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8월 17일 월요일

담박명지 영정치원(澹泊明志寧靜致遠) - 담박해야 뜻을 밝힐 수 있고, 편안하고 정숙해야 원대함을 이룬다

첨(瞻)은 중국 촉한(蜀漢) 승상 제갈량(諸葛亮)의 아들이다. 제갈량이 누군가. 나관중의 역사소설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속 주인공들인 유비(劉備), 관우(關羽), 장비(張飛)를 도운 책사 제갈공명이다. 그의 아들 첨은 어려서부터 총명했고 재능도 학습도 뛰어났다. 하지만 문제는 잘 난 아버지 덕분에 가슴 깊이 채움은 가득 있으되 스스로 비움을 몰라 불쑥불쑥 교만함이 대인관계에서 장애로 드러나곤 했다.
 
아이 때 똑똑하고 조숙한 아들은 성장할수록 목이 말처럼 뻣뻣해진다. 교만해진다. 교(驕)라는 한자의 부수 말(馬)이 담긴 의미가 바로 그런 거다. <노자> 9장에는 이런 명언이 등장한다. ‘부귀이교 자유기구(富貴而驕 自遺其咎). ‘부귀하면서 교만하면 스스로 허물을 남기게 된다’라는 뜻이다.
옛날 중국에서는 아이가 태어난 지 3개월이 지나면 길일을 골라서 머리카락을 자르고 아버지가 이름을 지어주었다고 한다. 瞻(첨)은 ‘보다, 관찰하다’라는 뜻이다. 세상을 잘 보고, 잘 관찰하라는 의미에서 제갈량이 이름을 지었던 것이다. 제갈첨의 자(字)가 사원(思遠)이다. 자는 성년식을 치룬 남자에게 주어지는 것으로 보통은 집안에 가장 큰 어른이나 명망 높은 귀한 손님의 몫이었다. 사원(思遠)은 ‘멀리 생각하라’는 의미가 담겨져 있다. 남들의 눈에도 첨은 한마디로 교만하게 보였던 거다.
8살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 ‘계자서(誡子書)’
234년때 일이다. 제갈량이 무공으로 출전한다. 그 때, 형 제갈근에게 편지를 썼다. 사랑스러운 아들을 걱정하는 내용이 보인다. 총명하고 조숙한 어린 아들을 둔 세상의 모든 아버지들이 가지는 마음 자락을 음미하고 짚어볼 수 있는 중요한 글로 보인다.
제갈첨은 지금 벌써 여덟 살이 되었고 총명하고 사랑스러운 아이인데, 그가 조숙하여 중요한 인재가 되지 못할까 봐 걱정입니다.(진수, <촉서>)
이렇게 편지를 쓰고 난 다음에 따로 제갈량은 여덟 살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도 썼다. 그 유명한 제갈량의 ‘계자서(誡子書)’는 이 때 쓰인 것이다. 한자로 총 86자다. 그 중에 특히 여덟 자인 ‘澹泊明志寧靜致遠(담박명지영정치원)’은 압권으로 수많은 선비들과 세인들에게 모두 경종을 울렸다. 한국의 애국지사와 지식인들도 무척 좋아했다. 대표적으로 백범 김구 선생, 안중근 의사 등이 있다.
 
澹泊明志寧靜致遠(담박명지영정치원)의 참뜻   
유비를 주군으로 모신 후 2인자로서 제갈량은 평생 조심스럽게 삼가는 성격의 소유자로 살았다. 재미 중국 역사학자 리둥팡(黎東方)이 프랑스 파리에서 대만의 정치가이자 대학자인 원세빈(袁世斌)을 만나 가르침을 구하는 적이 있었다. 제갈량이 아들 첨에게 내린 계자서 한자 총 86자에서 가장 백미로 볼 수 있는 ‘澹泊明志寧靜致遠(담박명지영정치원)’의 참뜻을 짐작할 수 있는 장면이 있어 소개한다.
 
몇십 년 전에 저는 파리에서 원세빈 선생의 가르침을 구한 적이 있습니다.
리둥팡: “어떤 사람이 큰일을 할 수 있을까요?”
원세빈: “머릿속이 맑고 깨끗해야 큰일을 할 수 있다.”
또 물었습니다.
리둥팡: “어떤 머릿속이라야 맑고 깨끗하다고 할 수 있는지요?”
원 선생님께서는 말씀하셨습니다.
원세빈: “맑고 깨끗하다는 것은 조리가 있다는 것이다. 무엇을 이해하든지 중심과 원칙이 있어서, 일의 대소와 선후를 나눌 수 있는 것이지.”
제갈량이 책을 읽으며 그 ‘대강’에 중점을 둔 것은 원 선생님이 말씀하신 바와 같이, 일이 일어났을 때 대소와 선후를 가리며 그 처리 방법을 연구한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의 동문 친구 세 사람은 모두 그와 달리 책 속의 자구를 완전히 기억하고 암송하기를 즐겼습니다. (리둥팡 <삼국지교양강의>, 돌베개펴냄)
 
대화 중에 ‘머릿속이 맑고 깨끗해야 큰일을 할 수 있다’라는 말은‘澹泊明志寧靜致遠(담박명지영정치원)’과 일맥상통한다. 어쩌면 제갈량이 평생 심득한 팔자(八字)일 것이다. 팔자를 알면 아들 첨의 운명이 자신처럼 나라를 구하는 광명으로 바뀌리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운명은 얄궂었다. 전장에서 병을 얻어 죽은 제갈량에게 달갑지 않을 방향으로 흐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때는 263년 봄이었다. 여덟 살 어린 소년 첨은 장성해 서른일곱의 나이가 되었다. 첨은 열일곱 살 때 장가를 들었다. 아버지를 잘 둔 덕분에 공주(유비의 손녀)를 아내로 맞이했다. 벼슬에도 올랐다. 기도위로 임명되었다. 다음해에는 우림중랑장이 되었으며, 곧 이어서 여러 차례나 승진을 하여 야성교위, 시중, 상서복야가 되었다. 게다가 아버지 제갈량처럼 군사장군이 되었다. 학문과 재능, 총명함이 아버지를 닮았다는 이유로 촉한의 수많은 백성들에게 인기가 높았고 많은 지지와 사랑을 받았다. 마침내는 촉한의 2대 황제 유선으로부터 아버지가 누렸던 모든 작위를 고스란히 이어받게 된다. 첨의 정치 영향력이 최대한 커진 거다.
그해 겨울은 유달리 추웠다. 위나라 장군 등애가 쳐들어왔다. 황제의 명을 받고, 제갈첨은 아버지가 그랬던 것처럼 전선으로 내달렸다. 병사들과 함께 부현에 주둔했는데 촉한의 선봉대가 그만 무너져 패했다. 할 수 없이 군사를 물렸다. 그 때 등애로부터 첨에게 편지가 당도했다. 내용인즉,
“만일 항복하면 반드시 표를 올려 낭야왕으로 삼겠다.”(진수, <촉서>)
편지를 보자마자 첨은 흥분했다. 매우 화가 났다. 보검을 뽑아 편지를 가지고 온 등애의 사자의 목을 베었다. 이윽고 전투가 벌어졌다. 일설에 따르면 부하 장군이 첨에게 신속하게 나아가 험요한 곳을 점거하여 적들이 평지로 들어오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충고했으나, 첨은 이 말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한다. 결과는 참담한 패배였다. 이때 제갈첨은 싸우다 장렬하게 죽고 만다.
첨이 흥분하지 않고 침착했더라면 싸움의 양상은 패하더라도 다시 반격의 기회를 찾는 기회로 달라지지 않았을까. 그러나 대사를 직접 치르기에는 첨의 머릿속이 맑고 깨끗하지 않았던 것 같다. 여덟 살 때, 아버지로부터 받은 8자 ‘澹泊明志寧靜致遠(담박명지영정치원)’의 교훈을 평소 새기고 있었더라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 사건이었다. 하긴 아버지 제갈량이 죽은 지 30년이나 지난 때였다.
아버지와 아들의 차이점
제갈량이 처음 사회에 나온 때는 스물여섯으로 유비와 유명한 만남인 ‘삼고초려(三顧草廬)’가 계기가 됐다. 그는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숙부를 따라 헤매다가 맨몸으로 융중에 정착한다. 융중에서 낮에는 직접 농사를 짓고, 밤에는 독서와 천하를 연구한 끝에 천하삼분계책인 ‘융중대책’을 탄생시켰다. 천하삼분이란 조조-유비-손권 3인이 정립해 있는 지배 지형을 말함이다. 이후로 군주 유비는 제갈량과 말하기를 좋아했다고 한다. 신뢰를 얻었기 때문이다.
이런 아버지 제갈량을 제갈첨은 여덟 살 때 잃었다. 하지만 아버지 명성 덕분에 출세하고 부마까지 되었으나 혼자 스스로 이룬 것이 아니었다. 재능과 총명함은 뛰어났으나 인격 수양은 별로였다. 허명(虛名)을 얻은 것은 아버지 제갈량의 후광 때문이었기에 서른일곱의 나이가 되었음에도 고질적인 교만함을 고치지 못했다. 제갈량이 사방에 귀(傾聽)를 열어놓고 사람을 상대했다면 제갈첨은 사방에 입을 열어놓았을 뿐이었다.
결론은 이렇다. 첨은 아버지 제갈량이 내린 팔자(八字)대로 살려고 하지 않았다. 아버지를 거울로 삼지 않았다. 오히려 까맣게 잊고 날마다 달마다 호의호식으로 전혀 미래에 대한 준비 없이 살았던 것이다. 제갈량은 군자(君子)였으나 첨은 소인(小人)에 지나지 않았다.
‘군자는 물을 거울로 삼지 않고, 사람을 거울로 삼는다(君子不鏡於水 而鏡於人)’라고 고대중국의 사상가 묵자가 말했다. 물은 나르시시즘(Narcissism)이다. 자기애(自己愛)라고도 볼 수 있다. 사람을 거울로 삼으면 거기에서 장·단점을 취하고 버릴 수 있고 길흉화복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버지를 거울로 삼지 않았기 때문에 제갈첨은 생명을 다하지 못하고 불운하게 전사하고 만 것이다. 안타까운 일이다. 다시 한 번 우리는 ‘澹泊明志寧靜致遠(담박명지영정치원)’의 교훈을 되새겨야 한다.
원대함에 이르기 위해서는 누군가 하나쯤은 동지(同志)를 구해야 한다. 유비가 제갈량에게, 제갈량이 유비에게 그런 존재인 것처럼 말이다. 교만함은 혼자 걷는 길이다. 멀리 가려면 함께 걷는 것이 좋다. 힘이 덜 든다. 더 멀리까지 갈 수 있다.
이코노믹리뷰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