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26일 일요일

세계적인 CEO들의 공통점은 OO?

세계 2위 부자 빌 게이츠와 5위 부자 래리 엘리슨, 그리고 구글을 설립한 세계 21위 부자 세르게이 브린의 공통점은 뭘까? 이들은 모두 미국인이라는 점 외에도 특별한 공통점이 있다. 바로 대학에서 '수학'을 공부했다는 점이다.
세계 2위 부자인 빌 게이츠는 하버드대 수학과를 중퇴했다.
세계 2위 부자인 빌 게이츠는 하버드대 수학과를 중퇴했다


빌 게이츠와 래리 엘리슨은 각각 하버드대 수학과와 시카고대 수학과를 중퇴했고, 세르게이 브린은 메릴랜드대 수학과를 졸업했다. 특히 대학원에서 컴퓨터공학을 공부한 세르게이 브린은 수학적인 검색 기법인 '페이지랭크'를 만들어서 구글을 탄생시켰다. '구글'이라는 회사 이름도 '10의 100제곱'을 뜻하는 '구골'을 변형해서 만들었다.

이들처럼 세계적으로 성공한 CEO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수학을 전공하거나 심지어 수학자 출신인 경우도 찾아볼 수 있다. 자신이 연구한 수학 모델을 적용한 투자 프로그램으로 큰 수익을 올려 3조 원이 넘는 연봉을 받았던 르네상스테크놀로지의 CEO 짐 사이먼스가 대표적인 예다. 짐 사이먼스는 대학에서부터 20년 이상 기하학을 연구해 '천-사이먼스 이론'이라는 자기 이름을 딴 이론을 만들 정도로 성공적인 수학자였다.

이렇게 수학을 공부한 사람들이 세계적인 CEO로 승승장구하고 있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기업 경영이 수학과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작게는 슈퍼마켓과 식당에서부터 거대한 놀이공원과 공장 운영까지 다양한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수학을 활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대기이론'이라는 수학 이론이다. 대기이론은 사람이나 물체, 정보의 흐름에서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로, 식당에서 줄서서 기다리는 손님들의 불편을 해소하는 것부터 이동전화와 인터넷 통신망 관리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특히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 경영대학원 존 리틀 교수가 만든 ‘리틀의 법칙’은 마치 '힘(F)=질량(m)×가속도(a)'라는 뉴턴의 운동법칙처럼 다양한 ‘대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쓰인다. 리틀의 법칙은 ‘한 공간 안에 머무는 물체의 수(L)’가 ‘기준 시간 동안 물체가 들어오는 양(r)’과 ‘머무는 시간(W)’에 비례한다는 것으로, L=r×W로 나타낸다.

존 리틀 교수는 자신이 만든 리틀의 법칙을 적용해 미국 보스턴에 있는 식당 파라마운트가 비좁은 공간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불편 없이 운영되고 있는 비결을 분석했다. 파라마운트는 테이블이 10개밖에 안 되는 좁은 식당이지만, 아침 7시부터 11시까지 300명이나 되는 손님들을 아무런 혼란 없이 수용한다.

리틀 교수가 분석한 파라마운트 식당의 성공적인 운영 비결은 메뉴 선택과, 음식 조리, 계산까지 모든 과정을 식당에 들어오면서 테이블에 앉기 전까지 이동하면서 하도록 만든 식당 구조 덕분이었다. 즉, 리틀의 법칙에 따르면 기준 시간 동안 손님들이 들어오는 양(r)은 정해져 있으므로, 식사시간(W)을 줄여야 테이블에 머무는 손님의 수(L)를 줄일 수 있다. 파라마운트 식당은 독특한 공간 구조를 만들어서 보통 테이블에 앉아서 이루어지는 주문과 대기, 식사의 과정을 분산한 것이다. 그 결과, 테이블에 머무는 손님들은 식사만 하기 때문에 식사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생기고, 10개의 테이블만으로도 밀려드는 손님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미국 디즈니랜드에서는 대기이론을 적용해서
미국 디즈니랜드에서는 대기이론을 적용해서 '패스트패스'라는 제도를 만들어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였다. 줄을 서지 않고
정해진 시간에 도착하기만 하면 놀이기구를 탈 수 있는 패스트패스 덕분에 기다리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이처럼 수학은 기업 경영에 필수적인 요소로, 많은 수학자와 경영학자들이 수학적인 방법을 이용해 성공적으로 기업을 경영하는 방법을 찾는 ‘경영 과학(Operation Research)’을 연구한다.


수학동아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