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제는 이제 더 이상 대학 입시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특목고와 자율형 사립고 입시에서 활용되면서 준비 학년 또한 점점 낮아지고 있다. 초등학생 또한 예외일 수 없다.
◆진로적성 발견해 그에 맞는 경험 쌓아야
전문가들은 초등학생들의 핵심 준비사항으로 "흥미와 관심사항을 탐색할 것"이라고 말한다. 수박씨닷컴 학습지원과 신가혜 연구원은 "초등 시기를 자신의 진로를 찾기 위해 가지치기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표현했다. 가능성을 열어두고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관심 분야를 점점 좁혀가야 한다는 의미다. 그는 "입학사정관제의 취지가 단시간에 만들어진 학생이 아닌 시간을 두고 꾸준히 노력했던 학생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스스로 적성을 찾고 관련 활동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때 부모는 아이가 잘하고 좋아하는 일을 찾을 때까지 가지치기를 도와줘야 한다. 시매쓰 조경희 수학연구소장은 "단, 부모가 목표를 이미 정해놓고 자녀에게 따라오라는 식으로 강요할 경우 아이의 부담을 늘려줄 수 있으므로 삼가라"고 조언한다. 자녀를 민사고와 명문대에 보낸 에듀모아 김순균 공부컨설팅전문위원은 "부모는 아이의 공부 습관을 잡아주거나 적성을 찾아나가도록 환경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해야지 아이의 성향이나 자질까지 만들려는 것은 욕심"이라고 말했다.
적성을 찾기 위해 노력한 과정은 흔적으로 남기는 것이 좋다. 조 소장은 양보다는 질을 강조한다. "수상 실적이 화려하거나 대외활동을 많이 하는 것만이 최선은 아니에요. 어떤 과정을 거쳐 본인의 적성을 찾았고 능력을 키워나갔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관건이죠. 그런 과정을 담은 것이 포트폴리오예요. 자신의 손때 묻은 일기장, 생활기록부 등등이 모두 요긴한 포트폴리오의 소재가 될 수 있어요."
◆교과·비교과 이력도 꾸준히 관리해야
입학사정관제의 취지가 학생의 발전가능성과 잠재력을 보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학업 성적을 등한시해도 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특히 초등 시기에는 공부 습관을 잡고 기본기를 다져나가야 한다.
신가혜 연구원은 '흔적이 보이는 공부'를 습관화하길 추천한다. "자신의 관심사 혹은 궁금증을 찾아 책을 찾거나 인터넷을 통해 관련 자료를 스크랩하고, 부족한 부분을 스스로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순균 전문위원은 "영어와 책 읽기만큼은 놓치지 말라"고 조언한다. 그는 "영어는 어렸을 때 잡아두지 않으면 나중에 벌어진 실력차를 따라잡기 힘들고, 책 읽기의 경우 사고력, 창의력 향상은 물론 고학년으로 진학했을 때 관련 교과에 대한 배경지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단, 책 읽는 것에서 멈추지 않고 독후감 등을 쓰면서 글쓰기 실력을 높이면 이후 포트폴리오를 작성하거나 논술 시험을 치를 때 유리하다고 덧붙였다.
소위 '비교과 이력 관리' 또한 관심이 높다. 신가혜 연구원은 문어발식보다는 하나라도 제대로 할 것을 추천한다. 그는 "단기간의 스펙보다는 비전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활동한 이력이 더 평가받는다"고 말했다. 조경희 소장 역시 "올림피아드, 인증시험, 각종 대회 등은 자신의 실력을 점검하는 것으로 활용하는 것은 좋지만 스펙을 높이기 위해 마구잡이식으로 응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또한 "중요한 것은 단순히 '자격증'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 무엇을 느끼고 배웠는지 여부이기 때문에 그때의 감흥을 기록으로 정리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조선일보
◆진로적성 발견해 그에 맞는 경험 쌓아야
전문가들은 초등학생들의 핵심 준비사항으로 "흥미와 관심사항을 탐색할 것"이라고 말한다. 수박씨닷컴 학습지원과 신가혜 연구원은 "초등 시기를 자신의 진로를 찾기 위해 가지치기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표현했다. 가능성을 열어두고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관심 분야를 점점 좁혀가야 한다는 의미다. 그는 "입학사정관제의 취지가 단시간에 만들어진 학생이 아닌 시간을 두고 꾸준히 노력했던 학생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스스로 적성을 찾고 관련 활동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때 부모는 아이가 잘하고 좋아하는 일을 찾을 때까지 가지치기를 도와줘야 한다. 시매쓰 조경희 수학연구소장은 "단, 부모가 목표를 이미 정해놓고 자녀에게 따라오라는 식으로 강요할 경우 아이의 부담을 늘려줄 수 있으므로 삼가라"고 조언한다. 자녀를 민사고와 명문대에 보낸 에듀모아 김순균 공부컨설팅전문위원은 "부모는 아이의 공부 습관을 잡아주거나 적성을 찾아나가도록 환경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해야지 아이의 성향이나 자질까지 만들려는 것은 욕심"이라고 말했다.
적성을 찾기 위해 노력한 과정은 흔적으로 남기는 것이 좋다. 조 소장은 양보다는 질을 강조한다. "수상 실적이 화려하거나 대외활동을 많이 하는 것만이 최선은 아니에요. 어떤 과정을 거쳐 본인의 적성을 찾았고 능력을 키워나갔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관건이죠. 그런 과정을 담은 것이 포트폴리오예요. 자신의 손때 묻은 일기장, 생활기록부 등등이 모두 요긴한 포트폴리오의 소재가 될 수 있어요."
◆교과·비교과 이력도 꾸준히 관리해야
입학사정관제의 취지가 학생의 발전가능성과 잠재력을 보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학업 성적을 등한시해도 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특히 초등 시기에는 공부 습관을 잡고 기본기를 다져나가야 한다.
신가혜 연구원은 '흔적이 보이는 공부'를 습관화하길 추천한다. "자신의 관심사 혹은 궁금증을 찾아 책을 찾거나 인터넷을 통해 관련 자료를 스크랩하고, 부족한 부분을 스스로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순균 전문위원은 "영어와 책 읽기만큼은 놓치지 말라"고 조언한다. 그는 "영어는 어렸을 때 잡아두지 않으면 나중에 벌어진 실력차를 따라잡기 힘들고, 책 읽기의 경우 사고력, 창의력 향상은 물론 고학년으로 진학했을 때 관련 교과에 대한 배경지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단, 책 읽는 것에서 멈추지 않고 독후감 등을 쓰면서 글쓰기 실력을 높이면 이후 포트폴리오를 작성하거나 논술 시험을 치를 때 유리하다고 덧붙였다.
소위 '비교과 이력 관리' 또한 관심이 높다. 신가혜 연구원은 문어발식보다는 하나라도 제대로 할 것을 추천한다. 그는 "단기간의 스펙보다는 비전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활동한 이력이 더 평가받는다"고 말했다. 조경희 소장 역시 "올림피아드, 인증시험, 각종 대회 등은 자신의 실력을 점검하는 것으로 활용하는 것은 좋지만 스펙을 높이기 위해 마구잡이식으로 응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또한 "중요한 것은 단순히 '자격증'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 무엇을 느끼고 배웠는지 여부이기 때문에 그때의 감흥을 기록으로 정리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조선일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