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의 과학기술대학을 지향하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불혹에 접어들었다.
KAIST는 16일 오전 11시 교내 대강당에서 서남표 총장을 비롯한 주요 보직자와 교직원, 학생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교 4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기념식에서는 학술, 창의강의, 우수강의, 국제협력, 연구 등 5개 부문 대상 수상자로 생명과학과 김은준 교수, 생명과학과 월튼 존스(Walton Jones) 교수, 인문사회과학과 아비가일 신(Abigail Shin) 교수, 물리학과 신성철 교수,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를 각각 선정하고 시상했다.
또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모바일 관련 서비스가 크게 변화할 것을 예상하고 독창적인 모바일 플랫폼 ’오케스트레이터(Orchestrator)’를 개발해 관심을 끌었던 전산학과 송준화 교수는 신지식인상을 받았다.
KAIST는 개교기념식과 함께 40주년 기념 엠블렘도 마련했다.
엠블렘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학으로서 세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의지와 세계적인 리더 양성기관으로서 리더, 시작, 희망을 나타내는 별의 모양을 통해 40주년을 나타내고 있다.
KAIST는 개교 40주년을 맞아 오는 5월 9일 비전 선포식을 시작으로 다채로운 마련할 예정이다.
KAIST는 1971년 2월 16일 서울 홍릉에서 한국과학원(KAIS)로 출범했으며 1981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통합해 KAIST로 발전했고 대전으로는 1989년 이전했다.
1996년에는 부설 고등과학원이 서울에 설치됐으며 2009년에는 한국정보통신대(ICU)를 통합했고 올해까지 학사 1만1천341명, 석사 2만2천796명, 박사 8천578명을 배출했다.
그동안 KAIST는 국가 우주개발 중장기 기본계획의 하나로 추진된 소형과학 실험위성인 과학기술위성 1호를 개발해 2003년 9월 27일 러시아의 코스모스 발사체로 쏘아 올렸으며 과학기술위성 2호도 개발했으나 안타깝게도 나로호의 2차례 발사실패로 사라지고 말았다.
KAIST는 현재 과학기술위성 3호를 개발중이다.
또 2004년에는 국내 최초로 휴머노이드 이족보행 로봇인 휴보(HUBO)를 개발한 데 이어 2009년에는 국내 최초로 최대 시속 3.6㎞로 달릴 수 있으며 물건 잡기와 악수 및 수화가 가능한 휴보2를 개발, 일반에 공개했다.
이와 함께 무선으로 전기를 공급받아 달리는 ’온라인 전기차(OLEV:On-line Electric Vehicles)’를 세계 최초로 실용화했으며 OLEV는 지난해 3월부터 서울대공원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KAIST는 지난해 6월 말레이시아 토지개발공사와 쿠알라룸푸르 인근 엔스텍 그린시티의 내부 순환도로 15㎞ 구간을 오갈 대중교통수단(버스)으로 OLEV를 도입하는 것으로 골자로 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데 이어 9월에는 미국 유타주립대와 파크시티에서 OLEV 시범사업을 펼치는 의향서를 체결했다.
연합뉴스
KAIST는 16일 오전 11시 교내 대강당에서 서남표 총장을 비롯한 주요 보직자와 교직원, 학생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교 4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기념식에서는 학술, 창의강의, 우수강의, 국제협력, 연구 등 5개 부문 대상 수상자로 생명과학과 김은준 교수, 생명과학과 월튼 존스(Walton Jones) 교수, 인문사회과학과 아비가일 신(Abigail Shin) 교수, 물리학과 신성철 교수,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를 각각 선정하고 시상했다.
또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모바일 관련 서비스가 크게 변화할 것을 예상하고 독창적인 모바일 플랫폼 ’오케스트레이터(Orchestrator)’를 개발해 관심을 끌었던 전산학과 송준화 교수는 신지식인상을 받았다.
KAIST는 개교기념식과 함께 40주년 기념 엠블렘도 마련했다.
엠블렘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학으로서 세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의지와 세계적인 리더 양성기관으로서 리더, 시작, 희망을 나타내는 별의 모양을 통해 40주년을 나타내고 있다.
KAIST는 개교 40주년을 맞아 오는 5월 9일 비전 선포식을 시작으로 다채로운 마련할 예정이다.
KAIST는 1971년 2월 16일 서울 홍릉에서 한국과학원(KAIS)로 출범했으며 1981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통합해 KAIST로 발전했고 대전으로는 1989년 이전했다.
1996년에는 부설 고등과학원이 서울에 설치됐으며 2009년에는 한국정보통신대(ICU)를 통합했고 올해까지 학사 1만1천341명, 석사 2만2천796명, 박사 8천578명을 배출했다.
그동안 KAIST는 국가 우주개발 중장기 기본계획의 하나로 추진된 소형과학 실험위성인 과학기술위성 1호를 개발해 2003년 9월 27일 러시아의 코스모스 발사체로 쏘아 올렸으며 과학기술위성 2호도 개발했으나 안타깝게도 나로호의 2차례 발사실패로 사라지고 말았다.
KAIST는 현재 과학기술위성 3호를 개발중이다.
또 2004년에는 국내 최초로 휴머노이드 이족보행 로봇인 휴보(HUBO)를 개발한 데 이어 2009년에는 국내 최초로 최대 시속 3.6㎞로 달릴 수 있으며 물건 잡기와 악수 및 수화가 가능한 휴보2를 개발, 일반에 공개했다.
이와 함께 무선으로 전기를 공급받아 달리는 ’온라인 전기차(OLEV:On-line Electric Vehicles)’를 세계 최초로 실용화했으며 OLEV는 지난해 3월부터 서울대공원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KAIST는 지난해 6월 말레이시아 토지개발공사와 쿠알라룸푸르 인근 엔스텍 그린시티의 내부 순환도로 15㎞ 구간을 오갈 대중교통수단(버스)으로 OLEV를 도입하는 것으로 골자로 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데 이어 9월에는 미국 유타주립대와 파크시티에서 OLEV 시범사업을 펼치는 의향서를 체결했다.
연합뉴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