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6월 2일 월요일

2014 청심ACG대회… 확장 사고력·인성 평가… 경시대회가 진화한다


원래 경시대회는 상위권 학생 사이에서 상급학교 진학 시 유리한 고지 선점을 위한 필수 코스였다. 하지만 최근 경시대회에 비상이 걸렸다. 고입·대입에서 경시대회 입상 실적 기재가 제한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순 수상 외에도 경시대회를 통해 학생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무수히 많다. 우선 대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심화문제를 접하면서 해당 교과목의 학업성취력도 향상된다. 자연스럽게 해당 교과목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고, 부족한 부분을 파악해 올바른 학습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초등 저학년이라면 경시대회를 경험하며 OMR 카드 작성 등 시험 적응력 역시 키울 수 있다.

최근 교육업계를 선도하는 몇몇 대회는 경시대회의 순기능을 더 발전시키면서, 변화하는 교육제도에도 적합한 모습으로 탈바꿈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평가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기존 경시대회는 랠프 타일러가 제시한 '목표 달성 평가 모형'을 바탕으로 '목표 성취 여부'만을 알아보는 게 평가 목적이었다. 그러나 앞으로의 경시대회는 엘리엇 아이스너가 제시한 '참평가'를 추구해야 한다. 즉 평가과제는 포괄성을 지녀야 하고, 결과뿐 아니라 문제 해결 과정도 보여줄 수 있어야 하며, 그 과제를 만든 지적 공동체의 가치를 반영해야 한다. 또한 한 사람의 활동에만 국한될 필요가 없고, 문제의 해결책이나 답이 한 가지 이상이 되도록 구성해야 한다. 이는 배운 것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둘째, 빠르게 변하는 교육 정책과 진학 패러다임 속에서 경시대회는 학생과 학부모에게 새로운 교육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길잡이 역할을 해야 한다. 모든 것을 해결해주는 '만능열쇠'가 아니라 자신의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맞춤열쇠'로서의 역할이 필요하다.

경시대회에 참가하면 입시에 버금가는 준비 과정을 미리 경험해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내게 필요한 새로운 형태의 대회를 선택해 참가 명분을 찾고, 그 경험치를 어떻게 활용할지 치열하게 고민해야 한다. 앞으로는 대회 과정의 매 요소를 어떠한 관점으로 바라보고, 어떻게 재가공하여 활용할지가 입시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다.

미래의 경시대회는 확장형 사고와 창의력·인성까지 두루 평가해 참가자가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 속에서 자신의 실력을 진단하고 다양한 경험을 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공교육 가치를 훼손하지 않고 보완하면서 학생의 진로·진학 설계에 더욱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새로운 접근 방식의 대회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내놓아야 한다. 우리나라 경시대회 시장, 나아가서는 한국 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선한 마중물 역할을 모든 경시대회가 해 주기를 바란다.
조선일보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