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0월 1일 월요일

3세대 암(癌)치료 문 연 美·日 과학자들 노벨의학상 수상…'면역 관문 수용체' 기능 규명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최근 암(癌)정복의 열쇠로 떠오른 ‘면역기전’을 발견하고 기능을 밝혀낸 미국과 일본 의학자 2명에게 돌아갔다.

암세포가 몸을 숨는 데 도움을 주는 단백질 ‘PD-1’· ‘CTLA4’ 등의 작용을 차단하고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는 면역체계 메커니즘을 규명한 공로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는 1일(현지시각) 이러한 업적을 세운 제임스 앨리슨(James P Allison) 미국 텍사스 MD 앤더슨 암센터 교수와 혼조 다스쿠(本庶佑·76) 일본 교토대 의과대학 교수 등 2명을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매년 수백만명의 사람들을 죽이는 암은 인류의 가장 큰 건강 문제 중 하나"라며 "(두 연구자는) 암 세포를 공격하는 우리의 면역체계와 기능을 규명해, 암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세웠다"고 밝혔다.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제임스 앨리슨(James P Allison) 미국 텍사스 MD 앤더슨 암센터 교수와 혼조 다스쿠(本庶佑·76) 일본 교토대 의과대학 교수가 선정됐다.(왼쪽부터) / 노벨위원회 제공
▲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제임스 앨리슨(James P Allison) 미국 텍사스 MD 앤더슨 암센터 교수와 혼조 다스쿠(本庶佑·76) 일본 교토대 의과대학 교수가 선정됐다.(왼쪽부터) / 노벨위원회 제공
암(癌) 치료 패러다임은 1세대 화학항암제, 2세대 표적항암제를 거쳐 3세대 면역항암제 치료까지 발전했다. 기존의 항암제가 암세포를 직접 겨냥했다면, 새롭게 등장한 면역항암제는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세포를 사멸시킨다. 인체의 면역체계 기전을 바탕으로 개발된 면역항암제는 뾰족한 해법이 없었던 암 환자들에게 치료 효과를 보이면서 암 정복의 열쇠로 최근 급부상했다.

바로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두명의 과학자가 3세대 암 치료의 문을 연 것이다. 두 과학자는인체 면역기전에 있어서 ‘면역관문수용체(immune checkpoint receptor)’를 발견하고 그 기능을 밝혔다.

면역관문수용체는 면역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키는 일종의 스위치 역할을 하는 수용체다.면역기능을 일정시간 동안 작동시키고, 일정시간 동안만 면역기능을 최대한 활성화시켜 인체의 방어기능을 작동하게 한다. 또 지나친 면역 활성으로 인해 정상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일정 기간만 작동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이대호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암세포가 항암면역기능을 억제시키는데, 3세대 항암 치료는 면역관문수용체 억제제 또는 상승제를 사용·조절해 환자의 항암면역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해 효과적인 항암치료를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발견은 면역관문억제제 등 면역항암제 개발로 이어졌다. 새롭게 개발된 면역치료제는 다양한 종양에서 치료 효과를 보여 암 치료의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고 있다. 기존 치료제 대비 전체 생존기간을 두 배 가까이 늘리는 등 2011년 출시 이후 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꿨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0년 면역관문억제제 ‘이필리무밥’의 악성흑색종 환자에 대한 치료 효과가 처음 입증됐고 2012년부터 악성흑색종 뿐만 아니라 폐암에 대한 면역관문억제제 니볼루맙과 펨브롤리주맙 등이 개발에 성공했다. 이 항암제는 이미 국내에서도 허가됐고, 일부 종양에 대해서는 건강보험 급여 적용도 이뤄졌다.

이대호 교수는 "이러한 면역관문 치료제의 장점은 상대적으로 낮은 부작용과 장기간의 효과가 지속돼 완치까지도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이라며 "물론 모든 환자가 해당약제로부터 효과를 보지는 못합니다만, 이러한 내성기전에 대한 연구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연구자들이 발견한 면역관문수용체와 이에 대한 치료제 개발이 암의 완치 내지는 장기생존을 바라볼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인류의 건강에 크게 기여했다"고 덧붙였다.

혼조 다스쿠 교수의 노벨상 수상 소식을 듣고 일본 교토대 연구팀이 혼조 교수와 함께 기뻐하고 있다. /트위터 제공
▲ 혼조 다스쿠 교수의 노벨상 수상 소식을 듣고 일본 교토대 연구팀이 혼조 교수와 함께 기뻐하고 있다. /트위터 제공


조선일보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