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이면서 기초과학 박사인 의과학자는 기초연구성과를 임상에 적용하는데 필요한 연구를 한다. 기초연구와 상용화 사이를 가로막는 이른바 ‘데스 밸리’를 메워주는 역할이다.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처음 발견해 2009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독일의 하랄트 주르 하우젠 박사가 대표적 의과학자다. 그 덕분에 자궁경부암은 백신이 개발된 유일한 암이 됐다. 의대 졸업생 대다수가 임상의가 되는 국내엔 의과학자가 턱없이 부족하다. 정부는 의학 2년, 자연과학이나 공학 3년, 다시 의학을 2년 배우는 고난도 의과학자 과정을 만들어 등록금과 연구비로 학생들에게 연 약 2,000만원씩을 지원하기로 했다. 시행 초기인 2008, 2009년 총 106명이 들어왔다. 하지만 이듬해부터 신규 인원이 3명, 19명, 10명으로 급감하더니 지난해엔 아예 안 뽑았다. 올해 선발 인원은 미정이나, 사업을 수행하는 한국연구재단은 5명 미만을 예상한다. 2008년 이후 배출된 졸업생은 30여명에 불과하다. 신규 지원은 갈수록 더 줄어들 수밖에 없다. 정부가 지원하는 이 과정은 의전원에만 있는데, 현재 전국 의전원 35곳 중 대부분은 기존 의대 체제로 돌아가고 2017년이면 8곳만 남기 때문이다. 지원 예산도 빠르게 줄고 있다. 2010년 30억원이었으나 올해는 9억5,000여만원이다. 주무부처인 교육부는 예산 절감의 원인이 “미래창조과학부가 평가 기준을 논문 수 등 일반 연구개발과 동일하게 적용하기 때문”이라는 입장이다. “의과학자 과정 학생들이 현직 교수만큼의 연구성과를 내지 못하니 평가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부 학교에선 줄어든 지원금을 자체 예산으로 메워야 했다. 의과학자 과정 입학생 총 138명 중 현재 정부 지원을 받고 있는 학생은 51명뿐이다. 수도권 대학에서 일하는 한 의과학자는 “정부 지원 제도가 유명무실해진 마당이라 우리 학교는 앞으로 의과학자 과정 신규 학생을 아예 안 받기로 했다”며 “이미 의과학자로 진로를 선택한 학생들만 애매해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국일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