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9월 20일 목요일

뉴턴의 업적, 앞선 학자들이 없었다면 가능했을까?

과학자인 뉴턴은 로버트 훅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자신의 업적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했다고 한다. "내가 남보다 좀 더 멀리 볼 수 있었던 것은 거인들의 어깨 위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때 뉴턴이 이야기한 거인들은 뉴턴에 앞선 학자들이라고 할 수 있다. 지동설을 고안해 낸 코페르니쿠스, 정확한 관측으로 지구가 태양을 중심으로 타원 궤도를 따라 돌고 있음을 찾아낸 케플러, 또 물리학과 천문학 모두에서 업적을 남긴 갈릴레이 등이 뉴턴이 설 수 있는 어깨가 된 인물들이다.

[이야기 둘]
왈라스는 1874년에 자신이 완성한 한계효용 이론을 의기양양하게 사람들에게 발표했어. 사람들은 왈라스에게 되물었지.

"모르고 있었어요? 한계효용 이론은 이미 3년 전에 영국의 윌리엄 제본스와 오스트리아의 칼 멩거라는 경제학자가 발표했는데요." 왈라스가 한계효용 이론을 완성하기까지는 수학자 삐까르 같은 사람들의 도움이 있었어. 하지만 다른 경제학자들의 도움을 받지 않고 혼자 힘으로만 열심히 연구하다 보니, 왈라스는 이런 사실들을 모르고 있었던 거야. (내용 참고: 요술피리, '거꾸로 경제학자들의 바로 경제학'·올벼)

●창의력 문제 1
〈이야기 하나〉와 〈이야기 둘〉에 등장하는 주인공인 뉴턴과 왈라스는 모두 그 시대에 큰 공을 남긴 인물들입니다. 그런데 이들에게는 큰 차이가 있었네요. 그 차이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세요.
그림=정서용
[이야기 셋]
나는 일찍이 종일토록 사색에 잠긴 일이 있었으나 잠깐 동안 공부하여 얻은 것만 못하였다. 내 일찍이 발돋움을 해가며 멀리 바라보려고 하였으나 높은 곳에 올라가 바라보는 것만 못하였다. 높은 곳에 올라가서 손짓을 하면 팔이 더 길어지는 것도 아니지만 멀리까지 볼 수 있고, 바람을 따라 소리치면 소리가 더 커지는 것은 아니지만 분명하게 들을 수 있다.

수레와 말을 이용하는 사람은 발걸음이 더 빨라지는 것도 아니지만 멀리 천 리 길을 갈 수 있고, 배와 노를 이용하면 사람은 물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강을 건널 수가 있다. 군자도 나면서부터 남다른 것이 아니라 다른 사물의 이치를 잘 빌려 선용한 결과이다. (내용 참고: 순자, '순자'·홍신문화사)

●창의력 문제 2
위의 글은 고대 중국의 학자인 순자의 사상을 담은 글입니다. 그가 이야기하는 것이 무엇인지 한 줄 한 줄 읽으며, 그 뜻을 풀이해 보세요.

●창의력 문제 3
순자가 〈이야기 하나〉의 뉴턴과 〈이야기 둘〉의 왈라스의 이야기를 듣는다면 누가 더 현명하다고 이야기할 거라고 생각하나요? 이에 답하고, 순자가 덜 현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 어떤 충고를 할지 여러분이 순자가 되어 그에게 전하는 편지를 써 보세요.

●창의력 문제 4
여러분 주변의 환경을 둘러보세요. 좋은 부분도 눈에 띄지만, 나를 어려움에 빠뜨리는 환경도 있을 거예요. 순자라면 이런 환경을 어떻게 생각하라고 이야기할까요? 여러분이 직접 여러분 주변의 좋은 환경과 나쁜 환경을 2개씩 꼽아 보세요. 그리고 순자의 입장에서 이들을 어떻게 해야 할지 이야기해 보세요.

조선일보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