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에서,
산술 기하 평균(算術幾何平均,
영어: arithmetic–geometric mean)은
산술 평균과
기하 평균연산에 의한
점화 수열에
극한을 취하여 얻어진
평균값이다. 구체적으로, 두
실수 x, y의 산술 기하 평균
M(x, y)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alttext="{\displaystyle a_{1}={\frac {x+y}{2}}}"><semantics><annotation encoding="application/x-tex">{\displaystyle a_{1}={\frac {x+y}{2}}}</annotation></semantics></math>
-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alttext="{\displaystyle g_{1}={\sqrt {xy}}}"><semantics><annotation encoding="application/x-tex">{\displaystyle g_{1}={\sqrt {xy}}}</annotation></semantics></math>
이후
a1과
g1을
x와
y 자리에 넣어 이 연산을 반복하면 두
수열 (an), (gn)을 얻게 된다.
-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alttext="{\displaystyle a_{n+1}={\frac {a_{n}+g_{n}}{2}}}"><semantics><annotation encoding="application/x-tex">{\displaystyle a_{n+1}={\frac {a_{n}+g_{n}}{2}}}</annotation></semantics></math>
-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alttext="{\displaystyle g_{n+1}={\sqrt {a_{n}g_{n}}}}"><semantics><annotation encoding="application/x-tex">{\displaystyle g_{n+1}={\sqrt {a_{n}g_{n}}}}</annotation></semantics></math>
이 두 수열은 같은 값으로
수렴하며, 이 수렴값을
x와
y의
산술 기하 평균이라 한다.
M(x, y) 또는
agm(x, y)로 표기한다.
일반화적인 산술평균 및 기하평균은 다음과 같다.
24와 6의 산술 기하 평균을 구하기 위해, 먼저 그들의 산술 평균과 기하 평균을 계산한다.
-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alttext="{\displaystyle a_{1}={\frac {24+6}{2}}=15}"><semantics><annotation encoding="application/x-tex">{\displaystyle a_{1}={\frac {24+6}{2}}=15}</annotation></semantics></math>
-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alttext="{\displaystyle g_{1}={\sqrt {24\times 6}}=12}"><semantics><annotation encoding="application/x-tex">{\displaystyle g_{1}={\sqrt {24\times 6}}=12}</annotation></semantics></math>
-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alttext="{\displaystyle {\begin{aligned}a_{2}&={\frac {15+12}{2}}=13.5\\g_{2}&={\sqrt {15\times 12}}=13.41640786499\dots \\\dots \end{aligned}}}"><semantics><annotation encoding="application/x-tex">{\displaystyle {\begin{aligned}a_{2}&={\frac {15+12}{2}}=13.5\\g_{2}&={\sqrt {15\times 12}}=13.41640786499\dots \\\dots \end{aligned}}}</annotation></semantics></math>
다섯번을 반복하면 다음의 값들을 얻는다.
n | an | gn |
0 | 24 | 6 |
1 | 15 | 12 |
2 | 13.5 | 13.416407864998738178455042… |
3 | 13.458203932499369089227521… | 13.458139030990984877207090… |
4 | 13.458171481745176983217305… | 13.458171481706053858316334… |
5 | 13.458171481725615420766820… | 13.458171481725615420766806… |
반복을 매 번 행할 때마다 일치하는 숫자(밑줄)의 개수가 대략 두 배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수열이 공동으로 가지는 극한이 곧 산술 기하 평균이다, 그 값은 약 13.4581714817256154207668131569743992430538388544이다. 무슨 공식인지 알게 된다면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1]
두 수열에 기반한 최초의 알고리즘은
라그랑주의 저작에 기술되었다. 그의 성질은
가우스에 의해 분석되었다.
[2]
기하 평균은 항상 산술 평균보다 작거나 같다(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또 기하 평균과 산술 평균 모두 두 수의 최솟값보다 크고 최댓값보다 작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alttext="{\displaystyle \min\{x,y\}\leq g_{1}\leq g_{2}\leq \cdots \leq M(x,y)\leq \cdots \leq a_{2}\leq a_{1}\leq \max\{x,y\}}"><semantics><annotation encoding="application/x-tex">{\displaystyle \min\{x,y\}\leq g_{1}\leq g_{2}\leq \cdots \leq M(x,y)\leq \cdots \leq a_{2}\leq a_{1}\leq \max\{x,y\}}</annotation></semantics></math>
이 성립한다. x = y인 경우를 제외하면 모든 등호가 성립하지 않는다.
위에서 알 수 있듯이, M(x, y)는 x와 y 사이에서, 더 정확히는 기하 평균과 산술 평균의 사이에서 값을 취한다.
r ≥ 0에 대해, M(rx, ry) = r · M(x, y)의 등식이 성립한다.
다음은 M(x, y)의 적분 형식이다.
-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alttext="{\displaystyle {\begin{aligned}M(x,y)&={\frac {\pi }{2}}{\bigg /}\int _{0}^{\frac {\pi }{2}}{\frac {d\theta }{\sqrt {x^{2}\cos ^{2}\theta +y^{2}\sin ^{2}\theta }}}\\&={\frac {\pi }{4}}\cdot {\frac {x+y}{K\left({\frac {x-y}{x+y}}\right)}}\end{aligned}}}"><semantics><annotation encoding="application/x-tex">{\displaystyle {\begin{aligned}M(x,y)&={\frac {\pi }{2}}{\bigg /}\int _{0}^{\frac {\pi }{2}}{\frac {d\theta }{\sqrt {x^{2}\cos ^{2}\theta +y^{2}\sin ^{2}\theta }}}\\&={\frac {\pi }{4}}\cdot {\frac {x+y}{K\left({\frac {x-y}{x+y}}\right)}}\end{aligned}}}</annotation></semantics></math>
-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alttext="{\displaystyle K(k)=\int _{0}^{\frac {\pi }{2}}{\frac {d\theta }{\sqrt {1-k^{2}\sin ^{2}(\theta )}}}}"><semantics><annotation encoding="application/x-tex">{\displaystyle K(k)=\int _{0}^{\frac {\pi }{2}}{\frac {d\theta }{\sqrt {1-k^{2}\sin ^{2}(\theta )}}}}</annotation></semantics></math>
산술 기하 평균의 빠른 수렴 속도는 위 공식을 이용해 타원 적분을 효율적으로 계산 가능하게 한다. 공학에서
타원 필터의 설계 등에 사용되기도 한다.
[3]
관련 개념[편집]
-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alttext="{\displaystyle G={\frac {1}{M(1,{\sqrt {2}})}}=0.8346268\ldots }"><semantics><annotation encoding="application/x-tex">{\displaystyle G={\frac {1}{M(1,{\sqrt {2}})}}=0.8346268\ldots }</annotation></semantics></math>
기하 조화 평균은 이와 비슷하게 기하 평균과
조화 평균을 사용해 정의한 수열의 극한값이다. 산술 조화 평균 또한 비슷한 방법으로 얻어지나, 이는 곧
기하 평균과 같다.
M의 존재성 증명[편집]
두 수열 (an), (gn)은 항상 같은 값으로 수렴한다. 다음은 이를 증명한 것이다.
-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alttext="{\displaystyle g_{n}\leq a_{n}}"><semantics><annotation encoding="application/x-tex">{\displaystyle g_{n}\leq a_{n}}</annotation></semantics></math>
x ≤ y는 증명에 영향을 주지 않는 가정이다. 이 때 다음이 성립한다.
-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alttext="{\displaystyle {\begin{aligned}x&\leq g_{1}\\a_{1}&\leq y\end{aligned}}}"><semantics><annotation encoding="application/x-tex">{\displaystyle {\begin{aligned}x&\leq g_{1}\\a_{1}&\leq y\end{aligned}}}</annotation></semantics></math>
또한 다음과 같이
(an), (gn) 모두가
단조수열임을 보일 수 있다.
-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alttext="{\displaystyle g_{n+1}={\sqrt {g_{n}a_{n}}}\geq {\sqrt {g_{n}g_{n}}}=g_{n}}"><semantics><annotation encoding="application/x-tex">{\displaystyle g_{n+1}={\sqrt {g_{n}a_{n}}}\geq {\sqrt {g_{n}g_{n}}}=g_{n}}</annotation></semantics></math>
-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alttext="{\displaystyle a_{n+1}={\frac {g_{n}+a_{n}}{2}}\leq {\frac {a_{n}+a_{n}}{2}}=a_{n}}"><semantics><annotation encoding="application/x-tex">{\displaystyle a_{n+1}={\frac {g_{n}+a_{n}}{2}}\leq {\frac {a_{n}+a_{n}}{2}}=a_{n}}</annotation></semantics></math>
모든 부등식을 연립하면 다음을 얻는다.
-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alttext="{\displaystyle x\leq g_{1}\leq g_{2}\leq \cdots \leq a_{2}\leq a_{1}\leq y}"><semantics><annotation encoding="application/x-tex">{\displaystyle x\leq g_{1}\leq g_{2}\leq \cdots \leq a_{2}\leq a_{1}\leq y}</annotation></semantics></math>
따라서 (an), (gn) 모두 단조, 유계이며, 고로 수렴한다. 또한
- <math xmlns="http://www.w3.org/1998/Math/MathML" alttext="{\displaystyle a_{n}={\frac {g_{n+1}^{2}}{g_{n}}}}"><semantics><annotation encoding="application/x-tex">{\displaystyle a_{n}={\frac {g_{n+1}^{2}}{g_{n}}}}</annotation></semantics></math>
의 양변에 극한을 취하면 두 수열의 극한값이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Wikipedia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