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9월 17일 월요일

하루 3시간이면 10년… '1만 시간의 법칙'을 아시나요?

"영수야, 물이 담긴 종이컵을 불에 올려놓으면 어떻게 될까?" 만물박사 삼촌이 영수에게 물었어요. "에이, 삼촌. 그것도 몰라요? 종이로 만든 컵이니까 당연히 타겠지요." "정말, 그럴까? 내 생각에는 타지 않을 것 같은데…." "삼촌이 아무리 만물박사지만 이번에는 제가 맞아요. 어떻게 종이가 불에 타지 않겠어요?" "그럼, 우리 한 번 실험해 볼까?"

영수와 삼촌은 당장 실험에 들어갔어요. 종이컵과 물, 그리고 알코올램프를 준비했지요. 먼저 종이컵에 물을 넣은 다음, 불을 켠 알코올램프 위에 올려놓았어요. 영수는 종이컵이 불에 닿자마자 탈 거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영수의 기대와는 달리 종이컵은 멀쩡했어요. 그래도 조금 기다리면 종이컵에 불이 붙을 거라고 생각하며 종이컵을 뚫어져라 바라보았지요. 하지만 아무리 기다려도 종이컵은 타지 않고 대신 물만 끓었답니다.

"그것 봐. 내가 타지 않을 거라고 했지?" "삼촌, 어떻게 된 거예요?"

"종이컵이 타지 않은 건 종이컵 속에 담긴 물이 열을 빼앗아가기 때문이란다."

"그럼, 물이 다 끓으면 어떻게 될까요?" "만약 그때까지 불을 끄지 않는다면 종이컵이 타 버리겠지?" "그렇구나. 삼촌 덕분에 새로운 걸 알게 되었어요."
●창의력 문제 1
물이 끓는다는 건 무엇을 뜻할까요? 액체였던 물이 변하여 기체가 되기 시작했다는 뜻입니다. 상태에 커다란 변화가 생기는 것이지요. 물은 섭씨 100도가 돼야 끓습니다. 그 전까지는 아무리 열을 가해도 온도만 높아질 뿐 액체 상태 그대로지요. 하지만 100℃가 되는 순간 물은 기체로 변하기 시작합니다. 이와 비슷한 현상에 또 무엇이 있을지 생각해 보세요.
[이야기 둘]
'1만 시간의 법칙'이라는 것을 아나요? 어떤 분야이든 최소 1만 시간을 투자해야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것이지요. 바이올린을 배우는 학생의 경우를 예로 들어볼게요. 어릴 때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해 어른이 된 뒤 어떻게 되었는지 알아보았더니, 뛰어난 전문 연주자가 된 학생들은 1만 시간의 연습시간을 가졌다고 해요. 평범한 바이올리니스트가 된 학생은 8000시간, 남에게 바이올린을 가르치는 사람이 된 학생은 4000시간의 연습시간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지요. 1만 시간은 하루에 3시간씩 투자한다고 했을 때 10년이 걸리는 시간이에요. 무슨 일을 하든 이 정도는 투자해야 한 단계 더 높이 올라설 수 있지요.

허드슨 강에 추락한 비행기의 승객들이 날개 위에서 구조를 기다리고 있어요. 승객 전원이 무사히 구출되었지요. 이런 기적이 가능했던 이유는 사고 여객기의 기장이 1만 9000시간의 비행기록을 가지고 있는 최고의 조종사였기 때문이지요. /AP
'허드슨 강의 기적'에도 이 법칙을 적용할 수 있어요. 허드슨 강의 기적이란 2009년 1월 16일 승객 155명을 태운 US에어 소속 비행기가 이륙 4분 만에 허드슨 강으로 추락할 뻔했다가 가까스로 착륙해 모든 승객이 안전하게 구조된 사건을 말해요. 당시 비행기 엔진에 빨려 들어간 철새들이 고장을 일으켜 비상 착륙할 수밖에 없었는데, 강에 추락하는 대신 수면을 스치듯이 비행해 승객 전원이 무사히 구출되었지요. 보통의 경우라면 있을 수 없는 기적이 일어난 것이에요. 이런 기적이 가능했던 이유는 당시 기장이 최고의 조종사였기 때문이었지요. 사고 여객기의 기장 체슬리 슐렌버거는 공군 조종사 시절부터 무려 1만9000시간의 비행기록을 가지고 있는 베테랑 조종사였거든요.
●창의력 문제 2
물이 100℃가 되어야 끓듯이 1만이라는 시간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1만이라는 시간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적절한 예를 들어 말해 보세요.

조선일보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