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힉스 영국 에든버러대 교수와 벨기에의 프랑수아 엥글레르 브뤼셀자유대학 교수가 힉스 입자의 존재를 발견한 공로로 노벨물리학상을 공동수상했다고
스웨덴 한림원이 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힉스(84)와 엥글레르(81)는 1964년 이른바 '신의 입자'라고 불리는 '힉스
보손'(힉스) 입자의 존재를 예측했다.
힉스 입자란 물질을 구성하는 17개의 기본입자 중 모든 소립자에 질량을 부여하는 소립자의
하나다. 힉스 입자는 다른 입자의 성질과 질량을 부여해 신이 숨겨 놓은 '신의 입자'로 불리운다. 즉 이 입자의 존재로 입자론이 완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물체의 흔들림으로 바람의 존재를 알 수 있는 것처럼 직접 볼 수 없기 때문에 종종 바람에
비유되기도 한다.
한림원은 힉스와 엥글레르 교수의 이론이 "세상이 존재하게 된 방법을 설명하는 입자물리학 표준모형의 중심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엥글레르 박사는 동료 물리학자 로버트 브라우트 박사와 함께 세계 최초로 힉스 입자 관련 이론을 발표했다.
브라우트는 그러나 입자 발견을 확인하지 못하고 2011년 사망했다.
입자 이름의 주인인 힉스 박사는 이론 발표에 있어 이들보다 2주
정도 늦었지만 힉스 입자의 존재를 더욱 명쾌하게 예측하고 이론화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이후 미국의 칼 헤이건, 제럴드 구럴닉과
영국의 톰 키블 등도 힉스에 이어 입자의 존재를 제안하고 논문으로 출판했다.
1964년 영국의 물리학자 피터 힉스가 존재한다고 밝힌
이후로 50년이 가깝게 한 번도 발견되지 않다가 지난해 7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그 존재를 공식 확인했다.
힉스 교수는
수상자 발표 후 성명을 통해 "상을 받게 돼 매우 기쁘며 스웨덴 한림원에 감사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 입자의 발견에 기여한 모든
이들과 가족에게도 축하의 말을 전하고 싶다"며 "기초 과학 분야에 대한 인정으로 블루스카이 연구(blue-sky research·현실 세계에
즉각 적용할 수 없는 과학 연구 분야)의 가치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엥글레르 교수는 "노벨위원회의 인정을
받아 매우, 매우 행복하다"고 소회를 밝혔다.
지난해 CERN이 힉스 입자 존재를 확인한 사실에 대해서는 "수십년에 걸친 지적
노력의 결실"이라고 말했다.
두 과학자는 상금 800만 크로나(약 13억원)를 나눠 갖게 된다.
(스톡홀름
로이터=뉴스1)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