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6일 목요일

'노벨상 22명' 日과학 싹틔운 근대화와 군국주의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오스미 요시노리 일본 도쿄공업대 명예교수까지 일본은 22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냈다. 미국 국적 보유자인 난부 요이치로(2008년 물리학상)와 나카무라 슈지(2014년 물리학상)를 포함해서다.
이론물리학자 유카와 히데키가 일본인으로는 처음 노벨상을 받은 게 1949년이니 한국과 격차가 70년 가까이 벌어졌다. '기초과학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거나 '스타 과학자를 키우기보다 창의적인 연구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는 등 한국인 노벨 과학상 수상자를 기다리는 목소리들이 초가을마다 나온다.
오스미 요시노리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오스미 요시노리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일본의 과학 저술가 고토 히데키가 쓴 '천재와 괴짜들의 일본 과학사'는 1854년 개국(開國) 이후 약 160년간 일본의 근현대 과학을 노벨상 수상을 중심으로 정리한 책이다. 유카와 히데키의 부인이 결혼하자마자 "나는 집안일을 전부 할 테니까 당신은 노벨상을 꼭 받아주세요"라고 말했다는 걸 보면 일본도 오래전부터 노벨상을 향한 열망이 강했던 모양이다.
과학자들의 서구 유학 분투기, 유카와 히데키를 만난 아인슈타인이 제2차 세계대전 때 일본에 떨어진 원자폭탄에 책임을 느낀다며 눈물을 흘렸다는 일화 말고도 눈길을 끄는 건 일본 근대사의 영향이다. 조선보다 20여 년 일찍 문호를 개방한 일본의 필사적 '서양 따라잡기'와 뒤이은 침략전쟁은 과학의 발전과 직결된다.
"동양에 없는 것은 두 가지다. 유형으로는 수리학, 무형으로는 독립심이다." 개화기 사상가 후쿠자와 유키치의 말이다. 일본은 1860년대부터 서양에 유학생을 보내 근대 학문을 수용했는데, 그들의 전공은 주로 의학과 화학이었다. 후쿠자와는 물질의 이치를 설명해 삼라만상의 법칙에 도달하는 물리학이 서양 학문의 왕자라는 사실을 간파했다. '훈몽궁리도해'나 '물리요용' 등 그가 펴낸 책들이 물리학 붐을 일으켰다. 아들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 유학 보내 물리학을 가르치기도 했다.
김옥균을 게이오기주쿠대에 받아들여 근대교육을 받게 한 사람도 후쿠자와였다. 김옥균이 주축이 돼 벌인 갑신정변이 실패로 끝나자 '아시아의 동포'를 버리고 '탈아입구'로 돌아섰다는 후쿠자와를 저자는 현실주의자라고 평가한다. 스스로 식민지 쟁탈에 나서지 않으면 자신들이 제국의 식민지가 됐을 것이라는 논리다.
후쿠자와 유키치 [연합뉴스 자료사진]
후쿠자와 유키치 

후쿠자와가 기틀을 닦아놓은 자연과학은 제국 일본의 전쟁에 무기를 대는 데 동원되면서 힘을 키워갔다. 왁스를 섞어 폭발력을 대폭 높인 '시모세 화약'은 러일전쟁 때 쓰시마 해전에서 공을 세웠다. 불에 타 무너지는 러시아 전함을 보고 전세계 해군이 놀랄 정도였다고 한다.
생리학 분야에서는 중국 하얼빈에 설치된 731부대를 빼놓을 수 없다. 일본 전역에서 모집한 연구자 1천여 명이 세균전과 인체실험에 투입됐다. 이시카와 다치오마루라는 세균학자는 일본이 패망하자 표본을 몰래 숨겨 귀국한 뒤 연구에 쓸 정도로 집요했다.
저자는 이시카와의 사례부터 후쿠시마 원전 사고까지 과학자의 사회적 윤리와 책임 문제도 다룬다. 미국 국적으로 2008년 노벨화학상을 탄 중국계 미국인 첸융젠은 중국에 간 적도 없고 중국어도 못하지만, 난부 요이치로는 일본인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했다며 영락없는 애국심을 드러낸다. 어쨌거나 한국 독자로서는 일제의 식민지 개척과 자연과학 발전이 상승효과를 냈다는 불편한 진실과 마주하게 된다.
연합뉴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