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9월 24일 화요일

자녀의 생활 상태를 파악하는 Check List 10





1. 꼬치꼬치 캐묻지 말고 자료를 활용하라

아이의 상태를 파악하겠다고 “너 이거 했어. 안 했어? 왜 안 했어?” 하고 심문하듯이 캐물으면 안 됩니다. 아이의 방어 본능을 발동시켜서 오히려 역효과를 일으킬 뿐입니다. 했는지 안 했는지는 물어볼 필요도 없습니다. 문제집을 확인하고 아이의 노트를 펼쳐보면 얼마나 공부를 했는지, 어떻게 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찾아보면 되는 것을 꼬치꼬치 물어서는 안 됩니다.
물어볼 것이 있으면 질문을 하더라도 객관성을 잃지 않고, 넌지시 해야 합니다. 더 묻고 싶은 것이 있으면 정식으로 인터뷰합니다. 질문한 것을 미리 정리해 놓고, 자녀와 약속을 잡습니다. 그리고 마주앉아
물어보면 자녀도 분위기를 타고 진지하게 대답하게 됩니다.

2. TV를 얼마나, 무엇을 보는가?

아이가 낭비하는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먼저 TV를 하루에 몇 시간 보는지, 무엇을 보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본다면 프로그램은 무엇을 보는지 제목과 시간까지 알아봅니다. 요즘은 드라마도 한 시간 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개 드라마 시작하기 전부터 TV 앞에 앉아서 기다리게 되는데, 그러면 드라마를 일주일에 두 번만 본다고 해도 140분을 TV 시청에 쓰게 됩니다. 이것은 공부할 시간이 얼마나 있는지 확인할 때도 중요한 항목입니다.

3. TV가 어디에 있는가?

아이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 중에 하나가 TV입니다. TV가 거실에 있는가, 방에 있는가, TV가 없으면 방에 들어가서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시청하지는 않는가 파악해야 합니다. 요즘은 다시보기나 프로그램 다운로드로 TV를 보는 경우가 많아서 TV를 제외한 미디어를 어떻게, 얼마나 접하는지도 모두 확인해야 합니다.

4. 컴퓨터로 무엇을 하는가?

요즘은 컴퓨터로 인터넷강의를 듣거나 숙제를 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컴퓨터 사용이 무조건 부정적이지는 않습니다. 컴퓨터로 무엇을 하는지가 더 중요하고, 반드시 점검해야 합니다. 아이가 컴퓨터 앞에서 무엇을 하는지, SNS인지 게임인지, 인터넷강의인지 유튜브 시청인지 확인하고, 얼마나 하는지 시간도 정리합니다. 게임을 한다면 키우는 캐릭터는 무엇인지, 레벨은 어디까지 올라갔는지도 알아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게임에 낭비되는 시간이 얼마인지, 자녀의 관심사는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인터넷강의를 듣는다면 그 시간만 계산해서는 안 됩니다. 인터넷강의만 듣는 게 아니라 컴퓨터를 켠 김에 웹서핑도 하고 이것저것 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반드시 인터넷강의에 몇 분, 웹서핑에 몇 분을 썼는지 항목별로 파악해야 합니다.

5. 게임을 하는가? 한다면 얼마나 자주 하는가?

여자아이들이 게임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남자아이들은 게임 문제가 심각합니다. 게임도 유행이 있어서 예전에는 스타크래프트에, 요즘은 LOL에 빠진 경우가 많습니다. 게임을 얼마나 하는지, PC방은 얼마나 자주 가는지, 가면 몇 시간 있는지를 파악합니다. 게임에 소비하는 시간과 함께 캐릭터 레벨도 확인합니다.
주의할 점은 이때 자녀에게 막연하게 “너 게임 하니? 게임 하지 마!” 하고 따지거나 야단치면 반감만 불러일으킵니다. 아이가 하는 것에 관심을 보여주면서 “어느 정도 하니? 승률이 얼만데? 캐릭터는 뭐야?” 하고 물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6. 스마트폰이 있는가? SNS를 하는가?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는 것에는 인터넷과 게임 이외에도 카스, 카톡, 클럽채팅 등이 있습니다. 카톡을 얼마나 자주 하는지, 클럽채팅방이 몇 개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참가하는 채팅방이 열 개도 넘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잠깐 새에 메시지가 몇백 개씩 쌓입니다. 당연히 손에서 스마트폰을 놓을 수가 없습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얼마나 자주 하는지도 확인합니다. 페이스북은 보기만 해도 많은 시간이 흐르고, 친구의 친구까지 가다 보면 밑도 끝도 없게 됩니다. 한마디로 시간 잡아먹는 괴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7. 자기 전까지 무엇을 하는가?

학원 숙제를 마치고 나면 바로 잠을 자는 것도 나쁘지는 않습니다. 그마저도 안 해놓고 자는 아이들이 많으니까요. 그러나 주어진 숙제만 하고 자는 것보다는 스스로 무언가를 하고 자는 아이들은 좀 더 긍정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무것도 안 하고 카톡이나 게임만 하다가 자는 아이들은 그야말로 갈 길이 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주의할 점은 “어제 뭐하다 잤니?” 또는 “뭐하고 자니?” 하고 물어볼 게 아니라 자녀와 같이 일주일을 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월요일은 뭐했지?” “화요일은 뭘 했지?” 하면서 전체 그림을 그려봅니다. 자기 전에 무엇을 했는지 쓰고 난 다음에 자게 하고, 나중에 점검하는 것도 좋습니다.

8. 쓸모없이 허비되는 시간이 얼마나 되는가?

순수하게 공부하는 시간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학교에 갔다 온 다음에 학원숙제 하는 시간, 학원에서 수업 듣는 시간을 제외하고 실제 공부하고 책 보는 시간, 즉 자기주도 학습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정리해 봅니다. 막연히 많다 적다가 아니라 공부할 시간이 몇 시간 있는지, 그리고 그중에서 실제 얼마나 공부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앞으로 일주일 동안 얼마나 공부할 수 있는지를 점검해도 좋습니다.

9. 형제자매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가?

누나와 남동생이 있을 때는 문제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누나가 동생을 잘 챙겨주기 때문입니다. 오빠와 여동생은 다릅니다. 오빠가 동생을 챙겨주는 일은 별로 없고 오히려 부려 먹고, 열 받은 동생은 오빠를 이기려고 바락바락 대들게 됩니다. 이때 동생이 공부를 더 잘하는 경우라면 오빠가 무시를 많이 당합니다.
오빠들 밑의 막내딸과 누나들 밑의 막내아들은 정반대입니다. 막내딸은 대체로 공부도 잘하고 속 썩이는 일이 없지만, 막내아들은 지금까지 본 가족구성에서 가장 안 좋은 경우에 속합니다. 주위에서 모두 오냐오냐하기 때문에 통제가 안 됩니다. 누나들은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으면서 크기 때문에 자기 앞가림은 스스로 하게 됩니다. 그래서 엄마는 누나들이 잘하는 것만 보다가 아들을 보면 그냥 기가 막힙니다. 여기서 누나들을 키웠던 방법으로 막내도 똑같이 키우려고 하니까 자꾸 충돌이 생깁니다. 남자아이의 특징에 대해 알아서 거기에 맞게 키워야 합니다.

10. 되고 싶은 것이 뭐니?

여기까지 인터뷰를 진행하면, 자녀도 이 인터뷰를 왜 할까 궁금해할 것입니다. 자녀의 꿈이 무엇인지 물어보고, 그 꿈을 이루기 위해서 공부를 다시 시작해야지, 하고 마음을 잡게 하면서 이야기를 마무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학교에 가고 싶은지 물어도 좋고, 예전에는 이러이러한 꿈이 있었는데 여전히 그 꿈을 가졌는지 물어도 좋습니다. 어떻게 살고 싶은지 묻는 것도 괜찮습니다.
대답이 공부와 멀어 보이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부자가 되고 싶다거나 유명해지고 싶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럴 때는 ‘부자가 되려면 돈을 많이 벌어야 하고, 그러려면 아는 것이 많아야 한다.’, ‘유명해지려면 가장 좋은 방법은 좋은 대학에 들어가는 것이다. 김태희도 서울대 나와서 스타가 되었다.’ 등으로 관심을 공부로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자녀가 되고 싶은 것, 하고 싶은 것을 생각해 보게 한 후, 자녀의 학습 상태 체크를 시작합니다.
뉴시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