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수학도 B형 이탈자 늘어
수험생 1만7770명 줄어 65만 명
![]() |
올해 처음 도입되는 선택형 수능에서 영어 B형 응시를 선택한 수험생은 68.2%다. 영어 영역에서 수준별 시험은 도입 1년 만인 내년에 폐지되는 터라 올해 대학 입시의 주요 변수로 꼽혀 왔다. 나머지 영역의 B형 선택 비율은 국어 46.4%, 수학 27.4%다.
B형 선택 비율은 국어·수학·영어 세 영역 모두 6월, 9월 모의평가를 거듭하며 매번 감소했다. 6월 모의평가에선 82.3%였던 영어 B형 선택 비율은 지난 3일 실시된 9월 모의평가에선 75.1%로 낮아진 데 이어 실제 수능에선 70% 아래로 떨어졌다. 이에 대해 입시 전문가들은 “모의평가에서 B형 상위 등급을 받지 못한 중위권 고3 재학생들이 A형으로 갈아 탔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중상위권 대학들은 A, B형을 모두 인정하되 B형에 가산점을 주겠다고 발표한 상태다. 하지만 입시업계에선 “A형의 높은 등급이 가산점을 감안한 B형의 낮은 등급보다 중상위권대 합격에 유리할 수 있다”고 예측해 왔다.
한편 서울 소재 11개 대학은 지난 6일 수시 1회차 원서 접수를 마감했다. 이들 대학의 평균 경쟁률은 19.7대 1로 지난해 21.9대 1보다 다소 낮아졌다. “전체 수험생 숫자가 지난해보다 줄어든 데다 주요 대학들이 논술 선발 등 수시 모집 인원을 작년보다 늘린 데 따른 현상”이라고 해석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