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6월 10일 월요일

美 MBA 출신 오너도 “자녀 경영수업은 中서 시키겠다”

대기업 일가 유학국가 보면 ‘미래 경영’ 청사진 한눈에 《 최근 영훈국제중을 자퇴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아들(13)이 중국 상하이(上海) 유학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대기업 오너 일가 자녀들의 해외 유학 국가 변천사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대기업 오너 가문이 선택하는 해외 유학 지역은 경영 트렌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일제강점기를 경험한 1세대 창업주들은 2세를 가까우면서도 선진 문물을 빨리 접할 수 있는 일본으로 보낸 사례가 많았다. 1990년대 이후 한국 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속속 성장하면서 3세들 사이에선 미국 유명 경영전문대학원 유학이 필수 코스가 됐다. 》 4세들은 부모와 멀리 떨어지지 않으면서도 글로벌 감각을 키울 수 있는 중국으로 가는 사례가 많다. 이전 세대와 달리 초등학교 때 해외 유학을 떠나기도 한다. 세대에 따라 세계 조류를 접하는 창구가 일본, 미국, 중국으로 변하고 있는 것이다. ○ 창업 2세 “일본을 따라잡아라” 1950, 60년대 유학길에 오른 2세들은 주로 일본에서 공부했다. 일본 와세다대를 중퇴한 고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는 세 아들을 모두 일본으로 유학 보냈다. 그는 “동경(도쿄)의 신학문이 어떤 것이며 동양의 중심지라는 동경의 조류가 어떤 것인지 알고 싶다는 생각이었다”고 일본에 대한 관심을 내비친 바 있다. 세계의 흐름을 읽히기 위해 자식들을 일본으로 유학 보냈다는 것이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부산사범부속초등학교 5학년 때인 1953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중학교 2학년 때 국내로 돌아와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대학은 다시 일본으로 가 와세다대 경제학부로 진학했다. 이 회장의 큰형인 이맹희 전 제일비료 회장도 도쿄대를 다녔고, 둘째 형인 고 이창희 씨도 1952년 이승만 정부의 유학생 1기로 와세다대에서 유학했다. 삼성가(家)와 동업 관계였던 효성가도 큰아들인 조석래 효성그룹 회장을 일본으로 유학 보냈다. 그 역시 이승만 정부의 유학생 1기였다. 조 회장은 일본에서 히비야고를 거쳐 와세다대를 졸업했다. ○ 3세 공식=사립초-SKY대-美 MBA 창업 3세들은 주로 경기, 경복 등 국내 명문 사립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이른바 ‘SKY’ 대학에 진학해 국내 정재계 인사 및 자제들과 인맥을 쌓은 뒤 미국 명문대학 경영학석사(MBA) 과정으로 유학을 떠나 경영 수업을 받는 경우가 많다. 삼성과 현대자동차의 3세들이 대표적이다. 이재용 부회장은 경기초와 경복고, 서울대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 비즈니스스쿨에서 경영학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은 경복초와 휘문고, 고려대 경영학과를 나와 1997년 미국 샌프란시스코대 대학원에서 경영학석사 과정을 밟았다. 조석래 회장은 아들인 조현준 효성 사장을 미국 명문 사립고인 세인트폴스로 보냈다. 조 사장은 대학은 예일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은 일본 게이오대를 나왔다. 일본에서 고교, 대학을 나온 뒤 미국에서 대학원을 마친 아버지와는 반대 행보를 했다. 조 회장의 동생인 조욱래 DSDL(옛 동성개발) 회장의 세 자녀도 세인트폴스 출신이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장남 김동관 한화솔라원 차장, 차남 김동원 씨도 세인트폴스를 거쳐 각각 하버드대와 예일대에 진학했다. 한 집안에서 대를 이어 같은 학교로 유학을 가는 사례도 적지 않다. 두산가는 미국 뉴욕대(NYU) 출신이 유독 많다. 두산중공업의 박용성 회장과 박지원 부회장, 박태원 두산건설 부사장 모두 뉴욕대 경영대학원 출신이다. 박 회장 아들인 박진원 두산산업차량 부사장과 박석원 두산엔진 상무도 아버지를 이어 뉴욕대에서 공부했다. 한진그룹은 조양호 회장을 필두로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출신이 많다. 조 회장의 동생인 고 조수호 전 한진해운 회장, 조정호 메리츠금융지주 회장이 이 대학 출신이다. 조 회장 아들인 조원태 대한항공 부사장과 장녀 조현아 대한항공 부사장은 USC 경영대학원 출신이며, 막내 조현민 대한항공 상무는 USC 커뮤니케이션학과를 졸업했다. ○ ‘G2’ 따라 바뀐 인기 유학 지역 중국이 2000년대 중반 이후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초강대국으로 성장하면서 최근에는 중국 유학길에 오르는 대기업 오너 자녀들이 늘어나고 있다. 학창 시절부터 중국의 주요 인사 및 자제들과 어울리며 ‘관시(關係·관계)’를 형성하는 게 좋다는 판단에서다. 상하이, 베이징(北京) 등 주요 도시마다 현지 학교 외에 미국계와 영국계 명문 국제학교들이 많아 영어와 중국어를 동시에 배울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중국을 ‘제2의 본사’로 삼겠다던 최태원 SK 회장은 두 딸을 고등학생 때 베이징으로 보냈다. 큰딸 윤정 씨(24)는 베이징국제학교(ISB)를 졸업하고 아버지처럼 미국 시카고대로 진학했다. 본인이 고집해 국제학교가 아닌 현지의 명문고교인 런민대부속고를 선택한 둘째 딸 민정 씨(22)는 2010년 우수한 성적으로 베이징대의 경영대에 해당하는 광화(光華)관리학원에 입학했다. 최신원 SKC 회장도 한영외고를 졸업한 장남 성환 씨(33)를 상하이 푸단대로 유학 보냈다. 고 이운형 세아그룹 회장의 장남인 이태성 세아홀딩스 상무(35)는 중국 칭화대에서 경영학석사 과정을 마쳤다. 동아일보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