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P 앨리슨 교수·혼조 다스쿠 교수 공동수상
스웨덴 카롤린스카의학연구소 노벨위원회가 1일(현지시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제임스 P 앨리슨 미국 텍사스대 MD앤드슨암센터 교수와 혼조 다스쿠 일본 교토대 명예교수를 선정했다고 발표하고 있다. 대형 화면에 앨리슨(왼쪽), 혼조 교수의 얼굴 사진이 비춰지고 있다. 뉴시스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의 영예는 ‘면역 항암제 개발’이라는 새로운 암 치료 영역을 개척해 인류의 암 극복에 기여한 미국과 일본의 의학자 2명에게 돌아갔다.
일본은 2016년 이후 2년 만에 다시 노벨상 수상에 시동을 걸었고, 지금까지 노벨의학상만 5명을 배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아울러 1949년 첫 물리학상 수상 이후 모두 23명(미국 국적자 2명 포함)이 노벨과학상을 받아아시아 기초과학 강국의 면모를 또다시 과시했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의학연구소 노벨위원회는 1일(현지시간) 제임스 P 앨리슨(70) 미국 텍사스의대 MD앤드슨암센터 교수와 혼조 다스쿠(76) 일본 교토대 명예교수를 2018년 노벨의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위원회는 “두 학자는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체계 기능을 밝혀내 암 치료의 새로운 원칙을 세웠다”며 “이들의 중대한 발견은 암과의 싸움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이뤘다”고 평가했다.
두 사람은 면역 메커니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면역 관문 수용체(immune checkpoint receptor)’를 발견하고 기능을 밝혀냈다. 면역 관문 수용체는 면역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한다.
두 사람은 특히 면역체계를 억제하는 단백질을 찾아낸 공로가 크다. 앨리슨 교수는 인체 면역체계를 관장하는 ‘T-세포’에 브레이크 기능을 하는 단백질 ‘CTLA-4’를 규명하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게끔 하는 항체를 개발했다. 혼조 교수는 T-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또 다른 단백질인 ‘PD-1’을 발견했다. 이후 PD-1 단백질을 억제하는 방식을 암 환자 치료에 접목해 효과를 확인했다.
이들의 연구는 두 가지 단백질을 각기 조절함으로써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관문 억제제(면역 항암제)’ 개발로 이어졌다. 현재 악성 흑색종(피부암)과 폐암 등 일부 암 치료에 쓰이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이대호 교수는 “면역 항암제의 장점은 일반 항암제보다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오래 지속돼 장기 생존이나 암의 완치까지도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혼조 교수는 교토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내 연구 덕분에 회복한 암 환자들을 볼 때 가장 기쁘다”며 “앞으로 더 많은 암 환자들을 위해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혼조 교수가 암 연구에 천착하게 된 계기는 대학 시절 동기의 죽음이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혼조 교수는 “동기가 위암으로 세상을 떠나자 ‘암에 대한 연구를 하고 싶다’고 생각했었다”고 밝혔다.
두 수상자는 상금으로 주어지는 900만 스웨덴 크로네(약 11억2400만원)를 절반씩 나눠 갖는다. 노벨의학상을 시작으로 2일 물리학상, 3일 화학상, 5일 평화상, 8일 경제학상 발표가 이어진다. 단 올해 노벨문학상 수상자는 1949년 이후 69년 만에 선정되지 않는다. 노벨문학상 선정기관인 스웨덴 한림원은 지난 5월 내부 성추문 스캔들로 파문이 일자 “대중의 신뢰가 하락했다”며 선정과 시상을 취소했다.
일본은 2016년 이후 2년 만에 다시 노벨상 수상에 시동을 걸었고, 지금까지 노벨의학상만 5명을 배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아울러 1949년 첫 물리학상 수상 이후 모두 23명(미국 국적자 2명 포함)이 노벨과학상을 받아아시아 기초과학 강국의 면모를 또다시 과시했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의학연구소 노벨위원회는 1일(현지시간) 제임스 P 앨리슨(70) 미국 텍사스의대 MD앤드슨암센터 교수와 혼조 다스쿠(76) 일본 교토대 명예교수를 2018년 노벨의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위원회는 “두 학자는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체계 기능을 밝혀내 암 치료의 새로운 원칙을 세웠다”며 “이들의 중대한 발견은 암과의 싸움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이뤘다”고 평가했다.
두 사람은 면역 메커니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면역 관문 수용체(immune checkpoint receptor)’를 발견하고 기능을 밝혀냈다. 면역 관문 수용체는 면역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한다.
두 사람은 특히 면역체계를 억제하는 단백질을 찾아낸 공로가 크다. 앨리슨 교수는 인체 면역체계를 관장하는 ‘T-세포’에 브레이크 기능을 하는 단백질 ‘CTLA-4’를 규명하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게끔 하는 항체를 개발했다. 혼조 교수는 T-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또 다른 단백질인 ‘PD-1’을 발견했다. 이후 PD-1 단백질을 억제하는 방식을 암 환자 치료에 접목해 효과를 확인했다.
이들의 연구는 두 가지 단백질을 각기 조절함으로써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관문 억제제(면역 항암제)’ 개발로 이어졌다. 현재 악성 흑색종(피부암)과 폐암 등 일부 암 치료에 쓰이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이대호 교수는 “면역 항암제의 장점은 일반 항암제보다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오래 지속돼 장기 생존이나 암의 완치까지도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혼조 교수는 교토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내 연구 덕분에 회복한 암 환자들을 볼 때 가장 기쁘다”며 “앞으로 더 많은 암 환자들을 위해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혼조 교수가 암 연구에 천착하게 된 계기는 대학 시절 동기의 죽음이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혼조 교수는 “동기가 위암으로 세상을 떠나자 ‘암에 대한 연구를 하고 싶다’고 생각했었다”고 밝혔다.
두 수상자는 상금으로 주어지는 900만 스웨덴 크로네(약 11억2400만원)를 절반씩 나눠 갖는다. 노벨의학상을 시작으로 2일 물리학상, 3일 화학상, 5일 평화상, 8일 경제학상 발표가 이어진다. 단 올해 노벨문학상 수상자는 1949년 이후 69년 만에 선정되지 않는다. 노벨문학상 선정기관인 스웨덴 한림원은 지난 5월 내부 성추문 스캔들로 파문이 일자 “대중의 신뢰가 하락했다”며 선정과 시상을 취소했다.
국민일보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