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25일 월요일

미로 속 대학입시, 대학에 맡겨주세요

 늦은 밤 학원 근처에 우두커니 서서 아이 기다리는 일 참 많이 했다. 첫째가 대학 4학년, 둘째가 대학 1 학년이니까. 집사람이 귀동냥해서 만들어 준 시간표대로 열심히 데리러 다녔다. 언제부턴가 학원들이 끝나는 시간을 제한하면서 밤 10시쯤이면 학원 근처가 아수라장이 되곤 했다. 새치기와 차선 막고 주차하기 등, 내 아이만 태우면 그만이라는 무례함과 용감함이 판을 치는 세상이 된다. 그때마다 이건 아니다라는 자조 섞인 푸념도 했었다. 지금은 좀 나아졌을까? 크게 달라지지 않았을 거다.

수능이 끝났다. 우리 아이들 정말 큰일을 해냈다. 모두에게 격려의 박수를 보내고 싶다. 그런데 이제 시작이란다. 대학별로 치르는 시험에 대비해야 한다. 수능점수가 발표되기도 전에 가채점한 결과를 놓고 각 대학의 방침에 맞춰 수시입시를 치러야 한다. 각 대학의 전형방법을 모두 합치면 3000가지가 넘는다니 그 고민도 만만치 않다. 논술 또는 면접을 보고, 그 결과가 자기가 예측한 수능 결과와 맞아야 한다. 이것으로 끝이 아니다. 고등학교 3년 동안 치른 시험 결과인 내신도 반영된다. 수능은 끝났지만 방심할 수 없는 이유다. 우리 아이들이 대학입시를 위해 감당해야 할 일이 너무 복잡하고 가혹한 것 같다. 오죽하면 내신, 수능, 논술을 죽음의 트라이앵글이라고 했을까.

옛날엔 어땠을까? 예비고사와 본고사만 있었다. 예비고사는 각 시·도의 합격선에 맞춰 당락을 정했고, 일부 대학은 그 점수의 일정 비율을 반영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각 대학에 맞는 학생들을 뽑겠다고 만든 본고사를 보았다. 이런 본고사가 위주였던 셈이다. 이상적인 제도는 아니었지만 지금 아이들이 겪는 것에 비하면 훨씬 간단한 형태였다. 필자가 자란 대전에는 학원들도 많지 않았다. 단일 과목을 보충하는 정도의 학원이 있었을 뿐. 공교육의 위기라든가 선생님들에 대한 존경심이 무너졌다는 말도 들은 적이 없었다.

언제나 그랬듯이 이때쯤이면 대학입시가 전 국민의 관심사가 된다. 여러 가지 문제점을 여기저기서 말한다. 대부분의 가정에 자녀이거나 조카이거나 손자손녀이거나 수험생을 한두 명은 두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설득력을 갖는 것은 사교육비 부담이 너무 크다는 말이다. 예·체능계는 물론이고, 사고력을 요구하는 수능 시험에 대비하려면 학원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어서란다. 많은 가정에 경제적 부담을 주기도 하고, 그럴 수 없는 가정들과 위화감을 만들어낸다는 불만도 나온다. 경쟁 위주의 사회가 대학의 서열화를 만들었고, 부모들마다 유별난 교육열을 갖게 했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사회 전체의 경쟁병이라는 과도한 열기가 문제라는 거다. 이쯤 되면 교육의 문제를 넘어 사회문제로까지 확대된다.

입시방침이 너무 자주 바뀌는 게 문제라는 얘기도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해방 이후 지금까지 16차례나 바뀌었지만 근본적인 대책이기보다 땜질식 처방이었다고 비판한다. 정부 방침이 바뀌면 대학들은 거기에 맞춰 입시방침을 바꾸고, 학생들은 그걸 따라서 새로 대비해야 하는 악순환이 계속된다는 거다. 원점수, 표준점수, 백분위라는 복잡한 수능점수제도나 3000개가 넘는 입시전형 방법을 생각해 보면 학원이나 입시전문 상담기관을 찾지 않을 수 없게 한다는 거다.

마땅한 해결책을 찾기도 쉽지 않다 한다. 경쟁 위주 사회의 폐단을 지적하고, 경쟁 자체를 없앨 수는 없는 일이다. 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가 경쟁력 있는 인재를 길러내는 일이기 때문이다. 급변하는 국내외 현실 속에서 아이들이 잘 대처할 수 있게 만들어 주기 위해서다. 왜 경쟁해야 하고, 어떻게 경쟁하게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할 것 같다. 무슨 일이 생기면 공교육 환경만 탓하는 지금 같아선 내신도 없앨 수 없다. 학교 중심 교육이 수능이나 논술과 연결될 수 있게 해주는 게 필요하다. 말처럼 쉬울까 하겠지만 입시 방침에서 일관성을 유지하고, 예측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면 달라질 수도 있다. 국가는 교육의 큰 방향을 제시하고, 입시는 대학의 자율에 맡겨 두자. 그리고 그 방향에 어긋나는 부분을 국가가 감독하는 거다. 각 대학이 적합한 인재들을 선발해 경쟁력 있는 21세기 인재들로 키울 수 있도록 믿어 볼 때가 되었다는 생각이다.
중앙일보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