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1월 29일 일요일

베게너의 대륙이동설 100주년

독일의 탐험가이자 기상학자 알프레트 베게너. 오늘날은 그가 제안한 대륙 이동설로 과학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고 있다. 1912~13년 두 번째 그린란드 탐사 때 모습이다. ⓒ Free Photo
독일의 탐험가이자 기상학자 알프레트 베게너. 오늘날은 그가 제안한 대륙 이동설로 과학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고 있다. 1912~13년 두 번째 그린란드 탐사 때 모습이다. ⓒ Free Photo

1880년 독일 베를린에서 태어난 베게너는 베를린과 하이델베르크, 인스부르크 등 여러 도시의 대학에서 물리학, 기상학, 천문학을 공부했다. 1902~1903년에는 우라니아천문대에서 조수로 일하기도 했다. 1905년 천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지만, 기상학에 관심이 많았던 베게너는 두 살 위인 형 쿠르트와 함께 린덴버그항공전망대에서 일하며 기구를 이용한 기상관측분야를 개척했다. 1906년 베게너 형제는 직접 기구를 타고 무려 52.5시간을 머무르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이 해 베게너는 그린란드 탐사에 참여하게 되는데 그 뒤 세 차례 더 그린란드를 찾았고 결국 그곳에서 목숨을 잃게 된다. 요즘도 산악인들이 등정을 하다 사망하는 소식이 간간히 들리지만 100년 전에는 훨씬 더 위험했다. 첫 탐사에서도 대장을 비롯해 세 명이 사망했다.
1908년 마부르크대에서 강사로 있으면서 베게너는 기상학을 비롯해 다양한 지구과학 분야를 연구했고 그 과정에서 대륙의 형태와 관련한 흥미로운 발견을 하게 된다. 즉 남아메리카 대륙의 동부 해안선과 아프리카 대륙의 서부 해안선이 우연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교묘하게 일치했던 것. 어쩌면 둘이 한 대륙이었다가 쪼개진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이른 베게너는 연구에 착수했고 지질학, 고생물학 분야에서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꽤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베게너는 1912년 1월 6일 프랑크프루트 지질학회 모임에서 대륙이 이동한다는 가설을 처음 발표했고 이 해 관련 논문 세 편을 썼다. 그리고 두 번째 그린란드 탐사를 떠났다. 당시 탐사대장 피터 코흐가 다리골절을 당해 베게너는 그와 함께 둘이서 그린란드 북동부에서 겨울을 나기도 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터지자 베게너도 징집돼 참전했지만 큰 부상을 입고 후방에서 기상업무를 보게 됐다. 이 때 집필한 책이 그 유명한 ‘대륙과 해양의 기원’이다. 이 책에서 베게너는 대륙이동설을 본격적으로 논하면서 오늘날 서로 떨어져 있는 대륙들이 과거 한 덩어리로 붙어있던 초대륙을 판게아(Pangaea)라고 불렀다.
혁명적인 주장을 담고 있는 책이었음에도 전쟁 중이라 별 주목을 받지 못했는데, 1922년 내용을 대폭 보완한 3판이 나오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해 독일을 넘어 세계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대륙 이동설의 영어 번역어 continental drift가 나온 것도 이 해다. 그럼에도 대륙 이동설에 대한 반응 대부분은 환호가 아니라 격렬한 반대였다. 당시 지질학의 권위자들은 대륙이 이동한다는 발상을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 무엇보다도 베게너는 지질학자가 아니라 기상학자였다.
물론 흥미로운 지질학 증거와 고생물학 증거가 꽤 있었지만 무엇보다도 그 거대한 대륙이 움직인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설득력있는 메커니즘이 없었다. 베게너 자신이 제안한 메커니즘 역시 역부족이었다. 즉 지구의 자전으로 인한 원심력이나 외부 천체의 작용에 의한 세차는 대륙을 움직이기에는 너무 약한 힘이었다. 게다가 베게너는 대륙 이동 속도가 1년에 2.5미터라고 가정했다. 이는 훗날 밝혀진 2.5센티미터보다 너무 큰 수치였다.
1929년 베게너는 세 번째로 그린란드를 탐사했다. 다음해 진행할 대규모 탐사를 위한 예비조사였다. 1930년 네 번째이자 마지막이 된 그린란드 탐사를 떠난 베게너는 11월에 조난됐고 이듬해 5월 시체가 발견됐다. 수많은 사람들의 죽음을 보면서도 결국 탐사의 유혹을 극복하지 못한 결과다.
베게너는 1915년 펴낸 책 ‘대륙과 해양의 기원’에서 대륙 이동설을 자세히 설명했다. 책에 실린 베게너가 직접 그린 그림으로 오늘날 아메리카 대륙(왼쪽)과 아프리카(오른쪽 아래), 유럽(오른쪽 위)이 붙어 있는 초대륙을 보여주고 있다. 2010년 ‘대륙과 해양의 기원’ 한글판이 나왔다. ⓒ ‘알프레트베게너연구소’
베게너는 1915년 펴낸 책 ‘대륙과 해양의 기원’에서 대륙 이동설을 자세히 설명했다. 책에 실린 베게너가 직접 그린 그림으로 오늘날 아메리카 대륙(왼쪽)과 아프리카(오른쪽 아래), 유럽(오른쪽 위)이 붙어 있는 초대륙을 보여주고 있다. 2010년 ‘대륙과 해양의 기원’ 한글판이 나왔다. ⓒ ‘알프레트베게너연구소’
판 구조론으로 이어져
베게너는 용감한 탐험가이자 탁월한 기상학자로 일생을 마쳤지만 그 뒤 한 세대 만에 혁명적인 지질학자로 부활했다. 그 사이 그의 대륙 이동설을 지지하는 여러 관측결과들이 축적됐기 때문이다. 즉 1950년대 들어 해저 지각의 잔류지자기 방향이 시대에 따라 바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앞서 1930년대 영국의 지질학자 아더 홈즈는 대륙이 이동하는 원동력의 메커니즘을 제안했다. 즉 지구 내부 방사성 동위원소의 붕괴열로 맨틀이 대류를 일으키면서 지각이 이동했다는 것.
1960년대 들어 대륙 이동설은 판 구조론으로 발전한다. 즉 지각은 10여개의 판으로 이뤄져 있고 판이 이동하고 충돌하면서 각종 지질학적 사건이 일어난다는 것. 전 세계의 화산대와 지진대가 판들이 만나는 지점과 일치한다는 게 밝혀지면서 오늘날 판 구조론은 널리 받아들여지는 정설이 됐다.
1930년 10월 영하 60도의 그린란드에서 동료 라스부스 빌룸센과 개 두 마리가 끄는 썰매를 타고 캠프로 이동하던 베게너는 식량이 떨어지자 개 한 마리까지 잡아먹는 극단적인 상황에 직면한다. 그의 시체는 빌룸센이 가매장한 상태로 발견됐고 당시 23세였던 빌룸센 역시 직후 사망한 것으로 보이는 데 그의 시체는 결국 찾지 못했다. 나이 오십에 죽음을 앞둔 베게너가 한 세대 뒤 자신의 학설이 지질학계의 종의 기원에 해당하는 명성을 얻게 될 지 짐작이나 할 수 있었을까.
     ScienceTimes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