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6월 18일 수요일

위학삼요(爲學三要)



승려 초의(草衣)는 다산이 특별히 아꼈던 제자다. 다산은 처음에 그의 적극적이지 않은 태도가 성에 차지 않았던 듯 수십 항목으로 적어준 증언에서 진취적인 학습 자세를 반복하여 강조했다.
이들 증언은 다산의 문집에는 모두 빠졌고 신헌(申櫶·1810~1884)이 초의에게 들렀다가 다산이 그에게 써준 증언(贈言)을 보고 베껴 둔 '금당기주(琴堂記珠)'란 기록 속에 남아 전한다. 다음은 그중 학문의 바탕을 갖추기 위해 지녀야 할 덕목을 말한 한 대목이다.
"배우는 사람은 반드시 혜(慧)와 근(勤)과 적(寂) 세 가지를 갖추어야만 성취함이 있다. 지혜롭지 않으면 굳센 것을 뚫지 못한다. 부지런하지 않으면 힘을 쌓을 수가 없다. 고요하지 않으면 오로지 정밀하게 하지 못한다. 이 세 가지가 학문을 하는 요체다.(學者必具慧勤寂三者, 乃有成就. 不慧則無以鑽堅; 不勤則無以積力; 不寂則無以顓精. 此三者, 爲學之要也.)"
위학삼요(爲學三要), 즉 학문에 필요한 세 가지 핵심 덕목으로 혜(慧)·근(勤)·적(寂)을 꼽았다. 굳이 불가의 표현을 쓴 것은 초의의 신분이 승려임을 배려해서다.
첫 번째 덕목은 지혜다. 지혜로 찬견(鑽堅), 즉 나를 가로막는 굳센 장벽을 뚫어야 한다.
두 번째는 근면이다. 밥 먹고 숨 쉬듯 기복 없는 노력이 보태져야 적력(積力), 곧 힘이 비축된다.
세 번째로 꼽은 것은 뜻밖에 적(寂)이다. 공부에는 고요와 침묵으로 함축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전정(顓精), 즉 정수(精粹)와 정화(精華)를 내 안에 깃들이려면 외부의 번화로부터 나를 차단하는 적묵(寂默)의 시간과 공간이 필요하다.
지혜로 속도를 내고 근면으로 기초 체력을 다져도 침묵 속에 방향을 가다듬지 않으면 노력이 헛되고 슬기

가 보람 없다. 방향을 잃은 지혜, 목표를 놓친 노력은 뼈에 새겨지지 않고 오히려 독(毒)이 된다.
제 재주를 못 이겨 발등을 찍고 제 노력만 믿고 남을 우습게 보는 교만을 심는다. 적(寂)을 가늠자 삼아 자칫 무너지기 쉬운 균형을 끊임없이 바로잡아야 한다고 일깨워 준 것이 절실하다.

조선일보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