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취소 신청 해마다 급증/ 서울서만 올 들어 26곳 줄어/ 교사들 업무부담 증가로 기피/“당국, 현장 고충 외면” 지적
영재학급 수업이 대부분 토요일에 진행되는 탓에 누군가는 주말에 출근해야 했다. 전문 강사를 섭외하고, 각종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것도 이들의 몫이었다. 이 과정에서 정규교사와 기간제교사, 실무사들은 서로가 ‘양보’해주기만을 바랐으나 허사였다.
결국 이 학교는 지난해 8월 서울서부교육지원청에 “‘영재교육원 과학 분야 협력학교’ 지정을 취소해 달라”는 내용의 신청서를 제출했다. S중은 올해부터 영재학급을 운영하지 않는다.
최근 들어 서울에서는 S중처럼 영재학급 운영을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30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영재학급은 2016년 4곳이 새로 생겼고 1곳이 사라져 전년보다 3곳 늘었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16곳이 신규 신청을 한 반면 19곳이 지정 취소를 요구했다. 올해는 신규 신청 13곳에 지정 취소 요구 39곳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와 올해 영재학급은 각각 3곳, 26곳 줄었다.
영재교육기관 지정 취소 행렬이 이어지는 이유는 뭘까. S중 사례에서 보듯 업무 부담 증가로 교사들이 해당 학교·기관을 기피하는 것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하지만 서울교육청 관계자는 “학생 수가 줄고 있어 영재교육 대상자 모집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때 전국에서 유행처럼 불어난 영재교육기관이 ‘교육 수도’ 서울에서부터 주는 것을 놓고 영재교육 인기가 시들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교육당국이 현장의 고충을 외면한 채 영재교육 대상자 수 같은 양적 지표 관리에 치중하는 게 문제라고 지적한다.
세계일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