오직 A4용지의 한 면에 반드시 손으로 쓴 것이어야 한다는 점이 다르다. 한정된 지면에 효과적으로 요점을 정리하는 작업도 공부의 하나라고 보는 것 같다. 학교마다 다르지만 나의 경우는 1학기 수학 학기시험 때 사용해봤다.

미국 고교의 학교 규칙과 수업 분위기
미국 학교의 수업 분위기는 교사 재량에 따라 다르다. [사진=T.F. Riggs High School 홍보영상 캡처]
미국은 다양한 인종이 모여 국가를 구성한 나라이기 때문에 이러한 개인의 개성과 다양성이 존중된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복장, 두발 그리고 화장에 너그러운 학교규칙
복장, 두발 그리고 화장에 너그러운 학교규칙

미국 고교의 장점 중 하나는 복장, 두발 그리고 화장에 너그러운 학교규칙이다. 대부분의 공립학교는 복장제한이 크지 않다. 일반적인 사복 패션으로 과도한 성적 노출만 없으면 제한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학교에서 힙합 패션, 스트릿 패션, 트레이닝 패션 등 매우 다양한 복장들을 만날 수 있다.

두발 또한 삭발을 하든 머리를 세우든 머리가 길고 짧거나 헤어펌 등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컬러렌즈 착용, 화장 역시 문제가 되지 않는다. 금지되는 것은 18세 이하의 흡연과 마약이다. 현재 사우스다코타 법령에 따라 흡연은 18세 이상의 연령만 할 수 있다. 따라서 18세가 넘은 학생들은 학교 안에서만 흡연하지 않으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마약에 관한 법령은 주마다 다르지만 사우스다코타 내에선 마약을 금지한다.

미국 학교의 수업 분위기는 한국의 학교 보다 자유롭다. 수업 별 교사 별로 다르지만 대부분 수업시간에 껌 씹기·턱 괴기·다리 꼬기, 심지어 음료수를 마셔도 상관이 없다. 또한 가끔 수업 대신 자유시간을 갖거나 화창한 날은 야외에서 산책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자유로운 수업 분위기는 한국처럼 빡빡한 진도 쫓기에 연연하지 않고 자유로운 학칙과 개방적인 교사의 생각 그리고 다분히 미국적인 개인주의가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미국 고등학교의 방과후

여학생 방과후 농구. [사진=Grandpre Photography]

T.F.Riggs High School에서는 미식축구, 농구, 펍밴드 등의 다양한 방과후 활동을 한다. [사진=grandpre photography]

미국의 10대 문화는 한국과는 무척 다르다. 방과후에 야간자율학습을 하거나 학원을 가는 한국의 학생과 달리 대다수 미국 학생은 학교 운동부나 악기 연주 또는 독서로 시간을 보낸다. 평일 방과후 스케이팅, 어린이 놀이공원 봉사 또는 영화를 보러가거나 운동을 하러 가는 학생들도 상당히 많다. 방과후에 친구와 차를 타고 드라이브를 가는 친구들도 많다.

이는 대중교통으로 등하교하는 한국과는 달리 미국에선 14세가 넘으면 면허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재학생 80%가 아르바이트로 용돈과 학비 마련
재학생 80%가 아르바이트로 용돈과 학비 마련

현재 재학 중인 학교의 경우, 일을 하는 학생이 80% 가량 된다. 학교는 학생들의 일자리에 대해 제한하지 않으며 간접적으로 도움을 준다. 구인공고를 위한 게시판을 따로 만들어 둔 것이 대표적인 예다.

방과후는 물론 주말에도 일을 하러 가는데, 많은 경우 용돈벌이를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지만 대학 학비를 미리 마련하려는 경우도 적지 않다. 드물지만 스스로의 미래를 위해 직접 커뮤니티를 꾸리거나 사업을 벌이는 경우도 있다.

운동부나 밴드 또는 합창부에 속한 학생들은 경기나 공연이 있으면 방과후에 학교 (혹은 외부)에서 경기 또는 공연을 한다. 나는 일주일에 한 번 수업 전 또는 방과후에 재즈밴드와 팹밴드를 하고 간혹 합창부 공연에 참여한다.

교환학생 입장에서 체험한 미국 학교의 최대 장점은 원하는 수업을 직접 선택하는 것과 방과후 시간을 스스로 활용하는 것이었다.

미국 수능 SAT, 이것만은 알아두자


SAT란 무엇인가?
SAT란, 미국 Collegeboard사에서 주관하는 학업 능력 시험이다. 포괄적으로는 학업 수행의 바탕이 되는 이해력과 사고력 측정을 위한 SAT I과 학생의 세부 과목 별 능력을 따로 평가하는 SAT II로 나뉘는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SAT는 둘 중에 SAT I을 가리킨다. 실제로 미국 대학 진학 때 비중이 더 크다.  SAT II는 학생이 대학에 진학하기 전 고등학교 생활을 통해 얻은 지식을 테스트하는 반면 SAT I 점수는 학생이 대학에 진학한 후의 수학 능력과 가능성을 측정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부분의 미국 대학이 지원할 때 SAT I이나 ACT 둘 중 하나의 점수는 꼭 요구하지만 SAT II는 필수가 아닌 대학도 있다. 하지만, 중요할 수록 더 많은 인고와 노력이 필요한 법! 자신 있는 과목을  선택하여 치를 수 있는 시험인 SAT II보다 선택의 여지가 없는 SAT I이 대부분의 학생들을 더 애먹인다. 그러므로 여기선 SAT I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표 1: SAT의 구성]
[표 1: SAT의 구성]
<표 1>에서 보듯, SAT는 크게 비판적 독해, 문법과 논술, 수학의 세 개의 파트로 이루어져 있다. 실제로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섹션은 파트 당 세 개씩 9개지만, 25분짜리 Experimental section (실험 섹션)이 하나 더 추가되어 총 열 개의 섹션을 풀어야 하고 시간은 3시간 45분이 주어진다. 각 파트에서 200~ 800점까지 주어지는데, 총 세 개의 부분이 있으니 2400점이 만점이다. Writing 파트에 포함되는 에세이는 대부분 두 명의 시험관이 채점하며, 각 6점 만점의 범위에서 점수를 매긴다. 두 시험관의 점수가 합산되어 12점 만점에서 최종 점수가 결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두 점수가 1점 이상 차이가 날 경우에는 제 3의 시험관이 추가 채점을 한다.
2. New SAT는 어떤 점이 달라지는가?
올해 SAT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가장 촉각을 가장 곤두세웠던 이슈는 아마도내년 3월 시험에 처음 시행되는 New SAT의 등장이었을 것이다. 현재 SAT를 칠 나이의 학생들, 앞으로 시험을 칠 것을 생각하며 열심히 준비하고 있는 학생들 구분 없이 시험의 전면 개편을 걱정 반, 기대 반으로 지켜 보고 있다. New SAT와 현재 시행 되고 있는 Current SAT의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표2: New SAT의 구성]
[표2: New SAT의 구성]
위 도표에서 나타나듯이, 개편되는 SAT는 시간과 문제 유형, 그리고 문제 수 등 다방면에서 바뀐다. <표2>에 정리되어 있는 각 부분의 변화를 제외하고 New SAT에서 가장 눈여겨 볼 만한 변화는 바로 채점 방식의 변화이다.
지금까지 Collegeboard는 수험생들이 객관식 문제에서 일방적으로 답을 찍어 맞추는 것을 막기 위해 오답마다 0.25점을 감점 처리 하는 방식을 고수해 왔지만, 새로 시행 될 New SAT에서는 이런 방침을 없애기로 결정했다. 오답 감점 정책이 학생들로 하여금 문제에 대한 최선의 답을 고르는 것을 부당하게 방지한다는 지적 때문이다. 이로 인해 현 SAT 수험생들의 큰 고민거리이던 omit (답 생략) 여부는 더 이상 SAT 문제 풀이에서 고민하지 않아도 될 듯하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영작문에 부담을 느끼는 학생들의 고민은 새로운 SAT에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비록 New SAT에서는 Essay 섹션이 필수 사항에서 선택 사항으로 바뀌었지만, 학생의 작문 능력을 평가하고 싶어하는 대학교 측에서 계속 Essay 점수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지역마다 4~5번의 기존 SAT 시험이 남아 있는 상황에서 현재 SAT와 개편될 SAT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는 학생들이 많다. 세한 아카데미의 김철영 원장에 따르면 새로운 SAT는 더 어려워진다. 고급 어휘만 암기하면 비교적 간단하게 점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던 부분인 sentence completion이 없어지고, 한국 학생들에게 유리했던 Writing의 문법 부분과 수학 파트가 바뀌기 때문이다.
3. NEW SAT 공략 꿀팁
한국 학생이라면 누구나, 어릴 때부터 어른들에게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 온 말이 있을 것이다. 바로, 다독 (多讀), 즉 많이 읽는 것의 중요성이다. 하지만 아이들에게는 책 읽기가 막연히 “꼭 해야 하는 일”, “게을리하면 어른들에게 꾸지람을 받을 일” 정도로 인식되곤 한다. 물론 필자도 예외는 아니었다. 최근까지 독서를 취미로 꾸준히 즐겨 왔지만, 왜 어른들이 그토록 독서를 권장하는지 이해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아직 SAT를 칠 나이는 아니지만 미리부터 준비 하고 싶은 학생들은 목표 의식을 갖고 독서를 해야 한다. SAT 고득점을 위해서는 어린 나이부터 꾸준히 갈고 닦아 온 독해력, 즉, 독서가 필수이기 때문이다. 김철영 원장에 따르면, New SAT는 한국의 수능과는 달리, 대학에서 수업을 받는다고 가정할 때, 그 학생의 잠재력이 얼마나 되는지를 평가하는 시험이다. 그러므로, 수준급의 독해력과 분석력을 키우는 방향의 학습이 전제되어야 대처가 가능하다. 다년간의 독서로 다 진 비판적 사고력이 답이라는 이야기다. SAT를 준비하고 있거나 본격적인 준비를 앞둔 학생들이여, 많이 읽자! 읽는 자에게 복이 있나니!
4. SAT 교재 리뷰
마지막으로, SAT 참고서는 크게 Collegeboard에서 출판한 공식적인 참고서와 개인 출판사에서 편집한 비공식적인 참고서로 나뉜다. 필자도 SAT를 준비하면서 여러 가지 교재를 풀어 봤지만, 역시 공식 문제집이 난이도, 문제 유형 측면에서 실제 시험과 가장 근접하다. 때문에 SAT 대비 학원들 중 대다수도 이 공식 문제집을 중심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하지만, 달랑 공식 문제집 하나만 푸는 것으로는 완벽하게 대비하기에 부족한 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필자의 경험을 토대로 실제 시험과 가장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문제집들을 주관적으로 골라 보았다.
sat2
추천 교재 #1: 명불허전 The Official SAT Study Guide
난이도: 3/5
유사율: 5/5
리뷰: SAT를 준비하면서 빠질 수 없는 존재인 Practice Test가 10개나 들어있다. 그리고 SAT 주관사에서 공식적으로 편찬한 문제집인 만큼, 실제 시험과 문제 유형이나 난이도 등 모든 점에서 가장 유사하다. 비록 어려운 문제들을 많이 수록한 책은 아니지만, SAT를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풀고 넘어가야 할 만큼 중요한 책이다. 아니, 두 번, 세 번 풀어도 되는 책이다.
sat3
추천 교재 #2: 연습 문제가 많이 필요할 때 안성맞춤! 11 Practice Tests for the SAT & PSAT
난이도: 3/5
유사율: 4/5
리뷰: 보기 드물게 많은 Practice Test를 포함하고 있어 연습용으로 적합하다. 무려 11개의 Practice Test를 제공한다. 사람마다 다를 수 있지만, 필자가 얼마 전 친 실제 SAT문제와 비교할 때, 문제의 출제 성향이나 유형은 확실히 차이가 있다. 하지만, 학생들을 교란하기 위해 만들어진 터무니 없이 어렵거나 까다로운 문제들은 적어 난이도에서는 실제 문제와 굉장히 유사하다.
추천 교재 #3: SAT 준비의 마지막 단계! 어려운 문제 대비! Barron’s SAT
난이도: 5/5
유사율: 3.5/5
리뷰: 어려운 문제를 찾는 학생들에게 여러 학원 선생님들이 가장 많이 추천하는 책이다. SAT의 기본 문제집을 완벽하게 학습하고 나서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어려운 문제로 실력을 더 다지고 싶은 학생들에게 추천할 만 하다. 하지만 객관적으로 봤을 때, 분명히 문제의 난이도는 실제 SAT 문제보다 훨씬 높다. 
추천 교재 #4: Kaplan SAT Premier 2015 with 8 Practice Tests
난이도: 3/5
유사율: 3/5
리뷰: 사설 문제집 중 Princeton Review, Barron’s만큼 유명한 책이다. 하지만, 전에 언급했던 두 출판사의 문제집과는 다르게, 이 책은 실제 시험과 폰트나 페이지 레이아웃 등에서 약간 차이가 있어서 실제 SAT 시험지를 봤을 때 낯설거나 이질감이 느껴질 수 있다. 그러므로, Kaplan에서 출판된 책으로 연습할 때에는 항상 실제 시험지의 느낌과는 사뭇 다르다는 것을 항상 유념하는 것이 좋겠다.

2016년 7월 12일 화요일

세종 때 관료들의 필독서가 된 수학책

아니 되옵니다

세종 때의 문신 신인손(辛引孫,1384∼1445)은 강직한 사람이다. 그는 아첨을 못하고 직언을 잘했다. ‘아니 되옵니다’는 그의 전매특허이다. 세종17년 (1435)8월 19일의 일이다.

당시 임금이 관리를 임명할 때 50일 이내에 대간(사헌부·사간원)이 임명장에 동의하지 않으면 해당 관리는 취임할 수 없는 인사검증시스템인 ‘서경’이 있었다. 대간들은 비공개로 3번이나 모여 철저히 심사한 뒤 동의여부를 임금에게 보고한다. 위대한 임금 세종조차 이것을 두고 못마땅하게 여겼다. 세종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임용되는 사람의 하자(瑕疵)를 신하들이 아래에서 의논하고 있는데도, 임금이 홀로 위에서 알지 못하고 있는 것이 어찌 옳겠는가?”

그러자 도승지 신인손 등은 “아니 되옵니다”를 외친다.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비공개 청문회의 일을 주상께 자세히 보고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렇게 되면 마음대로 발언하기 어렵습니다.”

다시 세종은 말한다.
“과인이 당사자의 하자 사유를 모두 듣고자 함은 아니다. 다만 의논한 사항을 간략하게만 보고해 달라는 것이다.”

“아니 되옵니다.”

또 세종22년(1440)10월 15일에 이런 일도 있었다.

세종이 대신에게 이르기를, “왜인들이 여러 번 고초도(孤草島)에서 물고기를 잡고자 청하였다. 내 생각으로는, 이 섬에서 왜인들로 하여금 왕래하며 물고기를 잡게 하되, 그 세금을 국가에 바치게 하면 저들은 모두가 기뻐할 것이요, 그 땅도 잃지 않을 것이니, 어떻게 하면 좋겠는가.” 하니, 병조 참판 신인손 등이 원래 우리의 땅인 대마도의 예를 들어 “아니 되옵니다.”한다.

이런 신인손 대감이 ‘아니 되옵니다’를 말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세종이 좋아하는 일을 한 적이 있다.

수학책을 진상
세종실록 15년(1433)8월 25일의 기사를 보자.

경상도 감사가 새로 인쇄한 송나라의 양휘산법(楊輝算法) 100 건을 진상하므로, 집현전과 호조와 서운관의 습산국에 나누어 하사하였다.
○慶尙道監司進新刊宋《楊輝算法》一百件, 分賜集賢殿、戶曹, 書雲觀習算局。
양휘산법. /문화재청
양휘산법. /문화재청
여기서 경상도 감사는 우리의 신인손 대감이다. 경상도 감사는 막강한 권력을 가진 경상도 원님들의 우두머리이다. 경상감사가 중국수학의 전성기인 남송(南宋)의 양휘(楊輝,1238∼1298)의 수학책 ‘양휘산법’을 구해서 한자 한자 나무에 새긴 다음, 옛날이나 지금이나 값비싼 한지에 찍어 경주에서 서울로 보낸 사실은 보통 일이 아니다. 집현전에 사서삼경이 아닌 수학책이 주어진 사실도 흥미롭다. 당시 최고의 엘리트 집단의 서고에는 수학책이 꽂혀 있었고, 그 곳에서 한번이라도 누군가 수학공부를 했으리라. 밤새 공부하다가 엎드려 잠이 든 성삼문에게 세종이 자신의 용포를 덮어주었을 때, 성삼문이 보고 있었던 책은 ‘수학 책’일지도 모른다. 이 책을 나누어준 지금의 기획재정부인 호조는 당연히 수학 책이 필요한 관청이고, 서운관의 습산국은 지금의 기상청과 천문대의 계산을 담당하는 곳이다.

일본, 수학에 눈뜨다

임진왜란 때 신인손 대감의 양휘산법은 다른 문화재처럼 일본에게 약탈되어 일본으로 간다. 일본의 수학은 양휘산법 이전의 ‘수학’ 문맹의 시대와 그 이후의 ‘수학’에 눈을 뜬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일본은 그들의 수학을 ‘화산(和算)’이라 하여 마치 동양의 수학을 대표하는 듯이 이야기한다
.
조선시대 산학자를 뽑는 시험의 텍스트이자 그 이후의 많은 수학서가 자주 인용한 이 책은 2012년에 드디어 보물 1755호로 지정된다. 일본으로 간 신인손 대감의 수학책은 일부가 다시 중국으로 가서 중국에는 이미 멸실된 양휘산법의 맥을 이어준다. 반환이 두려워서 드러내놓고 이 책이 있다고 자랑 못하는 일본은 아비를 아비라 부르지 못하는 경우라 할 것이다.

이 양휘산법은 세종이 직접 공부한 계몽산법과 더불어 그 당시의 고급 수학책이다. 특히 이 책은 수학을 어떻게 배워야 하는지를 잘 안내하고 있다. 내용면에서도 급수, 수열, 분배, 마방진, 비례, 측량, 고차연립방정식 같은 것들을 담고 있다.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로 유명한 고산 윤 선도(尹善道,1587~1671)의 해남에 있는 서재, 녹우당(綠雨堂)에도 이 책의 필사본이 있다. 이 책에 있는 재미있는 문제를 소개한다.

도둑들이 비단을 훔쳤는데, 한 명당 6필씩 나누면 모두 6필이 남고, 한 명당 7필씩 나누면 모두 7필이 모자란다면 도둑들과 비단은 각각 얼마나 되는가?

이 문제에서 옛 사람들의 유머와 여유를 볼 수 있다. 물론 지금 모든 수학시험에서는 도둑을 소재로 문항제작이 불가능하지만.

답은 도둑이 13명이고 비단은 84필이다. 한번 풀어보시라.

청와대에 수학책을
양휘산법 /문화재청
양휘산법 /문화재청
영조와 정조 때의 대학자 황윤석(黃胤錫,1729~1791)은 그의 이재유고(頤齋遺藁)에서 세종이 명을 내려 이 책을 발간했다고 기록했다. 물론 세종 때의 각도의 감사(관찰사)들은 막대한 공과 경비가 드는 책을 간행했던 기록이 있다. 만약 왕명이 없었다면 세종이 좋아할 것을 정확히 알았던 신 인손은 명신(名臣)이리라.

왕명이 있었다 하면, 신인손 대감은 이번에는 ‘아니 되옵니다’라는 말씀을 안하고 동양 삼국의 보물 수학책을 만들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 분은 이 후, 다시 서울로 돌아와 승승장구 끝에 벼슬이 당상관인 병조판서, 예문관 대제학에 이른다.

33살에 수학을 공부한 왕(세종 12년, 1430년)에게 수학을 공부하면 임금이 ‘성인(聖人)들’처럼 되길 기대하는 신하가 그 3년 뒤 수학책을 바친 것은 우연이었을까? 필연이었을까? 절명할 뻔한 동양수학에 숨통을 불어 넣은 이 책의 간행은 신하의 선물인가? 아니면 임금의 명령인가?

그 어떤 추측을 하더라도 수학책은 청와대로 갔었고, 그 책은 관료들의 필독서였다.

수학이 얼마나 필요한지 아는 임금이나, 그것을 알고 최선을 다해 귀중한 동양수학의 맥을 잇는 책을 선물한 신하나, 훌륭함에 있어 용호상박이다.
바야흐로 조선수학의 황금시대였다.

 프리미엄조선

서울대 지역격차 해소? 강남 3구 여전히 강세

2012~2016년 신입생 보니]

지난 5년간 서울대 신입생 가운데 서울 출신 비율이 매년 40% 선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서울 출신 신입생 가운데 31%는 강남·서초·송파 등 이른바 '강남 3구' 출신이었다. 서울대는 지난 2012년 교육부로부터 인사와 재정을 간섭받지 않는 '법인화(法人化)'를 추진하며 "소외 계층과 소외 지역 인재를 적극 선발하겠다"고 했지만, 신입생 출신 지역별 분포는 변하지 않은 것이다.

11일 서울대가 새누리당 이종배 의원에게 제출한 '2012~2016학년도 서울특별시 구별 합격자 현황'에 따르면 전체 서울 출신 신입생 비율은 2012년 40.2%, 2014년 40%, 2016년 40.4%였다. 또 5년간 서울대에 입학한 서울 출신 신입생 6281명 가운데 강남 3구 출신이 1950명으로 31%를 차지했다.
- 법인화 5년에도 요지부동
강남 248·서초 102·송파구 64명…
올 서울출신 합격자 중 31% 차지

종로 182·광진 117·은평구 82명…
자사고·특목고 있는 곳 성적 좋아

"소외지역 인재 선발 더 노력해야"
특히 강남구 출신 신입생은 2012년 224명, 2014년 209명, 2016년 248명 등으로 한 번도 200명 밑으로 떨어지지 않았다. 강남구 한 곳의 서울대 신입생이 부산(165명), 대구(146명), 인천(130명), 광주(97명), 대전(96명), 울산(58명) 등 다른 광역시보다 더 많았다. 이 자료는 서울대 신입생이 졸업한 고등학교를 기준으로 출신 지역을 구분했다.

반면 서울 25개 구 가운데 금천구와 중랑구 두 곳은 5년 동안 서울대 진학자 수가 10명을 넘긴 적이 한 번도 없었다. 중랑구의 인구는 41만8341명으로 강남구(57만8862명)의 72%지만, 올해 서울대 신입생 수는 7명으로 강남구 출신(248명)의 2.8%에 그쳤다. 이 두 곳을 포함해 강북구·동대문구·영등포구 등 9개 구도 매년 서울대 신입생 수가 20명을 넘지 못했다. 이 9개 구 출신을 다 합쳐도 강남구 출신보다 적었다.
올해 서울대 신입생을 많이 배출한 구는 강남구(248명)에 이어 종로구(182명), 광진구(117명), 서초구(102명), 은평구(82명), 강서구(71명), 송파구(64명) 등의 순이었다. 종로·광진·은평·강서구처럼 강남 3구가 아닌 곳에서 서울대 신입생을 많이 배출한 것은 명문 자사고와 특목고가 있기 때문이다. 올해 각각 75명과 73명의 서울대 합격자를 낸 서울예고와 서울과학고는 종로구에 있다. 광진구에는 대원외고(서울대 69명 합격), 은평구에는 하나고(59명 합격)가 있다.

서울대는 법인화 이후 학생 선발의 다양성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 제도를 도입했다. 지역균형선발전형 등 수시 선발 인원을 늘리고 정시 선발 인원을 줄였다. 실제로 법인화 이전인 2011학년도에는 정시에서 1212명(35%)을 선발했으나 2016년에는 766명(24.4%)만을 뽑았다. 또 지난해에는 특목고와 영재고 출신의 집중을 막기 위해 수시전형 때 자기소개서와 추천서 등에 국제올림피아드 같은 각종 외부 대회 입상 실적을 적지 못하도록 했다.

하지만 지난 5년간 입시제도의 변화에도 강남 3구의 아성(牙城)은 흔들리지 않았다. 이종배 의원은 "교육 격차 해소는 법인화 과정에서 서울대가 국민에게 했던 약속"이라며 "서울대가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해 보다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선닷컴

서울 세종과학고, 12~14일 '제8회 수학체험전' 개최

서울시교육청 관내 세종과학고등학교는 12~14일 '제8회 수학체험전'을 개최한다.

초·중·고등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이번 행사는 수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실험과 활동으로 구성되며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한다. '상상을 현실로, 세상을 움직이는 수학이야기'라는 주제로 재학생들이 직접 '악기 만들기', '암호', '황금분할' 등 37개의 수학체험 부스를 운영한다.

또한 '대칭성의 수학', '인공지능' 등 수학, 과학, 첨단기술 관련 주제들을 관람객들에게 알기 쉽게 설명해주는 학생 강연 프로그램이 하루에 5회씩 진행된다.

세종과학고는 "이번 수학체험전을 통해 서울 전역의 학생들이 수학과 과학에 대해 흥미와 호기심을 갖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뉴스1코리아

절대평가하니 경쟁 대신 협력… 정답 아닌 내 생각을 담는다”


고려대, 無시험감독 - 無상대평가 - 無출석확인 ‘3無 실험’ 1년


동아일보

“출석을 불러야만 수업에 나오는 수동적인 학생은 필요 없다. 학점을 잘 받으려고 저학년 수업을 재수강하는 약삭빠른 학생도 도전정신을 강조하는 고려대와 맞지 않는다. 시험은 정답이 아니라 자신의 생각을 적는 것이므로 감독도 없애는 것이 맞다.”

염재호 고려대 총장은 올해 4월 초 신입생 대상 강연에서 이렇게 말하며 자신이 추진하는 ‘3무(無) 정책’에 대해 강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지난해 3월 취임한 염 총장은 그해 2학기부터 출석 확인, 시험 감독, 상대평가가 없는 3무 정책을 적극 장려했다. 시험 때 부정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명예 서약’을 하는 학교는 많지만 정책적 차원에서 이 세 가지를 없애겠다고 나선 대학은 고려대가 대표적이다.

고려대의 3무 정책은 학과나 교수가 자율적으로 도입을 결정하기 때문에 현재 전체 수업의 절반 정도에서 시행되고 있다. 실제로 절대평가 비율은 크게 늘었지만 무감독 시험이나 출석 확인 자율화를 하는 곳은 상대적으로 적다.

염 총장의 3무 실험 1년. 그동안 고려대에서는 어떤 일들이 일어났을까.

○ 학생들, 절대평가에 가장 호의적

시험출제 방향이나 분위기가 눈에 띄게 달라졌다. 시험은 객관식이나 단답형 위주에서 문제 해결, 대안 제시 등 학생들의 생각을 요구하는 질문들이 많아졌다. 이론의 현실 적용이나 논리적 사고방식이 중요한 인문대, 사회대에서는 책을 보며 시험을 치는 ‘오픈북’이나 집에서 과제를 제출하는 ‘테이크홈’의 비중도 늘었다.

권정환 환경생태공학부 교수는 “어차피 인터넷에는 모든 자료가 공개돼 있다. 암기가 아니라 자기가 아는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인재의 역량이다. 대학 학문 추구의 핵심은 자율성인데 그런 취지에 부합하는 게 무감독 시험”이라고 설명했다. 엄주영 씨(21·미디어학과 3학년)는 “무감독 시험을 한 번 본 적이 있는데 교수님이 우리를 믿어준다는 느낌을 받았다. 양심적으로 시험을 치를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학생들은 특히 절대평가에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상대평가 때는 동료가 곧 경쟁자였기 때문에 견제와 압박도 알게 모르게 느꼈지만 이제는 서로 신뢰하며 같이 공부할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졌다. 최시영 씨(23·경영학과 3학년)는 “친구를 이기기 위한 공부가 아니라 내가 무언가를 알기 위해 공부하게 됐다. 친구와 편하게 지식을 교환하고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어 좋다”고 했다.

일부에서는 “제도 자체에 대해 체감하지 못하겠다”거나 “부정행위를 방조한다”, “서술형 시험 평가 방식이 너무나 모호하다”는 등의 부정적인 반응도 나왔다. 학교를 몇 번밖에 오지 않는 학생이 꼬박꼬박 출석하는 성실한 친구보다 더 좋은 학점을 받는 것이 부당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학생들은 “취지는 공감하지만, 3무 정책이 제대로 시행되려면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학점 기준이나 채점안 마련이 선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 세계적 대학에서 3무 정책은 상식

세계적인 대학에서 3무 정책은 이미 보편적이다. 미국 다트머스대에 재학 중인 손모 씨는 “시험 때 감독관은 학생들의 질문에 대비하기 위해 오는 것뿐이다. 교실에는 감독관이 자리를 떠도 학생들이 부정행위를 하지 않는다는 믿음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미국 육군사관학교 웨스트포인트와 프린스턴대 등에서는 부정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명예서약을 하고 시험을 치른다. 시험감독을 하는 교수나 조교도 없다. 이런 방식이 학생의 자율성을 고취시키고 자발적인 협업을 통해 학문 수준을 높일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고려대의 3무 실험에 대해 “한국 대학 교육의 왜곡된 현실을 바로잡는 의미 있는 시도”라고 평가했다. 그동안 경쟁 지상주의, 무조건적 줄 세우기식 평가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노중기 전국교수노동조합 위원장은 “3무 정책 자체만으로 대학을 혁신하기엔 한계가 있지만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을 믿고, 그들이 책임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중요한 실험이다”라고 평가했다. 배상훈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고려대의 3무 실험은 ‘신뢰’라는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좋은 시도라 생각한다. 다른 대학들도 이런 제도를 많이 채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3무 실험이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세미나 강좌와 토론 문화 등이 자리 잡아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동아일보

아이돌그룹, 실력만큼 중요한 ‘인성’

아이돌 그룹처럼 청소년들의 선망의 대상이 되는 동시에 ‘흔하디흔한’ 것이 없다. 각광 받다가도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지는 아이돌 그룹도 한둘이 아니다. 그래서 아이돌 그룹의 멤버들은 노래, 춤, 연기, 예능 등에서 대중의 눈길을 사로잡고 또 관심과 사랑을 지속해나가기 위해 피땀 어린 노력을 기울인다.요즘 청소년들의 각별한 관심을 받는 아이돌 그룹 ‘업텐션’과 ‘피에스타’를 만나기 위해 초등생과 고교생이 각각 나섰다. 지난해 데뷔한 업텐션은 한 치의 오차도 없는 강렬한 춤동작을통해 일명 ‘칼군무돌’로 불리는 10인조 남성 그룹. 2012년 데뷔한 피에스타는 한때 부진을 겪다가 최근 멤버인 예지가 여성래퍼경연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또 다른 멤버 차오루가 TV가상결혼프로그램에 나오면서 재조명을 받게 된 5인조 여성 그룹이다.》

■“양보와 배려가 아이돌 그룹의 경쟁력”

초등생이 만난 그룹 ‘업텐션’

동아일보
아이돌 그룹 ‘업텐션’을 만난 서울 한국한성화교소학교 3학년 이채율 양(앞줄 왼쪽에서 세번째), 서울 목운초 5학년 송어진 양(앞줄 왼쪽에서 네 번째) 이채린 기자 rini1113@donga.com

아이돌 그룹은 많은 경우 자멸한다. 멤버 간 불화가 가장 큰 도화선이 된다. 결국 멤버들의 소통과 화합이 가장 중요하단 얘기.

서울목운초 5학년 송어진 양과 서울 한국한성화교소학교 3학년 이채율 양이 화려한 무대 매너와 더불어 멤버들의 돈독한 우애로도 유명한 업텐션(진후 쿤 선율 웨이 샤오 고결 우신 비토 규진 환희)을 최근 만났다.

송 양은 가장 먼저 “멤버들 중에서도 더욱 돋보이기 위한 경쟁이 심하지 않은지 궁금하다”고 물었다. 업텐션의 리더 진후는 “멤버 한 명이 튀어 보이는 것보다는 팀 전체가 빛나도록 서로 양보하고 배려한다”고 답했다.

디지털 싱글을 자주 내는 아이돌 그룹의 특성상 곡마다 춤과 노래를 더 잘 소화해내는 멤버가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가장 멋지게 곡을 빛내줄 멤버에게 ‘스포트라이트’를 양보한다는 것. 결국 무대의 전체 완성도가 높아져 멤버 모두에게 득이 된다고 진후는 말했다.

선율은 “카메라에 더 많이 잡히기 위해 과장된 춤동작을 보이거나 자극적인 발언을 하기보다는 각자 맡은 부분에 최선을 다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팀 활동에 최선을 다하다 보면 언젠가는 한 번씩 자신의 끼를 펼칠 기회가 생기는 것 같다”고 했다.

이 양이 “단체생활을 하면서 서로에 대한 불만이 생기면 어떻게 해결하나요”라고 묻자, 쿤은 “서로의 의견에 귀 기울이는 자세가 필요하다”면서 “시간날 때마다 회의를 열어 서로에 대한 불만을 모두 털어놓고 해결하려 한다”고 답했다.

‘수사슴’ 발음 위해 3년 노력


“자신의 부족한 부분은 어떻게 극복하나요?”(송 양)

업텐션 멤버들은 모두 ‘노력’과 ‘연습’을 강조했다. 춤동작을 잘 따라가지 못하는 멤버는 단체연습이 끝난 뒤에도 연습실에 남아 반복적으로 연습한다는 것. 자신이 춤추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해 다른 멤버에게 보여주며 조언을 듣기도 한다. 노래도 마찬가지.

경상도 출신인 진후는 심한 사투리 탓에 ‘시옷’ 발음을 잘 못 해 가수의 꿈을 포기할까 고민하기도 했다. 하지만 3년간 발음 연습을 거듭한 끝에 또렷하게 노랫말을 전할 수 있게 됐다.

진후는 “‘수사슴’이라는 단어를 제대로 말하기 위해 3년간 발음 연습에 노력했다”면서 “이루고자 하는 일이 있으면 끝까지 포기하지 말고 노력하라”고 조언했다.

■“꿈은 행동하는 사람이 이룬다”
고교생이 만난 그룹 ‘피에스타’

동아일보
아이돌 그룹 ‘피에스타’를 만난 서울 오류고 2학년 이하은(왼쪽에서 세 번째), 하고은 양 (왼쪽에서 다섯 번째)

서울 오류고 2학년 하고은, 이하은 양이 그룹 피에스타(재이 린지 예지 혜미 차오루)를 최근 만났다.

하 양이 “가수를 꿈꾸게 된 계기가 궁금해요”라고 묻자, 린지는 “어릴 때부터 가수가 되고 싶어 모든 무대에 나가는 학생이었다”면서 “S.E.S 핑클 등 원조 여자 아이돌 그룹의 노래는 물론 H.O.T 젝스키스 등 남자 아이돌 그룹의 춤까지 섭렵했다. 남들 앞에서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좋았다”고 했다.

피에스타는 데뷔 2년 전부터 함께 숙소생활을 하며 연습생 시절을 보냈다. 2012년 데뷔했지만 생각보다 긴 공백기를 가졌다. 힘들 때마다 스스로를 돌아보며 성찰의 시간을 가졌다고.

예지는 “멤버들 모두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아직 기회가 없었을 뿐이라고 생각했다”면서 “기회가 온다면 언제든지 잘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항상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꿈꾸기만 하면 기회는 오지 않는다


“피에스타의 성공을 위해 멤버들 각자 어떤 노력을 기울이나요?”(이 양)

멤버들은 “그룹이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멤버 각자의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춤 실력이 뛰어나 발탁된 예지는 연습생 생활을 하면서 랩 파트까지 맡게 됐다. 남들보다 늦게 랩을 시작했다는 불안감에 일상 속 사소한 일까지도 메모하면서 랩 소재로 사용하려 노력했다. 예지는 “랩을 시작하면서부터 휴대전화 메모장에 순간순간 느끼는 감정들을 써내려갔다”면서 “메모들이 자연스럽게 랩의 주제가 되었고 메모를 보면서 혼자만의 랩 연습을 했다”고 말했다.

중국인 멤버 차오루는 ‘사랑’이라는 단어를 ‘살랑’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아 틈틈이 한국어 수업을 들으며 시간날 때마다 노래 연습과 발음 연습에 열중한다고 했다.

멤버 개개인의 노력 덕분에 피에스타의 인지도는 상승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국내 걸출한 아이돌 그룹들이 모여 무대를 펼치는 ‘드림콘서트’에 참여하기도 했다.

“저는 가수를 꿈꾸면서 수많은 오디션을 보고 기획사에 노래 녹음파일을 보내며 기회를 얻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어요. 기회는 가만히 앉아서 꿈만 꾸는 사람에게 찾아오지 않지요. 적극적으로 행동해야 합니다.”(혜미)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