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6월 23일 일요일

목계지덕(木鷄之德) - <장자(莊子)>

"보기에 흡사 나무로 만든 닭과 같으니 그 덕이 완전하구나!"

나무로 만든 닭처럼 작은 일에 흔들림이 없다는 뜻을 가짐.
望之似木鷄, 其德全
망지사목계, 기덕전
 

이 이야기는 장자의 달생편(達生篇)에 나옵니다.

기원전 8세기 중국 주나라의 선왕(宣王)은 닭싸움을 매우 좋아했답니다.
 
그 왕은 어느날 '기성자'라는 이름의 투계 조련사에게 최고의 싸움닭을 만들어 달라고 했습니다.

 열흘이 지나자 왕은 "닭싸움에 내 보낼 수 있겠냐며 물었습니다.

기성자는 " 닭이 강하긴 하나 교만하여 자신이 최고인줄 안다" 며 아직 멀었다고 답했습니다.

열흘이 또 지나자 왕은 다시 물었습니다.
"이제 그 닭을 닭싸움에 내 보낼수 있겠느냐?"

기성자가 대답하기를 "아직 안됩니다. 교만함은 버렸으나 상대방의 소리와 그림자에도 너무 쉽게 반응하기
때문에 인내심과 평정심을 길러야 할 것 같습니다."


다시 열흘뒤에 왕은 물었습니다 " 이제 되었느냐? 싸움에 내보낼수 있느냐 ?"

"조급함은 버렸으나 눈초리가 너무 공격적이라 눈을 보면 닭의 감정상태가 다 보입니다. 아직은 힘듭니다."

마침내 40일째가 되던날 기성자는

"이제 된 것 같습니다. 상대방이 아무리 소리를 지르고 위협해도 반응하지 않습니다. 완전히 편안함과 평정심을 찾았습니다."


"다른 닭이 아무리 도전해도 혼란이 없습니다. 마치 나무로 만든 닭같이 '목계(木鷄)' 가 됐습니다.
이젠 어떤 닭이라도 바라보기만 해도 도망칠 것입니다" 라고 대답하였다는 이야기 입니다.



무릇 목계의 덕을 가진 사람은 자신이 첫째라는 교만함이 없으며, 남의 소리와 위협에 민감하게 반응 하는 조급증을 버리고 마음의 평정심과 인내심을 갖추고 있으며 상대방에 대한 공격적인 눈초리를 버리고 부드러움과 겸손함을 가진 사람을 말함입니다.
 
그러므로 적이 오히려 그 위엄에 움찔함을 느끼고 물러가니 유연함이 강하고 센것을 이긴다는
것을 뜻하고 이런 사람이 바로 진정한 리더가 되는 것입니다.
  
장자가 이 고사에서 말하고자 하는 최고의 투계는 목계(木鷄)다. 목계가 되려면 세 가지 조건이 있다.

첫째, 자신이 제일이라는 교만함을 버려야 한다. 자신이 최고라고 으스대는 사람이 배워야 한다.

둘째, 남의 소리와 위협에 쉽게 반응하지 않아야 한다. 누가 뭐라고 하면 쉽게 반응하고 화를 내는 사람이 배워야 한다.

셋째, 상대방에 대한 공격적인 눈초리를 버려야 한다. 누구든 싸우고 경쟁하려고 하는 사람이 배워야 한다.



목계는 인간으로 말하면 완전한 자아의 성취와 평정심을 이룬 사람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내가 가지고 있는 특별한 광채와 능력을 상대방에게 드러내지 않기에 그 빛은 더욱 빛날 수 있다. 나무로 만든 닭처럼 평정을 유지할 수 있기에 남들이 쉽게 도발하지 못한다.

  겸손과 여유로 주변 편하게   

노자는 자신의 광채를 누그러뜨리고 이 풍진 세상의 눈높이와 함께하라는 화광동진(和光同塵)의 겸손함을 강조한다. 진정한 고수는 자신의 빛을 남에게 보이는 사람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의 빛을 감출 수 있는 사람이다.  

상대방의 행동에 태산처럼 움직이지 않는 강자의 여유로 맞설 줄 아는 사람이 참된 고수다. 함부로 상대방을 위협하는 눈초리를 보이지 않기에 상대방으로 하여금 스스로 외경을 느끼게 만든다. 어깨에 힘이 들어가 있지 않기에 상대방의 마음을 편하게 한다.
 

또한 어떤 상황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으므로 여유가 느껴진다. 교만과 조급, 그리고 공격적인 눈초리를 완전히 평정한 사람이 목계(木鷄)의 덕을 가진 사람의 모습이다. 목계의 덕을 가진 사람이 많은 조직은 늘 안정되고 편안할 것이다.

목계지덕(木鷄之德) - <장자(莊子)>

紀渻子는 爲王養鬪鷄라
기성자 위왕양투계
기성자가 임금을 위해 투계를 길르는데
 
十日而問鷄已乎아. 曰未也이다. 方虛憍而恃氣오이다
십일이문계이호 왈미야 방허교이시기
열흘이 되자 임금이 물었다
“이제 싸울만한 닭이 되었는가?”
그러자 기성자가 대답하였다.
“아직 멀었습니다.”
“지금은 허세만 부리고 교만하며 제 힘만 믿습니다.”
 
十日又問하니 曰未也이다. 猶應嚮景이오이다
십일우문 왈미야 유응향경
그런지 열흘이 지나서 임금이 또 묻자 기성자가 대답하였다.
“아직도 멀었습니다.”
“다른 닭의 울음소리를 듣거나 모습을 보면 당장 덤벼들 것처럼 합니다.”
 
十日又問하니 曰未也이다. 猶疾視而聖氣이오이다.
십일우문 왈미야 유질시이성기
그 뒤에 또 열흘이 지나서 임금이 묻자
기성자가 대답하였다 “아직도 안 되었습니다.”
“다른 닭을 보면 노려보면서 성난 듯이 합니다.”


十日又問하니 曰幾矣 鷄雖有鳴者나 已無變矣오이다 望之似木鷄矣요.
십일우문 일기의 계수유명자 이무변의 망지사목계의
그런지 십일 뒤에 임금이 묻자 기성자는 대답하였다.
“이제 거의 다 되었습니다.”
“다른 닭이 울면서 소리를 질러도 미동도 하지 않습니다.”
“멀리서 바라보면 마치 나무로 만든 닭과 같습니다.”
 
其德全矣니 異鷄는 無敢應者요 反走矣오이다.
기덕전의 이계 무감응자 반주의
“그 닭의 덕이 온전해 진 것입니다.”
“그러므로 다른 닭이 감히 덤비지 못하고 그대로 달아납니다.”
-장자(莊子)의 달생(達生)편-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