윷놀이, 딱지치기, 연날리기, 땅따먹기 등
민족 최대 명절 추석이 다가왔다. 이번 추석에는 아이들과 온라인이나 모바일 게임이 아닌 재미는 물론 수학 공부까지 할 수 있는 전통놀이를 해보면 어떨까? 윷놀이, 딱지치기 등 전통놀이 속에는 수개념부터 확률 등 다양한 수학원리가 담겨있어 놀이를 통해 수학적 사고력도 자연스럽게 기를 수 있다.
"추석 연휴를 맞아 가족, 친지와 함께 다양한 전통놀이를 해보면 친목 다지기는 물론 생활 속 수학 개념까지 깨우칠 수 있다"고 말했다.
윷놀이, 딱지치기 등 전통놀이 속에는 수개념부터 확률 등 다양한 수학원리가 담겨있어 놀이를 통해 수학적 사고력도 자연스럽게 기를 수 있다.
|
◇ 윷놀이
가족과 친지들과 함께 즐기는 대표적인 전통놀이인 '윷놀이'는 흔히 운으로 많이 좌우되는 게임이라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경우의 수, 공간 개념 등의 원리가 담겨있는 대표적인 사고력 수학 놀이다.
윷놀이는 4개의 윷가락을 던져 그 결과대로 말을 이동시켜 가장 먼저 말판을 벗어난 팀이 이기는 게임인데, 말을 놓은 방법과 경로, 상대방의 움직임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수학 개념은 물론 전략적 사고도 익힐 수 있다.
4개 윷으로 나올 수 있는 경우는 모두 16가지로 만약 윷이 엎어지거나 뒤집히는 확률이 50%라면 '도'나 '걸'이 나올 확률은 각각 25%다.
하지만 윷의 모양 때문에 엎어지거나 뒤집히는 확률이 정확히 50%는 아니다. 실제로는 도보다는 걸, 모보다는 윷이 더 잘 나오는 편이다. 윷의 생김새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겠지만 실제로는 뒤집힐 확률이 좀 더 높다. 따라서 개, 걸, 도, 윷, 모의 순서로 자주 나오고 뒤집힐 확률이 조금만 더 높아도 윷이 도보다 자주 나온다.
각각의 말이 놓인 상태와 도, 개, 걸, 윷, 모가 나올 확률, 윷의 모양 등을 고려하면 좀더 전략적으로 윷놀이를 할 수 있다.
◇ 딱지치기
종이로 접은 딱지를 땅바닥에 놓고 다른 딱지로 쳐서 뒤집히거나 금 밖으로 나가면 따먹는 딱지치기도 생활 속 수학 원리를 익힐 수 있는 전통놀이다.
종이로 딱지를 만드는 과정에 나오는 사각형과 삼각형 등 도형 모양을 알 수 있는 것은 물론, 도형이 모이거나 나누어지면 새로운 도형이 나온다는 개념도 익힐 수가 있다. 여러 개의 딱지를 만들어서 부피와 무게, 넓이 등을 비교해보면서 측정 개념을 발달시킬 수 있다.
또한 앞과 뒤 개념이 모호한 아이라면 자신의 딱지를 이용해 다른 딱지로 넘기는 활동을 통해 앞과 뒤에 대한 개념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 연날리기
연날리기도 수학 원리를 체득할 수 있는 좋은 전통놀이로 직접 연을 만들어보면서 대칭과 균형 원리를 깨칠 수 있다. 연
만들기의 기본은 연을 얼마나 대칭으로 만드느냐에 달려있다. 연의 한 가운데에 줄을 그어 양쪽 모두 크기와 모양이 같은 대칭 개념을 이해해보고 대칭이 잘 된 연과 그렇지 않은 연을 만들어 연날리기를 할 때 어떻게 다른지를 확인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연 만들기에 이어 색종이나 데칼코마니 등으로 활동을 확장해볼 수도 있다.
◇ 땅따먹기
원래 땅 따먹기는 돌을 세 번 튀겨서 자신의 집으로 돌아오는 놀이인데, 땅 따먹기 판을 만들어 가위바위보를 통해 이긴 사람이 원하는 땅을 하나씩 가져가 궁극적으로 어느 쪽 땅이 면적이 큰지 겨루는 놀이로 변형해볼 수 있다.
이 게임을 통해 수와 넓이에 대한 개념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
베이비뉴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