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1월 30일 일요일

앞으로의 식량대처, 그리고 GMO

오늘날 전 세계 20억 인구가 영양실조로 고통 받고 있다. 세계 인구는 2050년까지 두 배로 증가할 것이며 인구증가의 97퍼센트는 빈국에서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빈곤, 식량 공급의 불안정 및 영양실조의 주요 원인으로는 빈약한 농업생산량이 꼽히고 있다. 더불어 기후의 온난화로 급격하게 변한 환경이 농작물 재배에 심각한 타격을 가하고 있으며 도시화의 발달로 농작물의 재배 경작지는 해마다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급증하고 있는 인구의 수를 먹여 살릴 수 있는 식량의 공급량은 확보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전 세계 인류에게 식량을 공급할 충분한 양의 농업생산량을 확보할 수 있을까?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유일한 해결책으로 GMO를 이용하면 이러한 어려운 점을 극복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GMO는 재배조건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과 해충에 대한 생존력은 이미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는 옥수수, 콩과 같은 작물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현재 시판되는 바이러스에 내성인 병저항성 작물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환경의 물리적인 제약에 대한 식물의 적응 메카니즘에 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제한된 물 자원, 가뭄, 냉해와 관개에 의해 유발되는 점진적인 토양의 염류화는 작물재배에 위협이 되지만 내염성 작물을 개발한다면 그 수확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어 그 기술이 과학자들 사이에서 연구되고 있다.

GMO 생산기술은 식물의 영양적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면 기름을 짜는 식물에서는 건강에 이로운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높일 수 있다. 현재 많은 연구자들은 다양한 식물에서 비타민, 항산화제 및 무기물이 풍부해지도록 연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황금쌀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는데 황금색을 가지고 있는 이 쌀은 풍부한 베타카로틴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성분은 비타민A로 변환되어 비타민A 결핍증을 보완해주려는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비타민A 결핍으로 약 1억~ 2억 명의 아이들이 심각한 시력문제를 겪고 있다고 하니 이러한 이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2005년에 황금쌀을 개발한 신젠타사는 연간수입이 1만 달러 이하인 농민들에게 황금쌀 종자를 제공하기로 약속하고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GMO는 많은 사람들에게 수많은 경계심을 야기하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자연 속에 만들어지는 우수한 품종들은 식물 간 교배가 이뤄지고 수많은 유전자 이입이 발생하며 변이종이 만들어지면서 품종이라는 명칭으로 우리의 식탁에 오르게 된다는 사실을 많은 이들이 망각하고 있다. 자연적인 이 현상은 종의 진화를 야기하는 밑거름의 하나이며 이는 이미 신석기 시대 이래로 농민들은 식물의 종들을 개량하여 왔다. 초기에는 단순한 관찰을 하며 경험에 의거한 방식으로 하다가 그 다음에는 인위적인 강제교배를 통하여 우수형질의 선발로 야생종에서 유전적인 성질을 완전히 변형시켰다. 이러한 메카니즘은 오랜 시간을 요구하며 이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두 종간의 교배에 의한 유성생식에 달려있지만 생명공학기법에 의한 종의 개량은 이러한 자연적인 과정을 생략하고 새로운 품종을 얻는 시간을 단축시켜주는 장점을 갖고 있다. GM작물을 재배하는 것에 대해서 아직까지 식품의 안전성과 같은 여러 가지 논란거리가 있지만 현재 인류가 당면한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는 GM작물의 개발이 최우선적인 지름길이라 말할 수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 등으로 인하여 생기는 가뭄 등의 재해에 저항성이 있는 GM작물 개발은 피할 수 없는 일로 여겨지고 있다. 그리고 GM식물을 개발하는 과학자들은 사람들이 우려하고 있는 위험성에 대한 과학적 평가만이 소비자들의 두려움을 정당하게 종식시킬 수 있을 것이다.

중부일보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